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taxonomy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9초

구릉지 토양인 아산통의 분류 및 생성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Asan Series Distributed on Rolling and Hilly Areas)

  • 송관철;현병근;손연규;박찬원;전현정;문용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258-1263
    • /
    • 2011
  • Soil Taxonomy 분류체계 변화에 대응하여 구릉지에 널리 분포하는 토양으로 Inceptisols인 Typic Dystrudepts로 분류되고 있는 아산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산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A층 (0~18 cm)은 암황갈색 (10YR 4/4)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고, BA층 (18~30 cm)은 진갈색 (7.5YR 5/6)의 자갈이 있는 양토, Bt1층 (30~52 cm)은 적색 (2.5YR 4/6)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Bt2층 (52~98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C층 (98~160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다. 구릉지 잔적층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주로 임지로 이용되고 있다. udic 토양수분상과 mes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며, 배수 양호하다. 아산통은 0~18 cm 깊이에 ochric 감식표층을 보유하고, 30~98 cm 깊이에서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argillic층 상부경계에서 125 cm 아래 깊이인 155 cm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7.8%로 35% 미만이다. 따라서 아산통은 Incept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Udults로 분류할 수 있으며,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Typic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식양질이고, 토양온도상이 mesic 온도상이기 때문에 아산통은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Dystrudepts가 아니라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로 재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여 지형이 안정되어 있는 구릉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침식이 일어나는 것에 비하여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이 우선되고 있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는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 또한 Alfisols과 Ultisols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기준인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서 Alfisols이 아니라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발달하였다.

한국산 창응애과(진드기아강, 중기문목)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f Parholaspid Mites (Acari, Mesostigmata) in Korea)

  • 이원구;이소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1호
    • /
    • pp.105-112
    • /
    • 2000
  • 1998년 12월부터 1999년 10월 사이에 남한의 삼림 및 초지 토양에서 채집된 중기문응애류를 조사한 결과 1신종, Neparholaspis bisunensis n. sp.와 3미기록종, Holaspina communis, H. multidentatus 및 Holaspulus, montanus를 포함한 11종의 창응애과가 동정되었다.

  • PDF

Two New Eisenia Species from South Korea Similar to E. koreana and Comparable to Eisenoides from USA (Oligochaeta: Lumbricidae)

  • Blakemore, Robert J.;Park, Tae Se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4호
    • /
    • pp.297-303
    • /
    • 2012
  • New Korean lumbricids are described: Eisenia gaga Blakemore sp. nov. from remote Gageodo Island and E. sindo Blakemore, sp. nov. from an island at Incheon. Both are comparable to Eisenia koreana (Zicsi, 1972) from near Pyongyang, North Korea. A remarkable yet previously unrecognized similarity to American earthworm Eisenoides carolinensis (Michaelsen, 1910) is discussed, but synonymy is rejected on tenuous morphological grounds (form of nephridial vesicle bladders) with taxonomy supported by objective molecular data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barcodes).

New record of five ciliates(Protozoa, Ciliophora) collected in eastern Gangwon-do Province, South Korea

  • Kim, Ji Hye;Jung, Jae-H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81-186
    • /
    • 2018
  • We investigated five ciliate species from soil, estuary and marine habitats in eastern Gangwon-do Province, South Korea. Morphology was studied through observation of living specimens as well as silver preparations. The spec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genera, five families, five orders and four classes. Aspidisca aculeata, Hemiurosoma similis, Litonotus alpestris, Stentor roeselii and Vorticella infusionum are first records in Korea, and among them, the genus Hemiurosoma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Here, we provide short descriptions with microphotographs of these species.

빙초산을 탄소원으로 한 글루타민산 생성에 관한 연구 (On the Production of L-Glautamic Acid from Acetate by Some Microbes)

  • 유영진;박계인;김기주;한덕봉;김요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9-62
    • /
    • 1973
  • Bacterium strain, K-173-10, which was isolated from waste soil of Korean brewing factories, could grow on acetate as the sole carbone source and accumulate a considerable amount of L-glutamic acid (24g/l) in the liguid culture medium. This strain was named by Brevibacterium ammoniagenes sp. by the standard method of taxonomy procedures given in the Manual of Microbiogical Methods.

  • PDF

세포융합-전기적 세포융합 (Electrofusion)

  • 조문구
    • 미생물과산업
    • /
    • 제26권1호
    • /
    • pp.2-7
    • /
    • 2000
  • 1. 양조폐수장, 폐수구의 토양에서 분리한 K-173-10은 초산을 자화하여 L굴루타민산을 24g/l생성하였다. 2. 분리된 균주는 행태학적, 생리학적, 분류학적 특성으로 미루어 보면 Brevibacterium ammoniagenes sp.로 간주된다.

