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salt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24초

제주지역 강하먼지의 조성에 관하여 : 2. 오염원 추정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Dustfall Sampled in Cheju Area: 2. Identification of Source)

  • 이기호;허철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1-111
    • /
    • 1999
  • In previous study, the local trends in dustfall chemistry and deposition were deter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s among dustfall, TSP and rainwater were also compared. Based on the previous result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ea salts and soil and soil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dustfall were studied and then the sources of dustfall in Cheju area were tentatively identifi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 PDF

시설재배지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racteristics of Soils Under Pretected Cultivation)

  • 임영상;홍성구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37-242
    • /
    • 1998
  • Salt accumulation is frequently experienced in soils under protected cultivation. Since protected cultivation does not have rainfall and resulting infiltration, salt accumulation in the soils is inevitable. In this study, analyzed were chemical charecteristics of soils under protected cultivation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may contribute the salt accumulation.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99 protected cultivation facilities around An-sung Gun, Gyungki-Do and analyzed for electrical conductivity, pH, organic matter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trend of changes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H along cultivation years. the only factor influencing salt accumulation was irrigation type. Soils in facilities using drip irrigation showed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ose using diversion-hose type irrigation.

  • PDF

시설재배지토양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racteristics of Soils Under Protected Cultivation)

  • 홍성구;이남호;전우정;황한철;남상운;윤영순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8-95
    • /
    • 1998
  • Salt accumulation is frequently experienced in soils under protected cultivation. Since protected cultivation does not bave rainfall and resulting infiltration, salt accumulation in the soils is inevitable. In this study, analyzed wer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under protected cultivation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may contribute the salt accumulation.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99 protected cultivation facilities around Ansung-Gun, Gyungki-Do and analyzed for electrical conductivity, PH, organic matter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trend of changes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pH along cultivation years. The only factor influencing salt acculmuation was irrigation type. Soils in facilities using drip irrigation showed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se using diversion-hose type irrigation.

  • PDF

염류(鹽類)가 축적(蓄積)된 시설재배(施設栽培) 토양(土壤)에서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시비효과(施肥效果) 및 양분수지(養分收支) (Nutrient Balance and Application Efficiency of Nitrogen and Potassium in Salt-Accumulated Greenhouse Soil)

  • 이상은;이춘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8-84
    • /
    • 1994
  • 염류(鹽類)가 축적(축積)된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 토양에서 토마토에 대한 질소와 칼리의 시비(施肥)반응과 양분수지(養分收支)를 구(求)하여 질소와 칼리의 시비효율(施肥效率) 증진을 위한 방법을 모색(摸索)코자 포장(圃場)실험을 실시하였다. 질소와 칼리의 시비수준(施肥水準)에 따른 토마토 수량은 통계적 유의성(有意性)을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무비구(無肥區)에서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일반 노지(露地)에서 질소와 칼리의 시비량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 현행(現行) 지표(指標)인 OM과 $K/{\sqrt{Ca+Mg}}$는 염류(鹽類)가 축적(蓄積)된 시설재배 토양에는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O_3-N$의 경시적(經時的) 토심별(土深別) 분포(分布)는 토양과 반응성(反應性)이 작은 $Cl^-$이온과 유사(類似)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한편 Ex.-K의 분포는 초기(初期)에는 $NO^--N$이나 $Cl^-$이온과 유사한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수확기(收穫期)에 비교적 건조(乾燥)한 상태를 거친 시험후(試驗後) 토양에서는 비정상적(0非正常的)으로 높아졌다. $NO_3{^-}-N$와 Ex.-K가 토심 28cm 하부(下部)로 용탈(溶脫)되어 손실(損失)되는 양은 식물체(植物體) 흡수량(吸收量)에 비해 각각 2~5와 1.5~3.5배(倍)로 매우 컸다.

  • PDF

해성점토의 석회 및 시멘트 안정처리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A Study for Influence of Salt on Stabilized Marin Clay with Lime and Cement)

