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nitrogen

검색결과 2,409건 처리시간 0.028초

벼-보리 작부지대(作付地帶) 유기물연용시용법(有機物連用施用法) 연구(硏究) (Studies on Establishment of Application Method of Organic Matter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

  • 한규흥;나오도 마즈다;노태홍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337
    • /
    • 1986
  • 벼-보리 작부시(作付時)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 시용방법(施用方法)을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각(各) 작기별(作期別)로 유기물자재(有機物資材) 및 시용량(施用量)을 달리하여 세립회색(細粒灰色) 저지토(低地土)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부식함량(腐植含量)과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은 볏짚 환원구(還元區)를 제외(除外)한 모든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증가(增加)되었고 그중(中) 퇴비배량구(堆肥倍量區)가 제일(第一) 높았다. 2) 추출질소(抽出窒素)(지력질소(地力窒素))는 볏짚+보리짚 시용구(施用區)에서 분해과정(分解過程)이 지연(遲延)됨에 따라 수확기(收穫期) 잔존량(殘存量)이 제일(第一) 많았으며 완숙퇴비(完熟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는 오히려 적었다. 3)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수량(收量)은 퇴비배량구(堆肥倍量區)에서 높았고 부식함량(腐植含量), 전질소(全窒素),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수량간(收量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나 추출질소(抽出窒素)와 전질소(全窒素) 및 수량간(收量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에 의(依)한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 변화(變化)는 인산(燐酸)과 가리(加里)는 각(各)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 C. E. C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 다소(多少) 높았으며 물리성(物理性) 변화(變化)는 거의 없었다.

  • PDF

밭토양에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혼파비율이 Biomass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Rate on Hairy vetch (Vicia villosa) - Rye (Secale cereale) Mixtures for Green Manure Production in Upland Soil)

  • 전원태;성기영;이종기;김민태;조현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27-3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밭토양에서 녹비작물을 이용한 화학비료 대체기술을 개발하고자 2006년 가을부터 2007년 6월까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환경포장에서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의 생초량은 5월 중순, 호밀은 4월 중.하순에 최대 생산성을 보였고 혼파비율에 따라서는 두과의 혼파 비율은 높은 혼파 3:1에서 전생육기간 동안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2. 건물중은 생초중과 유사한 경향으로 4월 중순부터 혼파 2:1과 3:1에서 호밀단파 수량보다 지속적으로 높았다. 3. 질소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경향으로 헤어리베치는 전 시험 기간 동안 3%이상을 나타내었고 호밀은 출수 후인 5월 상순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혼파구는 헤어리베치의 파종량이 많은 처리구에서는 5월 하순까지 2.2%이상의 질소함량을 나타내었다. 4. 헤어리베치의 질소생산성은 5월 상순경에 최대 생산성을 보였고 호밀은 4월 하순에 최대생산량을 보였다. 혼파 3 : 1에서는 4월 중순에 질소생산성을 10a 당 21.7 kg을 생산하여 옥수수 등의 후작의 화학비료 대체 가능성을 보였다. 5. 헤어리베치는 전 시험 기간동안 C/N율이 15이하였으나 호밀은 5월 상순부터 59로 급격히 높아졌다. 혼파 3:1은 높은 생산을 나타냈지만 모두 30 이하의 낮은 C/N율을 보였다. 6. 헤어리베치 단파구와 혼파구에서 유기물의 함량과 질산태질소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호밀구에서 반대경향을 나타내어 혼파는 유기물 증가와 질산태질소의 유실 경감에 기여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토성별 질소분시방법이 생육에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Split Application Methods under Different Soil Textur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 김정곤;윤용대;양원하;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31-737
    • /
    • 1995
  • 벼 건답직파재배시 토성이 다른 양토와 사양토에서 질소분시방법 차이가 생육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고자 화성벼를 4월 27일에 평면줄뿌림하여 시험을 수행했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묘수는 토성 및 질소분시방법에 일정한 경향이 없이 159~177개/$m^2$ 의 분포를 보였다. $m^2$ 당 수수는 양토가 사양토보다 많았으며, 사양토, 양토 모두 추비중점시비 (3엽기-7엽기-수비=40-30-30% 및 기비-3엽기-7엽기-수비=10-30-30-30%)가 관행 시비방법(기비-5엽기-수기=40-30-30%)보다 많았다. 2. 생육시기별 엽색, 출수기엽면적지수 및 건물중은 토성간에는 양토가 사양토보다 높았고, 질소분시방법간에는 추비중점시비는 관행보다 높았으나 20%감비와 완효성 시료시용은 관행보다 낮았다. 3. 도복지수는 추비중점시비에서 간장이 크고 협절중이 낮아 관행보다 높은 도복지수를 보였고, 이 결과 포장도복도 추비중점시비에서 3정도 발생하였다. 4. 추비중점시비는 관행에 비하여 등숙비율이 약간 낮았고 천립중은 비슷하였으며, 현미에서 완전미율이 낮은 반면 청미와 미숙립율이 높았다. 5. 수량은 관행대비(사양토 5.08t/ha, 양토 5.22t/ha) 추비중점시비에서 사양토는 7~9%, 양토는 6~9% 증수되었다.