  • PDF

SYSTEMATIC STUDY OF BACTERIAL ORGANISMS ISOLATED FROM A VARIETY OF NATURAL SOURCES OF KOREA

  • Park, Yong-H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0년도 Proceedings of 2000 KSAM International Symposium and Spring Meeting
    • /
    • pp.142-149
    • /
    • 2000
  • Recent molecular and polyphasic taxonomic approaches toward bacterial systematic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volutionizing our insight in the taxonomy of bacterial organisms. This advance has also contributed greatly to delineation of new taxa from bacterial organisms isolated from a variety of natural sources of Korea. Recently, many bacterial organisms have isolated from soil, seawater, foods, wastewaters and humans of Korea and have been subjected to polyphasic taxonomic stud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solates have been found to be members of new genera and new species.

  • PDF

중국(中國) 토양(土壤) 계통(系統) 분류(分類) 안(案)의 소개(紹介) 및 고찰(考察) (An Introduction to the Chinese Soil Taxonomic Classification System)

  • 정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5-221
    • /
    • 1993
  • 중국(中國)은 1991년에 새로운 토양계통분류법(土壤系統分類法)을 1차(次) 시안(試案)으로 확정 발표하였다. 본 체계는 미국의 Soil Taxonomy 체계와 비슷한 형태계량적규준(形態計量的規準)(Morpho-metric definition)으로 되어 있고 전산(電算)프로그램화(化)도 가능한 체계로 되어 있다. 분류체계는 목(目)(Order, 토망(土網)), 아목(亞目)(Suborder, 아망(亞網)), 군(群)(Group, 토류(土類)), 아군(亞群)(Subgroup, 아류(亞類)), 속(屬)(Family, 토속(土屬)), 통(統)(Series, 토종(土種))으로 되어 있고, 현재 13개 목망(目網), 33개 아목(亞目), 77개 군(群), 301개 아군(亞群)으로 분류되어 있다. 특징적표층(特徵的表層)은 유기표층(有機表層) 등(等) 8종, 진단표하층(診斷表下層)(차표층(次表層))은 표백층(漂白層) 등(等) 10종, 기타 특징토층(特徵土層)은 석회적표층(石灰的表層) 등(等) 12종, 그리고 암성(岩性) 등(等) 23종의 토양 생성적(生成的) 특징(特徵) 또는 현상(現像)을 분류기준으로 쓰고 있다. 분류상의 특징은 고위도(高緯度)나 고산지대(高山地帶)의 영구동결층(永久凍結層)을 강조하여 아목수준(亞目水準)에서 분류하였고 논토양이나 관개퇴적토(灌漑堆積土), 영양분(營養分)이 심층(深層)까지 집적(集積)된 채전(菜田) 등(等) 인위적(人爲的) 영향(影響)을 크게 받은 토양을 최고차(最高次) 분류단위(分類單位)인 목수준(目水準)에서 독립(獨立)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인위적인 교란(攪亂)을 받았으나 아직 단면(斷面)의 발달이 없는 토양을 초육토(初育土)의 아목수준(亞目水準)에서 구분하고 있다.

  • PDF

자외선에 의한 면역반응의 억제를 회복시키는 면역조절물질을 생산하는 토양 Streptomyces sp.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 Streptomyces sp. Producing An Immunomodulator That Restores Ultraviolet B Radiation-Induced Suppression Of The Immune Response)

  • 모영근;신영근;박동진;김창진;이종길;한성순
    • 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85-592
    • /
    • 1995
  • Soil microorganisms producing immunomoduators that can restore ultraviolet B (UVB) radiation-induced suppression of the immune response were screened in vitro. Exposure of freshly isolated murine epidermal cells (EC) to $180{\;}J/m^{2}$ of UVB radiation resulted in approximately 90% impairtnent of accessory cell function, as measured by their ability to support anti-CD3 monoclonal antibody-induced T-cell mitogenesis. When the culture supenmtants of 150 actinomycete strains were exanuned for their capacity to prevent or repair the UVB-induced impairment of accessory cell function, 4 of them were identified to contain immunomodulators that can restore the decreased accessory cell finiction. The soil isolate that showed the most effective restorative activity, G40025. was selected and fturther characters Addition of 10.mu.l of the culture supernatant of G40025 grown in G-media to cultures of UVB-irradiated EC right after UVB-irradiation restored the decreased accessory cell function by 58%. The immunomodtdator produced by G40025 appeared to be stable at 100.deg. C for 10 min. Taxonomical studies by cultural,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showed that the soil isolate, G40025, belongs to the genus Streptomy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