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tion salt concentration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4초

농도 분극이 저감된 정삼투 분리막 제조 (Preparation of Forward Osmosis Membranes with Low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 김노원;정보람
    • 멤브레인
    • /
    • 제24권6호
    • /
    • pp.453-462
    • /
    • 2014
  • 폴리에스터(polyester) 부직포 상에 폴리술폰(polysulfone) 고분자 지지체를 만든 후, 그 표면에 폴리아미드 복합 박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정삼투(FO) 공정에 적합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PSF 지지체는 19 중량%의 함량으로 디메틸 포름아미드(DMF)에 균일하게 용해된 폴리술폰 용액을 상 전이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었으며, 기계적 보강재로 $100{\mu}m$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19 중량%의 PSF/DMF 용액으로 제조된 PSF 지지층은 sponge-like구조를 가지는 비대칭 내부 구조를 나타내었다. 정삼투(FO) 공정에서 내부의 농도 분극을 줄이기 위하여, $20{\mu}m$의 얇은 부직포 보강층을 가지는 지지체 상에 9~19 중량%의 PSF/DMF 용액으로 PSF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이들 얇은 부직포 보강층에서 제조된 지지층들은 공극률이 향상된 sponge-like구조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의 지지층들 표면에 방향족 폴리아미드 가교 반응을 통하여 복합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 FO 운전 결과, 12 중량%의 DMF/PSF 용액으로 제조한 지지체를 가지는 복합 박막이 가장 우수한 투과 성능을 보여 주었다. 이 경우 4.5 LMH의 유량과 3.47 GMH의 염의 역확산 속도를 가지는 역삼투 분리막에 사용되는 두꺼운 부직포에 비해 약 2.5배 유량이 많은 24.3 LMH의 유량과 1.5 GMH의 염의 역확산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부직포의 두께 저하와 이에 적합한 PSF 캐스팅 용액의 최적화를 통하여 부직포와 PSF층의 경계면 공극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Continuos-Flow culture of Hepatocytes in Sugar-derivatized poly (lactide-co-glycolide) Scaffolds Prepared by Gas-foaming/salt-leaching Method

  • 윤준진;박태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1-144
    • /
    • 2000
  • Highly open porous polymer matrices are required for high density cell seeding, efficient nutrient, and oxygen supply to the cells cultured in the three dimensional matrices. However, there are severe problems of mass transfer limitations within the cell/scaffolds culture system. Thus we hypothesize that continuos-flow culture conditioning of cells with the scaffolds may improve the cell viability and the differentiated function. In this study, we fabricated porous PLGA scaffolds by using gas-foaming/salt-leaching method as previous described. Viscous PLGA gel paste contains ammonium bicarbonate particulates, acting as a gas-foaming agent as well as a salt-leaching porogen, were cast into Teflon mold and dried. Ammonium bicarbonate salt upon contact to an acidic aqueous solution evloves gaseous ammonia and carbon dioxide by itself. And we conjugated galactose moiety [AGA; $N-(aminobuty1)-O-{\beta}-D-galactopyranosyl-(1{\rightarrow}4)-D-glucoamide]$ to the terminal end group of a PLGA to increase the cell adhesion and matain the differentiated function of hepatocytes. Cell-seeded scaffolds were secured in a flow bioreactor chamber and exposed to continuous flow at 5 ml/min. As a result of our study, the high yield of hepatocytes attachment was accomplish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LGA-AGA conjugate in polymer scaffolds and cells in the scaffolds under continuos flow condition maintained a high level of viability and albumin secretion rate of cultured hepatocytes showed a higher level that of control groups.

  • PDF

부식산(腐植酸)의 식물(植物)에 대한 염분피해(鹽分被害) 완화작용(緩和作用) (The Effect of Humic Acids on the Moderation of High Salt Toxicity)

  • 이용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7-260
    • /
    • 1976
  • 부식산(腐植酸)이 식물생장(植物生長)에 있어 고염 피해(被害)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옥수수 및 조류(藻類)를 사용(使用)한 영양액 재배시험(栽培試驗)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에 있어서는 소량이 부식산(腐植酸)(탄소(炭素)로 5ppm)처리(處理)가 고염에 의(依)한 생육피해(生育被害)를 현저히 저하 시켰으며 2) 조류(藻類)에 있어서도 소량의 부식산(腐植酸)(20ppm) 처리가 고염(高鹽)에 의(依)한 피해(被害)를 현저히 저하 시켰으나 부식산처리의 농도간(濃度間)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Determination of Heavy Metals in Sea Salt Using Anodic Stripping Voltammetry

