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organic matter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Rice Straw Compost on Cadmium Transfer and Metal-ions Distribution at Different Growth Stages of Soybean

  • Jung, Ha-il;Chae, Mi-Jin;Kong, Myung-Suk;Kang, Seong-Soo;Kim, Yoo-Ha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44-650
    • /
    • 2016
  • In soil-to-plant transfer of heavy metals, the amount absorbed and accumulated vari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conditions. The absorption rate of cadmium (Cd) in plants differs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bioavailability of Cd in the soil, while usage by various organic matters is also reported to affect absorption pattern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transfer of essential metal ions and Cd to various plant parts when rice straw compost was used to cultivate soybean (Glycine max L. cv. Daepung). In the two-leaf stage of soybean cultivated in a greenhouse, Cd was mixed in the soil, after which the Cd and essential metal ions contents,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soybean seedlings were studied on the 15th and 25th day. The Cd toxicity in the plant was reduced with the use of rice straw compost. Further, the Cd content varied with the plant part, and was higher in young leaves (3rd and 4th leaf) than in the stem. When analyzed by leaf age, the Cd transfer was highest in young leaves (3rd and 4th leaf), followed by mature leaves (1st and 2nd leaf).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t tissues in the absorption rate of copper (Cu) and zinc (Zn) when rice straw compost was used against Cd toxicity, the absorption rate of manganese (Mn) and iron (Fe)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in both the control and rice straw compost treatment conditions, as well 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af ages. Therefore,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use of rice straw compost against Cd toxicity is effective, and implies that the rate of Cd transfer in the soybean plant varies significantly with leaf age.

토양의 복합적 특성을 고려한 전략환경영향평가 방안 - 댐건설 장기계획을 중심으로 -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posal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 soil - Around the dam construction long-term plan -)

  • 김태흠;박선환;황상일;양지훈;이재영;황정배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1호
    • /
    • pp.51-62
    • /
    • 2016
  • 최근 토양자원에 대한 인식은 작물생산 뿐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의 질을 좌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정책계획과 개발기본계획에 대해 각 개별계획이 가지는 고유 특성을 감안하여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환경정책 및 국제협약 등 상위계획에서의 토양 세부평가 항목을 추출하여 댐건설 장기계획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전략환경영향평가에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토양침식, 토양영양물질, 토양오염, 토양이동, 토양생물다양성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세부 항목들은 기존 환경영향평가서상의 항목과 일정부분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전략환경영향평가시 평가항목간의 합리적 연계방안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분뇨처리를 위한 MBR공정에서 Microbubble의 적용 (Application of Microbubble in MBR Process for Night Soil Treatment)

  • 임지영;김진한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1호
    • /
    • pp.93-10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유기성 폐수인 분뇨 처리를 위한 MBR 공정에 마이크로버블을 적용하여 처리효율을 검토하고, 안정적 운영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마이크로버블을 분리막이 침지되어 있는 호기조에 직접 공급하였을 때에는 과도하게 스컴이 발생하여 처리공정의 안정적 운영이 불가능하였다. 생물반응조 전단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는 전처리조를 설치하여 고액분리와 유기물 산화를 실시한 다음 MBR 공정으로 처리한 결과 전처리조에서의 SS 제거율은 2kg, 4kg, 6kg, 그리고 $8kg\;COD_{Cr}/m^3{\cdot}day$의 유기물 부하에서 각각 평균 74.3%, 82.8%, 75.0%, 52.1%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처리공정 처리수의 SS 제거율은 평균 99.4% 이상이었다. 또한 최종처리수의 $TCOD_{Cr}$ 제거율은 평균 94.0% 이상이었으며, $SCOD_{Cr}$ 제거율은 평균 74.1% 이상이었다. 한편, 마이크로버블을 호기조에 직접 공급할 경우 마이크로버블과 오염물질들이 함께 분리막에 부착되어 fouling 현상이 가속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분뇨와 같은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공정에는 SS 제거와 유기물 산화를 목적으로 생물반응조 전단에 마이크로버블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물관리와 볏짚 및 퇴비가 메탄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Management Rice Straw and Compost on Methane Emission in Dry Seeded Rice)

