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ble solids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27초

Asian Plum Diversity Based on Phenotypic Traits in Republic of Korea

  • Kwon, Jung-Hyun;Nam, Eun-Young;Jun, Ji-Hae;Chung, Kyeong-Ho;Yun, Seok-Kyu;Kim, Sung-Jong;Do, Yun-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4-267
    • /
    • 2018
  • The phenotypic traits of 63 Asian plum varieties were investigated for three years to select those with superior qualities for breeding. Eigh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s and fruits (e.g., stigma position, fruit skin, and flesh color) were evaluated.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e.g., blooming time and ripening time) were also monitored. Being useful traits for breeding, fruit quality factors (e.g., fruit weight, skin color, flesh color, soluble solids content, and titratable acidity) were evaluated as well. The majority of the fruits were cordate (36%) and circular (23%) in shape. Approximately 78% of the varieties showed a red skin color, whereas 67% had yellowish fruit flesh. Fruit ripening occurred from June 28th to September 5th, spanning 69 days. The average fruit weight and soluble solids content were 77.2 g and $12.2^{\circ}Brix$, respectively. Regarding cor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r the ripening time and fruit size parameters. Such information of Asian plum varieties will be useful for future breeding programs.

단호박 분말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Incorporated with Sweet Pumpkin Powder)

  • 이준호;이명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39-14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단호박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젤리의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수분함량, pH, 가용성 고형분, 색도, 외관색상, 경도)과 소비자 기호도(색, 향미, 씹힘성, 맛, 전체적 기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젤리의 수분함량은 단호박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H와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단호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젤리의 경도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소비자 검사결과 2% 첨가군이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젤리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단호박 분말의 기능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최적 첨가 농도는 2%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Differences in Ethylene and Fruit Quality Attributes during Storage in New Apple Cultivars

  • Yoo, Jingi;Lee, Jinwook;Kwon, Soon-Il;Chung, Kyeong Ho;Lee, Dong Hoon;Choi, In Myung;Mattheis, James P.;Kang, In-Kyu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57-268
    • /
    • 2016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ve new apple cultivars from the Korean apple breeding program were evaluated as a function of harvest time and storage after harvest. Internal ethylene concentration (IEC), flesh firmness, soluble solids concentration (SSC), and titratable acidity (TA) were measured in 'Summer Dream', 'Summer King', 'Green Ball', 'Picnic', and 'Hwangok' apples at harvest, during shelf life at $20^{\circ}C$, and one day after cold storage at $0.5^{\circ}C$ in air. IEC increased during shelf life in 'Summer Dream', 'Summer King', and 'Green Ball' but not in 'Picnic' or 'Hwangok', regardless of harvest time. Flesh firmness decreased towards harvest time and decreased gradually with time in cold storage only in the former three cultivars. In turn, IEC increased during cold storage in the first three cultivars but not for the last two cultivars, irrespective of harvest time. Changes in SSC and TA did not consistently relate to harvest time or storage period but TA tended to decrease as IEC increased. Furthermore, IEC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lesh firmness except in the 'Green Ball' cultivar but the significance level was much greater in 'Summer Dream' and 'Summer King' (p < 0.0001) than in 'Picnic' (p < 0.01) or 'Hwangok' (p < 0.05) cultivars. Flesh firm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A in the first three cultivars but not in the last two cultivar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cultivars for which IEC increased after harvest had reduced flesh firmness and TA after storage.

Assessment of Phytochemicals, Quality Attribut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Commercial Tomato Cultivars

