• 제목/요약/키워드: Solvent Effect

검색결과 1,837건 처리시간 0.032초

왕지네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lanin synthesis using organic solvent extracts from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 김인우;이준하;권용남;김상희;윤은영;남성희;안미영;황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5
    • /
    • 2014
  • 피부는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을 생성한다. 하지만 과도한 멜라닌의 생성은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을 유발하며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왕지네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기용매를 이용한 왕지네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량은 무처리 대비 36 ~ 67%로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70% 에탄올을 이용한 왕지네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량은 36%로 실험을 진행했던 추출물들 중에서 가장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측정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에 70% 에탄올로 추출한 왕지네 추출물은 피부 미백 기능성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을 단백질 수준에서 검정한 결과, 앞선 실험에서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이 가장 낮았던 70% 에탄올로 추출한 왕지네 추출물의 경우 세포내 glycosylation 된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70% 에탄올로 추출된 왕지네 추출물이 세포내 티로시나아제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해조단백질 추출에 관한 연구 3. NaOH 가용성 단백질의 추출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SEA WEED PROTEINS 3. Extraction of NaOH Soluble Proteins)

  • 이강호;우순임;류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5-90
    • /
    • 1978
  • 식용해조인 둥근돌김(Perphyra suborbiculata), 잎파래 (Enteromorpha linza), 구멍갈파래 (Ulva pertusa) 미역 (Undaria pinnatifida, 자연생 및 양식), 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쎌만모자반(Sargassum kjellmanianum) 누운첨각(Codium coarctatum)의 NaOH 가용성 단백질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소 즉, 추출용액의 농도, 용매량, 온도, 시간에 따른 조단백질과 순단백질(TCA 불용성 단백질)의 추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전시료가 0.05M NaOH 용액에서 가장 좋은 추출성적을 얻었으나, TCA 불용성 단백질은 $0.01\~0.025M$에서 추출성적이 좋았으므로, 0.025M에서 추출함이 좋을 것 간다. 2. 시료-용매비(w/v)는 건조시료 1g에 대하여 100ml의 용매를 첨가함이 좋은 것 같다. 3. 추출시간은 녹조류는 1시간, 양식미역 2시간, 자연생미역, 쎌만모자반, 모자반은 3시간에 최고의 추출성적을 얻었다. 4. 추출온도는 전시료가 $60^{\circ}C$에서 최고의 추출성적을 보였다.

  • PDF

새뱅이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 박희연;이창국;박원기;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4-59
    • /
    • 1997
  • 토하젓의 원료인 새뱅이를 물, 에테르, 아세톤, 메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한 다음 인체 및 식품에 유해작용을 하는 9종의 세균을 대상으로 항균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공동결건조한 새뱅이 분말의 용매추출 구간별 수율은 물추출구 52.0%, 에테르추출구 7.4%, 아세톤추출구 1.0%, 메탄올추출구 0.8%였다. 새뱅이의 용매추출구간별 항균성 검색 결과 시료 20$\mu\textrm{g}$/disk에 대하여 에테르추출구 8~12mm, 아세톤추출구 8~12mm, 메탄올추출구 7~9mm였으며 물 추출구는 항균성이 없었다. 새뱅이의 용매추출구간별 최저발육억제농도는 에테르추출구 250~5000$\mu\textrm{g}$/$m\ell$1, 아세톤추출구 125~500$\mu\textrm{g}$/$m\ell$, 메탄올추출구 250~500$\mu\textrm{g}$/$m\ell$ 였다. 새뱅이의 용매추출구간별 최저살균농도는 에테르추출구 2,500~10,000$\mu\textrm{g}$/$m\ell$, 아세톤추출구 1,250~10,000$\mu\textrm{g}$/$m\ell$, 메탄올추출구 5,000~10,000$\mu\textrm{g}$/$m\ell$로 나타났다.

