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temperature

검색결과 2,853건 처리시간 0.03초

디젤오염토양복원을 위한 고온공기 주입/추출 공정의 토양 파일 공법에의 적용 연구

  • 박민호;박기호;홍승모;고석오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63-67
    • /
    • 2004
  • A field pilot study on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by hot air injection/extraction process constructing soil piling system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ot air on the removal of diesel and each constituent. After the heating process of 2 months, the equilibrium temperature of soil reached to 10$0^{\circ}C$ and soil TPH concentration was reduced to about 72% against the initial concentration. Additional extraction process of 2 months induced the continuous extraction of residual diesel and the increment of microbial activity, which made soil TPH concentration reduced to 95%. In addition biological removal of non volatile constituents in diesel was verified indirectly and the removal pattern of each DRO(diesel range organic) as soil temperature was explained.

  • PDF

화강암 잔류 토양의 토양 가스 중 라돈의 장기적 변화 특성 (Long-term Variation of Radon in Granitic Residual Soil at Mt. Guemjeong in Busan, Korea)

  • 문기훈;김진섭;안정근;김현철;이효민
    • 암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9-291
    • /
    • 2009
  • 라돈은 원자번호 86의 화학원소로서 무색, 무취, 무미의 천연에서 존재하는 방사성 불활성기체이며 암석 및 토양 내 라듐의 방사능붕괴에 의해 생성되어, 주로 토양의 공극 중 가스 상태로 분포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금정구의 금정산에 분포하는 화강암 잔류 토양에서 라돈 농도의 장기적 변화 특성과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로서 대기 온도, 강수, 토양 온 습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챔버와 튜브를 토양 내 설치하는 두 종류의 In-situ 모니터링 방식으로 토양 가스 내 라돈 농도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그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토양 가스 중 라돈의 농도는 여름철에 가장 높게 측정되며, 겨울철에 가장 낮게 측정된다. 토양 내부 온도와 대기 온도의 변화가 이러한 라돈의 장기적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대기 중 온도와 토양 내 온도 차에 의한 대기와 토양 내 공기의 순환이 주된 변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다른 요인들(강수, 토양 습도)은 라돈 농도의 장기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진공청소기 분진을 모델로 한 고형오염의 세척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tergency of Particulate Soil using Vacuum Cleaner Dirt as Model)

  • 강인숙;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6-294
    • /
    • 1989
  • This Study has treated the effects of fiber, surfactants, temperature, surfactant concentration, pH, electrolyte, fatty acid contents and mechanical force on the removal of particulate soil from fabric, vacuum cleaner dirt was used as model particulate soil. The fabrics were soiled with mixture of vacuum cleaner dirt and fatty soil, and washed in Terg-O-tometer. The detergency was evaluated by measuring reflectance of a fabric before and after wash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iber type showed a different pattern of soil removal with surfactants. In general, particulate soil removal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Acetate>PET. Nylon>Cotton. Particulate soil removal, which is affected by the surfactant typ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NPE $(EO)_{10}\leqq$Soap>SLS>DBS>Tween 80. 2.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particulate soil removal was very complex because efficiency of removal was varied with surfactant and fiber types. The washing efficiency of NPE $(EO)_{10}$ was highest at around $40^{\circ}C\;and\;60^{\circ}C$ with cotton and PET but the washing efficiency of DBS was the highest at $60^{\circ}C$ with cotton, decreased monotonous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ith PET 3. The detergency of particulate soil increased with increasing surfactant concentration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and then levelled off above some optimum concentration. 4. The removal of particulate soil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and mechanical force. 5. Effect of electrolyte on the particulate soil removal was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surfactant. At low concentration of surfactant, addition of electrolytes improved soil removal but above the some concentration no effect was observed. At high concentration of surfactant, Vie., $0.6\%$ , the maximum washing effect is reached without added electrolyte. These result indicate that added electrolyte only influence the adsorption of surfactant on the soil and fiber 6. Fatty acid content in the soil did not influence on particulate soil removal without regard to surfactants.

  • PDF

마이크로파를 적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Microwave Application to Energy Efficient Contaminated Soil Cleanup)

  • 함석진;양인호;오현상;조현조;김건인;정상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3호
    • /
    • pp.28-37
    • /
    • 2011
  • A preliminary study for energy efficient soil heating and contaminant removal using microwave was conducted. Soils sampled from floodplain were heated with microwave oven, and soil heating property and energy efficiency were compared to those heated with electrical furnace. In addition the effects of water, soil organic matter, and contaminated diesel on soil heating with microwave were investigated. Even though the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of electrical furnace and microwave oven were similar, temperature of soil heated with microwave ov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oil heated with electrical furnace. The increase of soil moisture content delays the raise of soil temperature during heating it with microwave oven. However, the effects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10%) in contaminated soil matrix and small amount of soil organic matter (<5%) on the increase of soil temperature by microwave were not significant. Further studies for contaminated soils with different texture using pilot scale microwave reactor are required for application of this technique in the field.