  • Bhandari, Shiva Ram;Chae, Young;Lee, Jun Gu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677-691
    • /
    • 2016
  • To assess South Korean commercial tomato cultivars, regular and cherry tomato cultivars were grown in the greenhouse and evaluated for color attributes, titratable acidity, pH, total soluble solids, carotenoids (lycopene and ${\beta}$-carotene), total phenols, flavonoids, vitamin C, and antioxidant activit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most phytochemicals, quality parameters, and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twenty South Korean tomato cultivars tested. Lycopene and ${\beta}$-carotene contents varied significantly (p < 0.05 using DMRT), from $0.95mg{\cdot}100g^{-1}$ to $5.12mg{\cdot}100g^{-1}$ and $0.65mg{\cdot}100g^{-1}$ to $3.56mg{\cdot}100g^{-1}$ of fresh weight, respectively. ${\beta}$-carotene contents exhibited the highest genetic variation (59.2%), followed by naringenin (52.8%) and other phytochemicals. Most of the cherry tomato cultivars had statistically higher levels (p < 0.05 using DMRT) of carotenoids, phenols, flavonoids, vitamin C,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e regular tomato varieties, suggesting their higher nutritional value. Lycopene content was highest in the cultivars YoYo, Jicored, Titi-Chal, TY-Endorphin, and Rubyking. Cultivars Rubyking, TY-Endorphin, and Titi-Chal also showed relatively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in three assay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All the antioxidants, except luteoli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the highes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otal 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ies, follow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rutin and vitamin C. Cultivars identified to have superior nutritional status would be useful in tomato breeding programs to further improve quality and health benefits of tomatoes for the fresh and processed markets.

제주와 오키나와에서 재배된 망고 'Irwin' 과실의 품질, 활성산소 소거활성 및 망기페린(mangiferin)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Fruit Qualitie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angiferin Content of the Mango, cv. Irwin Cultivated in Jeju and Okinawa)

  • 한상헌;김주성;테류야토시아키;테류야유토;모로미쟈토이신;임찬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634-6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제주와 오키나와에서 생산되는 망고 'Irwin' 과실에 대해 품질 및 기능성을 비교 평가 하기 위해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mangiferin 등 원료특성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해 보았다. 망고 'Irwin' 을 저수고 유인재배를 하는 오키나와 농가하우스와 온난화 대응농업연구소(IRCA)가 제주농가 하우스 보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mangiferin 함량이 높았으며, 오키나와 농가하우스가 IRCA 보다 이들 함량이 높았다. 이들 결과는 망고 'Irwin' 에 있어 저수고 유인재배가 과실의 품질향상에 중요하다는 것이 시사가 되었다.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Freshness of 'Maehyang' Strawberries during Export

  • Kim, Hye Min;Hwang, Seung Ja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626-633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precooling and application of gaseous $ClO_2$ on the reten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of 'Maehyang' strawberry fruits intended for export. 'Maehyang' strawberry fruits (Fragaria ${\times}$ ananassa Duch.) were grown in commercial greenhouses and then harvested. Fruits of uniform and medium size at 60% ripeness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one of four treatment groups: non-treatment (control), precooling only (PO), gaseous $ClO_2$ only (GCO) or precooling combined with gaseous $ClO_2$ (P + C). Weight loss was lowest in the PO treatment and greatest in the GCO treatment after export. Compared to the control and PO treatment groups, strawberry fruits in the GCO treatment group maintained high brightness and high chroma. Six days after shipping, fruits in the P + C treatment group had the highest soluble solids content, even as high as $10.05^{\circ}Brix$; the lowest value was observed in the PO treatment. The incidence rate of gray mold in strawberry fruits was 20% and 17% in the control and the PO treatment, respectively; in the GCO treatment, the incidence rate of gray mold amounted to 10%. No gray mold was observed in the P + C treatment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aseous $ClO_2$ treatment combined with precooling (P + C)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Maehyang' strawberry fruits intended for export from South Korea to Hong Kong.

벌꿀발효주의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Honey Wine)

  • 임종환;김동한;정순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7-342
    • /
    • 1997
  • 벌꿀발효주인 mead 와 melomel의 제조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천연벌꿀을 희석하여 제조한 mead와 벌꿀로 삼투압추출법에 의해 얻은 매실쥬스를 희석하여 제조한 매실 melomel의 발효 중 알코올함량, 환원당, 가용성고형분, pH 및 총산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발효 속도는 mead보다 melomel이 훨씬 빨랐다. 환원당과 가용성 고형분(Brix)은 발효시작 후 16일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에 알코올함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mead의 경우는 초기 5일까지는 환원 당량의 감소속도와 알코올 생성속도가 다소 지연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발효 21일 후에는 mead의 알코올함량은 7.6%에 이르렀으며, 매실 melomel은 12.4%에 도달하였다. pH와 총산도는 발효 초기의 변화 외에는 전 발효기간 중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발효가 끝난 mead와 매실 melomel은 미세여과를 통하여 광투과도가 99.4%인 밝고 투명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벌꿀을 사용하여 삼투압법으로 추출한 과실을 사용하여 벌꿀발효주를 만드는 melomel의 제조법이 단순히 벌꿀만을 사용하는 mead의 제조법에 비해 장점을 갖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판 상면발효맥주의 관능 및 이화학 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top-fermented beers)