  • 고지연;강항원;박경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2-217
    • /
    • 1996
  • 건답직파 재배시 물관리 및 유기물원별 볏짚의 시용시기를 달리하여 메탄배출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재배시 논토양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의 배출양상은 3엽기 이전까지는 마이너스 배출치를 나타내다가 생육의 진전과 기온의 상승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출수기에 최대Peak를 나타내었다. 2. 유기물원별 메탄가스의 배출량은 볏짚 시용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퇴비시용은 NPK시용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볏짚 시용시기별로는 파종 한달전 시용함이 파종직전 처리에 비해 약40%의 메탄배출저감효과를 보았다. 3. 물관리별로는 간단관개가 상시담수에 비해 약19% 저감되었다.

  • PDF

리기다소나무림 부식토내의 Cellulase , Xylanase 의 활성과 토양미생물의 연간변동과 수직분포 (Annual Fluctuations and Vertical Distributions of Cellulase, Xylanase Activities and Soil Microorganisms in Humus Horizon of a Pinus rigida Stand)

  • Chang, Nam-Kee;Jun Hi Yo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4호
    • /
    • pp.231-241
    • /
    • 1986
  • The annual decomposition of cellulose and hemicellulose by microorganism and distribution of soil microbial flora were investigated in the humus horizon of a Pinus rigida stand in Mt. Kwanak. The cellulase activity was the lowest, 142$\mu$g glucose/g/hr from Dec. 1985 to Mar. 1986 and the highest, 760~1, 072$\mu$g glucose/g/hr in Jul. and Aug. 1985. The xylanase activity was 47% higher than the cellulase activity and was the lowest, 211~275$\mu$g xylose /g/hr from Feb. to Mar. 1986 and the highest as 799~1, 322$\mu$g xylose/g/hr from Jun. to Aug. 1986.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enzyme activity was decreased with the order of F, H, L, and A1 in both enzymes and the activities were exponentially decreased below L horizon, which suggests that most decomposition be done in F and H horizons with lots of organic matters. The SEM study slowed that the main decomposers of litters were fungi and initial attack into litters was also made by them. The enzyme activities of soil had strong correlations with the temperature and the precipit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813 and 0.886 in the cellulase, and 0.673 and 0.626 in the xylanase for the temperature and the precipitation, respectively.

  • PDF

벼 육묘 생장에 미치는 팽화왕겨의 효과 (Effect of Nursery Soil Made of Expanded Rice Hull on Rice Seedling Growth)

  • 김제윤;김경민;손재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9-183
    • /
    • 2003
  • 팽화왕겨'를 이용한 벼 육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판상토와 '팽화왕겨'의 성분분석 결과 산도와 유기물 함량은 '팽화왕겨'가 '부농상토' 보다 높았고, 유효인산,질산태 및 암모니아태 질소는 '부농상토'에서 높았다. 상토 종류에 따른 15일묘의 초장은 '부농상토'에서 22.8㎝로 가장 길었고 '팽화왕겨'만을 이용했을 때 12.8㎝로 가장 짧았다. 염수는 상토종류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묘충실도와 매트형성 정도는 '팽화왕겨'를 깔고 시판상토를 복토한 것에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묘의 초장은 공시 품종 모두 '부농상토'에서 컸으나, 묘충실도와 매트형성은 '팽화왕겨'를 깔고 '부농상토'를 복토한 것에서 오히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상토의 파종후 상자당 무게는 4.8㎏이였으나 '팽화왕겨'를 깔고 시판상토를 복토한 것은 3.5㎏에 불과하였다.