  • 정두영;이병석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7권4호
    • /
    • pp.49-64
    • /
    • 1991
  • 석회 및 시멘트에 의한 안정처리는 이미 일반화 되어있지만 본 연구는 해안지역에서 토질안정처리를 할 경우 염분이 처리토의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제를 검토하였다. 실험 분석한 결과 시료토의 염분함량은 PH변화와는 거의 관계가 없으며 석회나 시멘트 첨가량 10%에서 석회의 PH는 12.4, 시멘트는 11.6에 근접하였다. 또한 양생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PH 와 Ca++이온 농도가 감소함을 볼 수 있었고 첨가량 10%의 처리토를 90일 양생한 후 X-ray회절 분석한 결과 NaCl 8%함유의 처리토가 0%함유의 것보다 Tobermonite, Etringite등의 반웅 생성 peak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회와 시멘트 처리토를 2$0^{\circ}C$와 5$^{\circ}C$로 양생 했을 때 2$0^{\circ}C$로 양생한 것이 5$^{\circ}C$로 양생한 것보다 일축압축강도가 크고, 기건양생의 처리토가 수침양생의 것보다 압축 강도가 컸다. 그리고 2~4%의 염분함량은 처리토의 일축압축강도를 촉진시키거나 강도발현을 저해하지 않았으나 8%의 경우에는 강도발현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시설재배지에서 토양 담수 및 배수에 의한 염류집적 경감 방안 (A Modified Methodology of Salt Removal through Flooding and Drainage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 오상은;손정수;옥용식;주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65-571
    • /
    • 2010
  • 시설하우스 내 토양의 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기존 관수제염의 문제점은 담수 시 염류가 심토층으로 이동하게 되며 심토층으로 이동된 염류는 시설하우스 내 모세관현상으로 다시 표토층으로 용출되어 순환을 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관수제염법을 일부 수정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토양을 담수시킨 후 부유물질을 침전시키고 상등액의 일부를 외부로 빼줌으로써 토양 하부로 염류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 심토층으로 염류가 확산이 되지 않았으며 모세관 현상에 의한 염류의 재집적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밖으로 유출되는 상등액에는 질소, 인, 칼리 등 비료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비료로 재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량의 MgO 투여와 30분 침전을 통해 담수의 탁도 성분을 초기 탁도의 95%이상을 침전 시킬 수 있었다. 담수 내에 암모니아와 인을 함유하고 그들의 농도가 줄어든 것으로 보아 일부 struvite 침전이 이루어졌으며 토양 내에서 천천히 용해되어 작물이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군산지역 준설토의 퇴적특성 (Deposition Properties of Dredged Materials of Kun-Jang Industrial Complex)

  • 한영철;송정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2년도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1-64
    • /
    • 1992
  • Recently, by the lack of fill material, the dredg and fill(hydraulic fill) method is commonly used in reclamation projects. Hydraulic fill method dredges the soil and send it with water through the transportation pipe to the site. The intial state of the hydraulic fill material is accordingly the mixture of water and soil skeleton which settles with time forming a new soil layer. The properties of new soil layer is governed the size of the soil skeleton, the flow velocity of mixing water, salt concentration,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ipe outlet, and other dredging conditions when settling process occu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radation of derdged soil on the deposition properties (with emphasis on the optimum spacing of the discharge pipes) was investigated by field test. It was found that the soft fine graind soil was forme at 350m from the discharge pipe outlet when the dredged material was classified as CL, while the soft fine grained soil was not formed even at the distance farther than 400m from the diacharge pipe outlet when the dredged material was classified as SM.

  • PDF

Organic Pollutant Transport in Unsaturated Porous Media by Atmospheric Breathing Processes( I ) - Partition Coefficient -

  • Ja-Kong;Lim, Jae-Shin;Do, Nam-You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년도 경북지부 결성 및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0-53
    • /
    • 1996
  • This paper reports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overall partition coefficient of VOCs in unsaturated soil, A chromatographic method wa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gaseous partition coefficients to natural soil under various water content conditions. The equilibrium vapor pressure of water over saturated salt solution was used to fix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air and control the water content of the soil systems. The transport behavior was studied for dichloromethane, trichloroethane and dichlorobenzene pollutants, with log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s(log $K_{ow}$ ) which range from 1.25 to 3.39, or water to soil partitioning which varies by 135 times; water solubility constants which vary by 3 times; and vapor pressures which range from 1 to 362 torr. Water content of the soil had a pronounced effect on the effective partition coefficient(between gas and soil + water stationary phase) as well as on the effective dispersion coefficient.

  • PDF

간척지 벼 재배시 토양 및 관개수 염의 안전 한계농도 (Critical Saline Concentration of Soil and Water for Rice Cultivation on a Reclaimed Saline Soil)

  • 최원영;이규성;고종철;최송열;최돈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8-242
    • /
    • 2003
  • 본 연구는 간척지 토양 염농도별(저염; 0.1-0.2%, 중염; 0.3~0.4%)로 분얼기 관개수 염수처리 농도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토양 및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초장은 짧았고 주당경수도 적었으며, 특히 중염 토양에서 관개수 염농도 0.3% 이상에서는 모두 고사되었다. 나. 토양 및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출수는 지연되었으며, 토양 염농도간에는 중염 토양에서 저염 토양보다 2-5일 정도 늦었다. 다. 간장은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짧았고 중염 토양이 저염 토양보다 짧았으며. 수장도 같은 경향이었다. 라. 저염토양에서는 관개수 염농도가 높을수록 $\textrm{m}^2$ 당립수가 적고 등숙비율이 낮아, 쌀수량은 민물 관개 수량에 비해 관개수 0.l%는 92%, 0.3%는 84%, 0.5%는 56%, 0.7%는 36% 수준이었다. 중염토양의 쌀수량은 저염토양 민물 관개 수량에 비해 민물 관개는 62%, 0.1% 관개수에서는 30% 수준이었다. 따라서 관개수 염농도가 저염 토양은 0.7%, 중염 토양은 0.3%까지 생육은 가능하나 수량 감소가 커서, 소득지수로 볼때 간척지 쌀 생산 한계 관개수 염농도는 저염 토양은 0.5% 이하에서, 중염 토양은 민물 관개수에서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