  • 성세아;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5-43
    • /
    • 2017
  • 시판되는 상면발효맥주 12종에 대하여 5개의 외관, 9개의 향, 6개의 향미, 4개의 입안감촉에 대한 묘사용어를 개발하였으며,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제 상면발효 맥주의 주요 특성으로 알려진 다양한 과일향미, 쓴맛과 관련 향미 용어가 개발되어 향후 상면발효맥주의 관능검사에 주요 평가 용어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또한 가용성 고형분, 총산도, pH, 환원당, 쓴맛 정도(B.U.), 탁도, 색도, 아미노산 함량, 총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의 12가지 이화학특성을 분석하였다. 관능특성 항목과 맥주의 중요 지표인 이화학 특성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B.U., 총폴리페놀 함량, 총산도, 황색도, 가용성 고형분이 에일맥주의 주요 관능특성인 시트러스향, 파인애플향, 쓴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러한 이화학적 분석 항목은 제품 개발 시 관능특성 분석과 더불어 주요 품질지표 항목으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복분자의 포제방법에 따른 추출물 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Rubi Fructus in Relation to Drying Methods and Extraction Solutions)

  • 정헌식;황성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36-441
    • /
    • 2005
  • 복분자의 포제에 있어 건조방법이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복분자 딸기를 5분간 증자하고, 자연 양건, 적외선 건조 또는 동결건조한 다음 20 mesh 크기로 분쇄하고, 열수나 40% 에탄올(80$^circC$)로 3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과 총당의 추출수율은 동결건조품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건조법에 무관하게 에탄올보다는 물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pH는 물 추출에서는 건조방법별 차이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에서는 동결건조품에서 다소 높고 낮은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유리기 소거능은 동결 건조품,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높게 나타났다. 동결건조품에서 L값은 가장 높았고 a와 b값은 가장 낮았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L과 b값은 높았으나 a값은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복분자 포제에 있어 전통적 자연 양건보다는 적외선 및 동결건조 특히, 동결건조의 적용에 의해 품질향상이 가능하며, 또한 총가용성 성분의 추출에는 물 추출이, 항산화성 성분의 추출에는 에탄올 추출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굴 껍데기에서 개미산으로 추출한 칼슘화합물과 활성제의 수관살포가 사과 '후지' 과실의 칼슘농도, 과피 형태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e-spray of Calcium Formate Compound Extracted from Oyster Shell and Active Agent on the Calcium Concentration, Fruit Skin Shape, and Quality of 'Fuji' Apple Fruit)

  • 문병우;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26
    • /
    • 2007
  • 본 연구는 굴 껍데기로 제조한 개미산 칼슘화합물에 몇 가지 활성제를 첨가한 용액 수관살포가 사과 '후지' 과실의 칼슘농도, 과점의 발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굴 껍데기로부터 추출한 칼슘 화합물(Os-CaF, $52.4mg{\cdot}kg^{-1}$)을 수관살포하였을 때 조직으로의 칼슘전이 효과는 무처리에 비하여 잎, 과피 및 과육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Os-CaF에 활성제를 첨가하여 살포하였을 때 '후지' 과실의 칼슘함량은 증가되었다. 특히, 잎에서는 ascorbic acid, polyvinyl alcohol을, 과피에서는 Ag-colloidal, polyvinyl alcohol을, 과육에서는 ascorbic acid, Ag-colloidal, polyvinyl alcohol을 첨가한 칼슘화합물이 칼슘 흡수량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칼슘화합물의 농도 및 활성제 종류에 따른 과실품질(과중, 경도, 가용성고형물, 산 함량, 과피색)은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