벼 논에서 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및 농업기후대가 CH4 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Paddy Types and Agricultural Climatic Zone on CH4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

  • 고지연;이재생;우관식;송석보;강종래;서명철;곽도연;오병근;남민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87-894
    • /
    • 2011
  • 영남지역에서 자연적 입지조건이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04년, 2005 및 2007년의 3년간 경남 밀양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시험포장과 인근 포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논토양에서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 깊은 자연적 요인인 논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보통답, 미숙답, 습답 및 사질답) 및 농업기후대별 (영남내륙지대, 영남내륙산간지대 평지 및 산지, 동해안중부지대) 로 $CH_4$ 배출량을 조사하였다. 논토양 유기물 함량에 따른 $CH_4$ 배출량은 동일비료의 장기연용에 의하여 인접한 토양임에도 토양유기물 함량이 서로 다른 시험구에서 벼 표준재배법에 따라 동일하게 시비관리하면서 조사하였다. 논토양 $CH_4$ 배출량은 GWP 기준으로 3요소+퇴비 장기시용에 의하여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던 처리구에서 $CH_4$ 배출량이 $3,597kg\;CO_2\;ha^{-1}\;yr^{-1}$ (10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퇴비 72.1%, 3요소 70.5%, 3요소+규산 49.9% 및 무비 41.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 유기물 함량의 순서와 일치하였으며,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량과 토양 유기물 함량 사이에는 r = $0.963^{**}$의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y = $4.3096x^{1.81314}$, 단 x는 토양 유기물함량, g $kg^{-1}$).논 유형별 $CH_4$ 배출량 (GWP) 은 토양 투수속도가 느리고, 유기물 함량이 높아 토양의 혐기상태가 강하게 유지되는 습답에서 $14,160kg\;CO_2\;ha^{-1}\;yr^{-1}$ (100%)로 가장 많았고, 미숙답은 64.0%, 보통답 46.8%, 사질답 23.8%의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기후대에 따른 논토양 $CH_4$ 배출량 (GWP)은 벼 재배기간 중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영남내륙지대 (밀양)에서 $4,967kg\;CO_2\;ha^{-1}\;yr^{-1}$ (100%)로 가장 배출량이 많았 고, 동해안중부지대 (영덕) 94.6%, 영남내륙산간 평지 (상주 신봉) 91.7% 및 영남내륙산간 산지 (상주 화서) 78.9%의 순이었다. 기후대별 온도인자 중 7-9월 평균기온과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량 사이의 회귀식은 y = 389.7x-4,287(단 x는 농업기후대별 7-9월 평균기온, $R^2=0.906^*$)이었다. 이와 같은 자연적 입지조건이 논토양 $CH_4$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논토양 입지조건을 고려한 온실가스 저감방법 구명 및 개발에 기초연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천지역 해안매립지 식재기반 평가 연구 (Evaluation of Soil in Planting Ground at Seashore Reclaimed Land in Incheon)