  • Kim, Yong Hoon;Kim, Giyoung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80-186
    • /
    • 2017
  • Salt, as food, 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for human survival due to its significant physiological functions. Here, we repor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Pb and Cd in sea salt by square wave anodic stripping voltammetry (SWASV). Stripping voltammetric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sing a manufactured rotating disk electrode system (MRDES). The detection limit was $3.6{\pm}0.18{\mu}gL^{-1}$ for Pb and $3.9{\pm}0.37{\mu}gL^{-1}$ Cd in NaCl solution. When the pH increased from 5.5 to 8.5, the peak currents of Pb and Cd decreased. At a pH of 8.3, the ratio of the current drop compared with that at a pH of 5.5 was 0.6 for Pb and 0.73 for Cd. The concentrations corrected by the current drop are in agreement with the concentrations obtained with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This system demonstrates the reliable detection of heavy metals in aqueous media and, at a high $Na^+$ concentration, the successful applic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b and Cd in sea salts.

배추 절임조건에 따른 Myrosinase 활성 및 Total Glucosinolates 함량 변화 (Changes in Myrosinase Activity and Total Glucosinolate Levels in Korean Chinese Cabbages by Salting Conditions)

  • 황은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4-109
    • /
    • 2010
  • 배추의 절임조건에 따른 수분함량, 염도 및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절임에 사용한 소금의 농도가 높고 절임 시간이 증가할수록 배추의 수분 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삼투압에 의하여 조직액의 용출 및 소금의 침투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절임배추 특유의 조직 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분 농도가 비교적적은 6%에서는 삼투압의 변화가 비교적 적게 일어나 비교적 일정한 염분 농도를 유지하는 반면에, 소금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절임과정 중에 배추의 삼투압에 변화가 일어나 배추에서 유출된 수분으로 초기에 사용한 소금의 염도보다 감소하였다. 절임 전 신선한 배추의 pH는 약 알칼리(pH 7.8~8.2)에서 절임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차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절임 과정 중에 배추에 존재하는 유기산이 용출 및 초기 발효에 의해 pH가 감소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절임시간이 경과할수록, 절임에 사용한 소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myrosinase 활성이 점차로 감소하였다. 배추의 절임시간이 길어지고 사용한 소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pH가 감소하는 것은 myrosinase 의 최적 활성을 나타내는 pH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효소활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절임에 사용한 소금의 농도와 절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total glucosinolates의 함량도 더 많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배추와 소금물이 접촉하면서 배추의 세포막이 파괴되고 세포 내에 있는 m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glucosinolates가 가수분해 되어 다양한 분해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변화는 절임공정에서 물리적 절단, 삼투압 현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 pH 변화 등에 의하여 glucosinolates가 가수분해 과정을 거쳐 분해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생식물 나문재의 염농도에 따른 생장 및 생리적 특성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a Halophyte Suaeda glauca under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 김지영;성필모;이덕배;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48-54
    • /
    • 2019
  • 본 연구는 염 농도 별 나문재의 생장과 식물체 내의 무기 이온과 아미노산 함량, 광합성 효율 등을 조사하여 염농도에 따른 나문재의 생리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나문재의 초장, 분지수, 건물중을 조사하였을 때, 50 mM에서 최적의 생육 상태를 보였고 50~100 mM의 염농도 범위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식물체 내 무기이온의 함량은 염농도가 높을수록 Na 이온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K, Ca, Mg 이온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식물체 부위별 무기이온의 함량은 Na 이온의 함량은 지하부보다 지상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염농도에 따른 식물체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보면, proline을 제외한 glycine 등의 16종의 아미노산은 공통적으로 생육에 최적 염농도인 50 mM에서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roline은 정반대로 50 mM에서 현저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염농도에 따른 광합성 효율은 50 mM에서 가장 높았으나 400 mM의 높은 염농도에서도 광합성효율의 저하는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나문재의 생육에 최적 염농도는 50 mM이었지만, 염농도 변화에 따른 식물체 내의 무기이온, proline 등의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그리고 고염조건에서도 광합성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생리적 특성으로 0~400 mM의 넓은 범위의 염농도에서도 생육이 가능하여, 염농도의 변이가 큰 신간척지에 적합한 염생식물로 판단된다.

