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r Chemistry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4초

평면식(平面式) 태양열집열기(太陽熱集熱機)를 이용(利用)한 홍삼건조(紅蔘乾燥) (Drying of Red Ginseng by Flat-Plate Solar Collector)

  • 장규섭;김상달;홍순근;윤한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3호
    • /
    • pp.111-118
    • /
    • 1982
  • 밀폐식(密閉式)물 교환태양(交換太陽) 열집열건조장치(熱集熱乾燥裝置)를 이용(利用)하여 홍삼(紅蔘)을 건조(乾燥)할때의 집열효율(集熱?率), 건조효율(乾燥?率). 건조특성(乾燥特性) 및 제품(製品)의 품질(品質)을 각각(各各) 조사(調査)하였다. 건조기간(乾燥期間)은 태양열집열장치(太陽熱集熱裝置)를 이용(利用)한 것이 관행법(慣行法)보다 3분(分)의 1정도(程度)를 더 단축(短縮)할 수 있었다. 건조기간중집열기(乾燥期間中集熱機)의 최대효율(最大?率)은 14.42% 최저효율(最低?率)은 4.73%였고 건조효율(乾燥?率)은 집열장치(集熱裝置)를 이용(利用)한 것이 28.34%, 대조구(對照區)가 13.45%로서 순수건조효율(純粹乾燥?率)은 14.89%이었다. 홍삼(紅蔘)의 건조율곡석(乾燥率曲線)은 감율건조기(減率乾燥期)만을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식(式)은 $Y=50.7023t^{-0.4138}$이었다. 건조홍삼(乾燥紅蔘)의 색도(色度)는 관행법(慣行法)과 비교(比較)하여 더 높았으며, diphenyl picryl hydrazyl 환원능(還元能)도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겨울철 미꾸라지 성장에 관한 연구 (Misgurnus Anguillicaudatus Growing in Winter Season by Solar Thermal Heating)

  • 정현채;선경호;조재선;남상열
    • 태양에너지
    • /
    • 제11권3호
    • /
    • pp.31-36
    • /
    • 1991
  • 태양열 온수기로부터 획득한 $50{\sim}60^{\circ}C$의 온수를 이용하여 수온이 낮은 3, 4, 10, 11월은 물론 한 겨울철에도 미꾸리의 최적 성장온도를 유지시켰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전장 $4{\sim}5cm$, 체중 $1{\sim}2g$정도의 미꾸리의 최적 성장수온은 $18{\sim}20^{\circ}C$이고 $5{\sim}7cm,\;2{\sim}3g$인 것은 $20{\sim}22^{\circ}C$이고 $7{\sim}9cm,\;4{\sim}6g$인 것은 $22{\sim}24^{\circ}C$의 수온임을 알아냈다. 나. $1{\sim}3g$의 개체는 서서히 성장하나 $4{\sim}8g$의 것은 성장이 빠르고 총개체수의 무게 총량은 1개월간에 약 $30{\sim}50g$ 증가하였다.

  • PDF

유기태양전지의 전자 받개 물질들 (Electron Acceptors in Organic Solar Cells)

  • 공재민;남상용
    • 공업화학
    • /
    • 제33권2호
    • /
    • pp.119-125
    • /
    • 2022
  • 최근 유기태양전지의 효율이 18%를 넘어섰다. 이러한 급속한 효율의 증가는 전자 주개 고분자와 짝을 이루는 전자 받개 물질의 개발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 미니 리뷰에서는 전자 받개 물질의 개발 과정을 통해 유기태양전지의 발전 양상을 살펴본다. 본 리뷰의 첫 번째 파트에서는 유기태양전지 발전의 전반부를 이끌었던 풀러렌 기반 전자 받개 물질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두 번째 파트에서는 풀러렌 기반 전자 받개 물질의 단점들을 극복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유기태양전지에 새로운 전기를 가져다 준 비(非)플러렌 기반 전자 받개 물질에 대해서 소개한다. 마지막 파트에서는 리뷰의 전체적인 요약과 더불어 20% 효율을 넘어설 전략에 대해 간단히 논의하며 본 리뷰를 마무리한다.

Role of Surfaces and Their Analysis in Photovoltaics

  • Opila, Robert L.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72-72
    • /
    • 2011
  • Surface science is intrinsical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solar cells. In solar cells the generation and collection of charge carriers determines their efficiency. Effective transport of charge carriers across interfaces and minimization of their recombination at surfaces and interfaces is of utmost importance. Thus, the chemistry at the surfaces and interfaces of these devices must be determined, and related to their performance. In this talk we will discuss the role of two important interfaces, First, the role of surface passivation is very important in limiting the rate of carrier of recombination. Here we will combine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of the surface of a Si device with electrical measurements to ascertain what factors determine the quality of a solar cell passivation. In addition, the quality of the heterojunction interface in a ZnSe/CdTe solar cell affects the output voltage of this device.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gives some insight into the composition of the interface, while ultraviolet photoemission yields the relative energy of the two materials' valence bands at the junction, which controls the open circuit voltage of the solar cell. The relative energies of ZnSe and CdTe at the interface is directly affected by the material quality of the interface through processing.

  • PDF

차세대 태양전지 하이브리드 기술의 전망 (Perspective of Hybridization Technology for Next-Generation Solar Cells)

  • 이재관;이재준
    • 전기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주요 차세대 태양전지로 분류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와 유기(고분자)태양전지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하이브리드 기술전망에 관해 살펴보았다. 특히 두 분야는 기존 무기물 소재의 태양전지와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측면에서도 상호 전략적인 기술융합을 통한 하이브리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술적으로나 시기적으로 아직 초기단계임에도 기술융합에 대한 새로운 응용 가능성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을 뿐 아니라 성공적인 융합기술 개발의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 제조 및 증착 공정을 활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Dye-sensitized Solar Cells Utilizing Core/Shell Structure Nanoparticle Fabrication and Deposition Process)

  • 정홍인;유종렬;박성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1호
    • /
    • pp.111-117
    • /
    • 2019
  • 기상으로 전달된 Ti 전구체가 열 플라즈마에서 고순도의 결정질 코어-$TiO_2$로 합성됨과 동시에 기판에 바로 증착시킬 수 있는 공정을 제시한다. 제조된 코어-$TiO_2$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에 의하여 $Al_2O_3$로 코팅된다. 코어-$TiO_2$와 코팅된 쉘-$Al_2O_3$의 형태학적 특징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및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TEM-EDS)를 통해 분석하였다. 제조된 코어-$TiO_2$/쉘-$Al_2O_3$ 나노입자의 전기적 특성은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의 작동전극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Dynamic light scattering system (DL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X-ray Diffraction (XRD)을 통하여 코어-$TiO_2$의 평균입도, 성장속도 및 결정구조의 무게분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입도는 17.1 nm, 코어박막의 두께는 $20.1{\mu}m$이고 주 결정구조가 Anatase로 증착된 코어-$TiO_2$/쉘-$Al_2O_3$ 나노입자를 적용한 DSSC가 기존의 페이스트 방식으로 제작한 DSSC보다 더 높은 광효율을 보여준다. 기존의 페이스트방식을 활용한 DSSC의 에너지변환효율 4.99%에 비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된 코어-$TiO_2$/쉘-$Al_2O_3$ 나노입자를 작동전극으로 사용한 경우가 6.28%로 26.1% 더 높은 광효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