시설원예용 태양열 시스템의 효율적 이용과 자동화 장치개발(1) - 시설재배시 지중가온의 온도변화 연구 - (A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and a Way to use Solar Energy System Efficiently in Greenhouse(1) - Study on temperature variation of soil heating in greenhouse -)

  • 김진현;김철수;명병수;최중섭;구건효;김태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4
    • /
    • 1998
  • 태양열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자동화 장치의 개발을 목표로 지중가온의 온도변화 특성을 실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월 13일의 1일 하우스 내기온이 주야간에 24$^{\circ}C$의 차이가 있으며, 무가온시 지온변화는 지중 10 m 부근에서 6$^{\circ}C$, 지중 20 cm 부근에서는 3$^{\circ}C$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20시경에 내기온과 지온차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중 20 cm 부근의 온도변화는 내기온이 가장 낮은 오전 7시부터 약 3시간이 경과된 오전 10시에 최저가 되었다 3) 가온수의 온도를 4$0^{\circ}C$, 5$0^{\circ}C$, 6$0^{\circ}C$로 변화하였을 때 지중 10 cm의 최저은도는 약 2$0^{\circ}C$ 지중 20 cm의 최저온도는 약 23$^{\circ}C$로 나타나 가온온도가 4$0^{\circ}C$ 이상일 경우 가온온도에 따른 지중 10~20 cm사이의 온도차는 매우 작았다. 4) 지중 15~20 cm의 지온이 2$0^{\circ}C$가 되기 위해서는 가온수의 온도를 4$0^{\circ}C$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여야한다. 5) 가온수의 온도가 4$0^{\circ}C$, 5$0^{\circ}C$, 6$0^{\circ}C$이고 파이프 매설 깊이가 12 m일 경우 유입구와 유출구의 1일 평균온도차는 4$0^{\circ}C$일 경우 3.5$^{\circ}C$ 5$0^{\circ}C$일 경우 4.4$^{\circ}C$, 6$0^{\circ}C$일 경우 5.4$^{\circ}C$정도로 이 구간에서 온도변화식은 T = 0.09591T+2.5451($R^2$= 0.9966)로 거의 선형적으로 변화하였다. 6) 가온수 온도가 4$0^{\circ}C$의 경우 지중 15~20 cm, 5$0^{\circ}C$의 경우는 지중 13~19 cm, 6$0^{\circ}C$의 경우는 12~17 cm 부근이 경계영역으로 판단되었다. 7) 재배기간중 하우스 내기온을 11$^{\circ}C$ 이상으로 유지하고, 가온수의 온도를 28$^{\circ}C$로 순환 결과 지중 15 cm 이하에서 최저지온를 2$0^{\circ}C$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저온수공급에 의한 온도상승효과가 뚜렷이 나타났다. 8) 가온수의 온도를 28$^{\circ}C$로 하여 지중가온 한 결과 지중 15~20 cm사이에 온도변화는 무가온구에 비하여 공히 4$^{\circ}C$~7$^{\circ}C$가 상승되었다.

  • PDF

시설원예 태양열 시스템의 효율적 이용과 자동화 장치개발(2) -지중가온에 의한 오이 생육 및 수량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and a way to use Solar Energy System Efficiently in Greenhouse(2) - Study on improvement of growth and yield of a cucumber in soil heating -)

  • 김진현;오중열;구건효;김태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3
    • /
    • 1998
  • 겨울철 오이 시설재배에서 태양열 시스템을 이용한 지중가온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지중 40 cm에 15 mm의 PPC파이프를 130 cm이랑 에 4열 매설한 후 지중 20 cm의 지온을 $22~23^{\circ}C$로 설정한 후 1996년 11월 7일부터 1997년 1월 30일까지 일정한 온도로 유지, 관리하여 무가온구와 가온구의 지상부, 지하부 및 수량을 비교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중가온에 의한 지온확보는 가온구는 15~20 cm에서 $22^{\circ}C$ 정도의 평균온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무가온구는 평균 $17~18^{\circ}C$ 정도였다 2) 정식 30일 정도에서 초기생육은 가온구가 초장, 경경, 엽수, 엽면적 등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초장 27%, 엽수 51%, 엽면적은 150% 정도 증가하였다. 또 지상부 평균 증가율도 관행대비 가온구 증가율이 117% 정도였다. 3) 가온구의 지하부 뿌리의 생장성이 관행구에 비하여 평균 56% 정도 증가하였다 4) 과수의 수량면에서도 총과수가 무가온구 313개, 가온구 614개로 가온구가 196% 정도 증수되었다.