  • PDF

고추잎 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Capsicum annuum Leaves)

  • 김지혜;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0-546
    • /
    • 2003
  • 고추잎을 기능성식품의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즉, 전자공여효과,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효과, 항균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을 조사한 결과 물 분획층에서 16.9%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낸 반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 0.6%로 가장 낮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효과는 전반적으로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ethyl acetate 분획물 0∼600 $\mu\textrm{g}$을 첨가하였을 때는 환원력의 증가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900 $\mu\textrm{g}$이상 첨가구에서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환원력이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잎 분획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측정한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fraction에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어 500 $\mu\textrm{g}$을 첨가하였을 때 90%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효과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잎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ethyl acetate 및 butanol 분획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각 균주에 대한 clear zone의 직경을 확인한 결과 gram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에서 20 mm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Staphylococcus aureus 18 mm, Streptecoccus mutans 17 mm순으로 주로 gram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D-Dependent n-Butanol Dehydrogenase from Solvent-Tolerant n-Butanol-Degrading Enterobacter sp. VKGH12

  • Veeranagouda, Y.;Benndorf, Dirk;Heipieper, Hermann J.;Karegoudar, T.B.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663-669
    • /
    • 2008
  • The solvent-tolerant bacterium Enterobacter sp. VKGH12 is capable of utilizing n-butanol and contains an $NAD^+$-dependent n-butanol dehydrogenase (BDH). The BDH from n-butanol-grown Enterobacter sp. was purified from a cell-free extract (soluble fraction) to near homogeneity using a 3-step procedure. The BDH was purified 15.37-fold with a recovery of only 10.51, and the molecular mass estimated to be 38 kDa. The apparent Michaelis-Menten constant ($K_m$) for the BDH was found to be 4 mM with respect to n-butanol. The BDH also had a broad range of substrate specificity, including primary alcohols, secondary alcohols, and aromatic alcohols, and exhibited an optimal activity at pH 9.0 and $40^{\circ}C$. Among the metal ions studied, $Mg^{2+}$ and $Mn^{2+}$ had no effect, whereas $Cu^{2+},\;Zn^{2+}$, and $Fe^{2+}$ at 1 mM completely inhibited the BDH activity. The BDH activity was not inhibited by PMSF, suggesting that serine is not involved in the catalytic site. The known metal ion chelator EDTA had no effect on the BDH activity. Thus, in addition to its physiological significance, some features of the enzyme, such as its activity at an alkaline pH and broad range of substrate specificity, including primary and secondary alcohols, are attractive for application to the enzymatic conversion of alcohols.

습도의 영향에 따른 PDMA-b-PS 친수성 블록공중합체 박막의 패턴 조절 (The Vertical and Lateral Ordering of PDMA-b-PS Block Copolymer Thin film via Control of Relative Humidity)

  • 정현중;김태준;방준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3호
    • /
    • pp.352-356
    • /
    • 2011
  • 리빙 프리 라디칼 중합법은 ATRP, NMP, RAFT 등의 방법이 있으며, 지난 수 십년간 매우 빠르게 발전해 왔다. 그 중에서 RAFT 중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최근에 학문적으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RAFT 중합법은 다른 리빙 프리 라디칼 중합법에 합성할 수 있는 단량체의 종류나 합성의 제한이 비교적 작아서, 다양한 기능성 고분자를 쉽게 중합할 수 있으며, 합성한 고분자의 분자량 분포 또한 좁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RAFT 중합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블록 공중합체, 댄드리머 등을 합성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RAFT 중합법을 이용해, 친수성 블록을 갖는 새로운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한다. Poly(ethylene-b-styrene)와 poly(ethylene-b-metharylate-bstyrene) 같은 블록 공중합체 박막을 이용해 용매 증발법에 의한 높은 수준의 정렬도를 갖는 연구가 진행, 보고되었다. 그리고 위의 2가지 연구에서 습도가 정렬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위의 연구에서 친수성 블록에 의한 영향을 명확하게 규명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다른 친수성 블록을 갖는 poly(N,Ndimethylacrylamide-b-styrene)를 RAFT 중합법에 의해 합성하고, 이를 이용해 박막 내에서 용매 증발법 중의 습도에 의한 영향을 일반화하고자 한다.