동치미의 발효 중 물리적 성질의 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 강근옥;구경형;이정근;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2-266
    • /
    • 1991
  • 동치미의 발효과정 중 담금액의 소금 함량, 고형분, 점도, 색, 탁도 및 무우의 텍스쳐를 측정하였다. 동치미의 제조는 파, 마늘, 생강 등 양념을 첨가하여 7% 소금용액에 담그고 $4{\sim}35^{\circ}C$의 범위에서 발효시켰다. 그 결과 점도는 발효 초기에 감소되다가 발효시간이 경과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Hunter값에 의한 색변화는 지속적인 'L'값의 증가를 보여주었으나 'a'값은 감소하였다. 한편 탁도는 발효 중반기 이후 많은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증가현상은 높은 온도에서 현저하였다. 무우 조직의 견고성은 발효 초기에 급격히 저하되었다가 약간 증가한 뒤 다시 서서히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담금액 중의 소금농도는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속도가 빨랐고 소금농도의 감소와 발효시간의 대수값 간에는 직선관계가 있었으며 소금농도 감소의 활성화에너지는 8.99 kcal/mole가 계산되었다.

  • PDF

전해아연의 Anode Slime과 건전지의 폐기물로부터 금속망간의 회수 (Refining of Manganese from Anode Slime of Electrolytic Zinc and Waste Dry Cell)

  • 윤병하;김대룡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9
    • /
    • 1986
  • Manganese in the Anode slime and the paste-positive material of waste-dry cell was recovered by leaching with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The impurities (Zn, Fe, Pb), co-leached with manganese were removed from the leached solution prior to electrolysis by hydrometallurgical techniques such as the neutralization with ammonium hydroxide and cementation on manganese powder. The electrodeposition of manganese from the purified chloride solution with sodium selenate was performed. Cathode current efficiency was found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concentration of sodium selenate and ammonium chloride salt, bath temperate, current density and PH. The current efficiency of about 88.7% was obtained by electrolysis manganese chloride solution with sodium selenate (0.1/g) at 10$^{\circ}C$.

  • PDF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연질캅셀제의 설계 및 제제학적 평가 (Design and Pharmaceutical Evaluation of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Elastic Capsules)

  • 전인구;곽혜선;문지현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4권4호
    • /
    • pp.419-427
    • /
    • 1996
  • To solubilize practically insoluble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which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as tablets or hard capsules, the solubilities of DDB in various hydrophilic, oily and hydrocarbon vehicles, and aqueous surfactant solution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vehicles studied, polyethylene glycol (PEG) 300 revealed the best solvency, and the solubility reached 17.6 mg/ml at 37$^{\circ}C$. The addition of glycyrrhizic acid ammonium salt (GAA) to DDB-PEG 300 solution (5-20 mg/g) inhibited the formation of precipitates, and at the concentration of 10 mg/g, any precipitaction was not observed even after 2 years at 4$^{\circ}C$. Furthermore, GAA markedly enhanced the permeation of DDB through the rabbit duodenal mucosa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 addition of copolyvidone (ca. 1.0%) to DDB-GAA-PEG 300 system (1 : 0.5 97.5 w/w) was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the considerable precipitation of DDB-PEG 300 solution (7.5 mg/750 mg) when mixed with water of 300-900 ml at 37$^{\circ}C$. GAA showed a synergistic effect in the prevention of precipitate form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is DDB formulation may form less precipitation when DDB soft capsules disintegrate and diffuse into the gastrointestinal fluid, resulting in improving the bioavailability Dissolution rate of DDB (7.5 mg) from sort elastic capsules of DDB-GAA-PEG 300 system was rapid. The supersaturation state was maintained for 2 hr at the concentration of 7.35$\pm$3.3 mg in 900 ml of water without precipitation. The total amount of DDB dissolved from this new formulation was 5.3 and 6.1 times higher, when compared to marketed DDB tablets (25 mg) and capsules (7.5 mg), respectively.

  • PDF

생분해성 가교 공중합에스테르의 분자설계 및 특성 연구 (Molecular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Crosslinked Copolyesters)

  • 성용길;한승준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108-114
    • /
    • 2001
  • Krebs회로 산인 L-malic acid와 glycerol의 -OH와 -COOH의 몰비를 달리하면서 가교공중합체 poly(glycerol-co-malate)s를 합성하였다. 단량체 및 합성된 가교공중합체를 적외선흡수 분광기법에 의하여 확인하였으며, pH에 따른 수팽윤도를 측정하였다. 용액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그 공중합체 수화겔의 수팽윤도는 증가하였으며, 각 pH에서 가교공중합체는 -COOH에 대한 -OH기의 몰비가 증가할수록 수팽윤도가 감소하였다. 용액의 pH 변화에 따른 가교공중합체의 가수분해도를 37${\circ}C$에서 조사한 결과 용액의 pH가 증가함에 따라 가수분해는 빨리 진행되었다. 모델 약물로는 diclofenac monosodium salt를 사용하여 pH에 따른 약물방출 거동을 조사한 결과 약물의 방출은 pH가 증가할수록 더 빨리 방출되었고, 합성된 가교공중합 에스테르는 미반응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실기로 인해 pH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