  • PDF

Passive Microwave Remote Sensing of Snow, Soil Moisture, Surface Temperature and Rain

  • Koike, Toshio;Fujii, Hideyuk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19-322
    • /
    • 1999
  • Land surface hydrological conditions have been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lobal and regional climate variability. Especially, snow, soil moisture, surface temperature, vegetation and rain are the key parameters which should be observed in the global scale. In this paper, new algorithms for these land surface hydrological parameters have been developed by introducing frequency and polarization dependencies of these parameters in the microwave radiative-transfer equations. The algorithms were applied to the TRMM Microwave Radiometer. (TMI) and validated by using the ground data obtained in the Tibetan Plateau. The estimated snow, soil moisture, surface temperature, water content of vegetation and rain patterns corresponded reasonably to the observed ones.

  • PDF

반복하중,온도변화 및 초기조건이 충적점토의 구조변화와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peated Loading, Alternation of Temperature and Initial Condition on the Change of Strizctur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lluvial Clayey Soil)

  • 유능구;유영선;최중대;김기성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9-79
    • /
    • 1992
  • To estimate soil behavior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under the conditions of cyclic loading, freezing & thawing and initial state, several testing was performed and obtained following results. 1.After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processes, original soil structure was destroyed and changed to globular structure from honeycomb or tube in its structure types. Also above processes resulted increasing the soil compression strain while decreasing the failure stress in stress-strain relationship and reached the soil structure into the mode of brittle fracture. Under cyclic loading conditions, soil cluster which was originally dispersed structure colloided with each other, seperated, and finally the soil failed due to the effect of overcompaction. 2.Through the stabilization processes seperated by four steps, the structure of soil skeleton was changed to quite different globular type. The degree of compressibility of soil was decreased in the normally consolidated zone, while the strength against external load increased due to soil particle stabilization. 3.Soil stress-strain chracteristics were largely influenced by repeated up and down processes of temperature. The maximum deformation was obtained in the case of temperature between 0 10˚C by the reseon of particle cluster reformation. 4.Soil compressibility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Under freezing process, swelling could be found and its magnitude was proportional to the density of soil. 5.Density of soil was decreased as increasing the number or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processes and the largest decreasing rate was found at the first turning point from freezing to thawing cycle.

  • PDF

디젤 오염토양의 생물학적 복원에 관한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f Bioremediation in Diesel Contaminated Soil)

  • 김선영;권수열;이상훈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70
    • /
    • 2000
  • The purpose of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parameters on diesel biodegradation in diesel contaminated soil. The parameters applied are concentration, temperature, moisture contents, electron acceptor(O$_2$).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iesel were degraded faster at high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s than at low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However concentration effect study indicates that diesel were more faster degraded at low concentration than at high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electron acceptor test showed concentration of oxygen did not affect the biodegradation rate of diesel in oxygen condition(10, 20%) of this study.

  • PDF

고추역병균(疫病菌)에 대(對)한 유기물(有機物) 시용토양(施用土壤)의 용균작용(溶菌作用) (Fungistatic Activity of Soil Applied with Organic Materials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 윤세영;카이 히데아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3-308
    • /
    • 1994
  • 고추역병의 발병억지력의 본체라고 생각되는 토양의 용균력에 대한 시용유기물의 종류와 시용시의 온도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추역병균에 대한 토양의 용균력은 우분퇴비(牛糞堆肥), 돈분퇴비(豚糞堆肥) 및 Bark퇴비(堆肥)등의 완열퇴비유(完熱堆肥類)보다는 볏짚과 같은 미숙(未熟)유기물의 시용에 의하여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30^{\circ}C$보다는 $15^{\circ}C$$5^{\circ}C$ 조건에서 용균력이 강하였다. 토양의 용균력은 일반적으로 유기물 시용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하는 경향을 보이나 볏짚시용토양에서는 높은 용균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I보(報)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2. 고추역병균의 유주자낭형성에 대하여 살균토양 용액을 역병균의 평판배양상에 첨가한 경우, 우분퇴비시용토양용액의 첨가에 의하여 1% 수준의 유의한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Bark퇴비를 시용한 토양용액의 첨가에서는 1%수준의 유의한 감소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온도처리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비살균토양 용액을 첨가한 경우에는 유기물의 종류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온도처리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어 $15^{\circ}C$$5^{\circ}C$$30^{\circ}C$에 비하여 유주자낭 형성수가 증가하였다. 3. 각처리(各處理)토양의 미생물상과 용균력에 관한 상기(上記)의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토양의 사상균과 세균이 토양의 용균력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