  • 김원태;윤용한;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447-145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hysicochmical characteristics of oil within planting base of Incheon coastal reclamation cities where 10 years have passed since reclam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ts by conducting evaluation based on the planting degree standard. Study targets were Cheongra, Sondo, and Yeongjong districts within Incheon Free Economic Zone, the coastal reclamation city. The analysis results of average soil characteristics of 3 districts. Soil acidity(pH) was shown in orders of Cheongra district(8.85) > Songdo district(8.70) > Yeongjong district(7.97) and electric conductivity(EC) was shown in orders of Cheongra district(4.80 dS/m) > Songdo district(1.30dS/m) > and Yeongjong district(0.07 dS/m). Organic matter content(OMC) was shown in orders of Cheongra district(5.72%) > Songdo district(2.60%) > Yeongjong district(0.59%) and available phosphate was shown in orders of Cheongra district(70.70 mg/kg) > Songdo district(23.07 mg/kg) > Yeongjong district(2.49 mg/kg). $K^+$ was shown in orders of Songdo district(0.84 cmol/kg) > Cheongra district(0.74 cmol/kg) > Yeongjong district(0.22 cmol/kg), $Ca^{++}$ was shown in orders of Cheongra district(22.08 cmol/kg) > Songdo district(9.87 cmol/kg) > Yeongjong district(4.04 cmol/kg), and $Mg^{++}$ was shown in orders of Cheongra district(1.98 cmol/kg) > Songdo district(1.22 cmol/kg) > Yeongjong district(1.12 cmol/kg). Planting base level of coastal reclaimed land can be applied with above intermediate level, soil acidity and available phosphate were all more than intermediate in 3 districts, and electric conductivity was low level in Cheongra district and more than intermediate level in Songdo and Yeongjong districts. Organic matters content was more than intermediate level in Cheongra district and low level in Songdo and Yeongjong district. $K^+$ among exchangeable ions was intermediate level in Cheongra and Songdo districut and low in Yeongjong district. $Ca^{++}$ and $Mg^{++}$ both were more than imtermidiate levels in 3 districts.

시화호 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및 효과적 관리방안 (Evaluation of the Sediments Contamination in the Lake Sihwa)

  • 김승진;배우근;신경훈;최동호;백승천;윤승준;최형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4호
    • /
    • pp.16-24
    • /
    • 2007
  • 시화호 저서생태계의 비용효과적 복원을 위한 퇴적토 관리 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화호 내 오염퇴적물의 현황 및 저서생태계 특성에 대한 조사와 퇴적물 관리 기준과 사례 연구가 수행되었다. 미국해양대기청의 퇴적물환경권고기준에 따라 시화호 퇴적토의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한 결과 13개 조사지점 중 반월/시화 산단과 인접해 있는 4개 지점의 퇴적토가 2개 이상의 중금속에서 ERL (Effects Range Low : 저서생물 10%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농도)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 워싱턴 주와 네덜란드에서 정하고 있는 퇴적토 제거기준은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유기물 및 황화물 오염의 관점에서 개발된 일본 나고야항과 동경만/요코하마만의 퇴적물 제거기준에 의하면 시화호 표층 퇴적물 대부분이 제거대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서생물의 조사결과 Polydora ligni (얼굴갯지렁이)와 Musculista senhousia (종밋)와 같은 오염지시종이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이로 미루어 유기물 오염에 의한 여름철 용존산소 고갈 및 황화수소 생성등이 일반적인 저서생물의 건강한 성장을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기물, 황화물 및 중금속과 오염퇴적토가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일부 지역은 우선적으로 퇴적토 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종도 삼림식생의 군락생태 (Synecology of the Forest Vegetation of Yeongjongdo)

  • 이호준;김종홍;전영문;정흥락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5호
    • /
    • pp.223-236
    • /
    • 2003
  • 영종도의 삼림식생은 곰솔군락,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물박달나무군락의 10개 이차림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아까시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 등 3개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상대기여도(R-NCD)에 의한 계층별 우점종은 아교목층에서 상수리나무, 소나무, 굴피나무, 팥배나무, 갈참나무, 관목층에서 진달래, 굴피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초본층에서 그늘사초, 산거울, 진달래, 억새, 주름조개풀 등으로 대부분 건조한 환경에 주로 출현하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군락의 층상구조 발달은 빈약하였다. 흉고직경 분포는 각 군락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2∼10 ㎝ 범위의 소경목이 전체의 56%를 차지하였으며 인위적 교란 후 재생과정 중에 있는 식생으로 수령은 40년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군락별 토양환경의 pH는 전체평균값이 4.73(4.53∼5.10)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은 산지대에 분포하는 신갈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식재림, 밤나무식재림이 산지 능선부나 해안가, 저지의 구릉지에 주로 분포하는 곰솔군락, 소나무군락에 비하여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과 총질소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