프로폴리스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 이호재;배영일;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05
  •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으며, 추출용매별 radical 소거활성은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0%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유지에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과산화물가, TBA가 및 산가를 측정한 결과 95% 에탄을 추출물이 가장 높은 산패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물추출물 500 $\mu$g을 첨가하였을 때 90%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50%에탄을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acillus subtilis균과 Bacillus cereus균과 같은 그램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프로폴리스의 각종 추출물을 이용하여 1, 10 및 100 $\mu$g/mL 농도로 각각 첨가한 후 A549(폐암세포)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70% 에탄을 추출물 100 $\mu$g/mL를 첨가하였을 때 62.63%의 가장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95% 에탄올 추출물, 물추출물 및 50% 에탄을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용매증발기반 자기조립을 이용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정렬 및 트랜지스터 응용 (Evaporative Self-Assembly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or Field Effect Transistor)

  • 강석희;정도영;엄성운;황청석;홍석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453-461
    • /
    • 2013
  • Controlling the stick and slip motions of the contact lines in a confined geometry comprised of a spherical lens with a flat substrate is useful for manufacturing polymer ring patterns. We used a sphere on a flat geometry, by which we could control the interfaces of the solution, vapor and substrate. By this method, hundreds of concentric ring-pattern formations of a linear conjugated polymer, poly [2-methoxy-5-(2-thylhexyloxy)-1,4-phenylenevinylene] (MEH-PPV), were generated with excellent regularity over large areas after complete solvent evaporation. Subsequently, the MEH-PPV ring patterns played a role as a directed template to organize highly regular concentric ring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SWCNTs); when a droplet of the SWCNT suspension in water was casted onto the prepared substrate, hydrophobic polymer patterns confined the water dispersed SWCNTs in between the hydrophilicized $SiO_2/Si$ substrate. As the solvent evaporated, SWCNT-rings were formed in between MEH-PPV rings with controlled density. Finally, we used a lift-off process to produce SWCNT patterns by the removal of a sacrificial polymer template with organic solvent. We also fabricated a field effect transistor using self-assembled SWCNT networks on a $SiO_2/Si$ substrate.

다공성 폴리술폰 비대칭막 제조시 에테르형 알코올의 공경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er-Typed Alcohols on Pore Formation in Preparing an Asymmetrically Porous Polysulfone Membrane)

  • 최용진;강병철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35-141
    • /
    • 2010
  • 다양한 형태의 Polysulfone 막을 MBR공정에 적용하기 위해 제조하였다. 특히 제조공정에 있어서 여러 형태의 에테르형 알코올을 사용 도프용액에 첨가시킴으로써, 공경크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경의 크기는 첨가된 첨가제의 끓는점에 의한 영향력보다는 그들 자체(첨가된 첨가제)의 분자구조에 의한 확산에 더 큰 영향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자적으로 methoxy ($CH_3$-O-) < secondary propanol ($-CH_2$-CH(OH)$-CH_3$) < ethoxy ($CH_3-CH_2-O-$)의 순으로 공경크기가 커지고 그에 따라 순수투과도 또한 커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현상은 첨가된 용매가 분자적으로 ether형 알코올의 bulky한 정도에 따라 공경의 형성이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ether형 alcohol를 통하여 바라고자하는 형태(평균 pore size 0.1~0.4 ${\mu}m$)의 MF (microfiltration)막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MBR (membrane bio-reactor)에 적용한 결과 2달 동안 안정되게 운전되었다.

리튬 이온 전지의 부극 성능에 끼치는 용매의 영향 (Solvent Effect on Anode Performance in Lithium Ion Batteries)

  • 정광일;조정환;심우종;최용국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28-534
    • /
    • 2002
  • 리튬 이온 전지에서 높은 이온전도도, 넓은 전위창 등과 같은 요건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전해질을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초기 충전 중에 카본 부극 표면에 형성된 피막의 성질이 사용된 용매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카본 부극 표면에 형성된 피막의 전기화학적 성질이 전해액의 혼합 용매비에 따라 변화되는 경향을 관찰하였고 그 원인을 규명하였다. 전자현미경법, 시간대 전압법, 순화 전압 전류법,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관찰된 결과에 따르면, 혼합 용매의 이온 전도도에 따라 혼합 용매분해 전위 및 카본 부극 표면에 형성된 피막의 전기화학적 성질이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