  • PDF

신개발 심층시비장치를 이용한 심층시비가 벼와 콩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er Deep Placement on Rice and Soybean Yield Using Newly Developed Device for Deep Fertilization)

  • 홍성창;김민욱;김진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4-51
    • /
    • 2023
  • Nitrogen fertilizer is an essential macronutrient that requires repeated input for crop cultivation. Excessive use of nitrogen fertilizers can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by discharging NH3, NO, and N2O into the air and leaching into surrounding water systems through rainfall runof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reduces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used without compromising crop yields. Fertilizer deep placement could be a technology employ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nitrogen fertilizer use. In this study, a deep fertilization device that can be coupled to a tractor and used to inject fertilizer into the soil was developed. The deep fertilization device consisted of a tractor attachment part, fertilizer amount control and supply part, and an underground fertilizer input part. The fertilization depth was designed to be adjustable from the soil surface down to a depth of 40 cm in the soil. This device injected fertilizer at a speed of 2,000 m2/hr to a depth of 25 to 30 cm through an underground fertilizer injection pipe while being attached to and towed by a 62-horsepower agricultural tractor. Furthermore, it had no difficulty in employing various fertilizers currently utilized in agricultural fields, and it operated well. It could also perform fertilization and plowing work, thereby further simplifying agricultural labor. In this study, a newly developed devi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ep fertilizer placement (FDP) compared to those with urea surface broadcasting, in terms of rice and soybean grain yields. FDP increased the number of rice grains, resulting in an average improvement of 9% in rice yields across three regions. It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soybean pods, resulting in an average increase of 23% in soybean yields across the three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wly developed deep fertilization device can efficiently and rapidly inject fertilizer into the soil at depths of 25 to 30 cm. This fertilizer deep placement strategy will be an effective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 used to increase rice and soybean yields, in addition to reducing nitrogen fertilizer use, under conventional rice and soybean cultivation conditions.

시설재배지 염류집적 토양에 대한 추비 저감 처리가 토마토 수량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uced additional fertilizer on tomato yield and nutrient contents in salt accumulated soil)

  • 임정은;하상건;이예진;윤혜진;조민지;이덕배;성좌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423-42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uced nitrogen (N) and potassium (K) fertigation as additional fertilizer on tomato yield and nutrient contents in excessively nutrients-accumulated soil. Shoot and root dry weights (DW), dry matter rate for shoot, root and fruit and number of fruit in both AF50 and AF100 (50 and 100% levels of additional fertilizer) treatments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ose in AF0 (0% level of additional fertilizer) treatment. In case of nutrient uptake by tomato, nitrogen, phosphorous (P) and potassium contents in all tomato parts (leaf, stem, root and fruit) in AF50 and AF100 treatment were lower than those in AF0 treatment. On the contrary, soluble sugar and starch contents in all tomato parts in AF50 and AF100 were higher than those in AF0 treatmen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F0 and AF50 or AF100 in tomato growth, yield, nutrient level and contents of soluble sugar and starch. In contrast, the level and initiation point of fertig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arameters. Based on our results, the application of properly reduced level of additional fertilizer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oductivity of tomato and alleviate the nutrient accumulation in plastic film house soils.

내비성(耐肥性)에 관(關)한 질소대사적(窒素代謝的) 개념(槪念) -II. 질소환경(窒素環境) 변화(變化)에 따른 질소대사(窒素代謝) (Cencept of adaptability for heavy nitrogen in view of nitrogen metabolism -II. Nitrogen metabolism under the change of itrogen nenvironment)

  • 윤종혁;박훈;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9-53
    • /
    • 1974
  • 장려품종이며 온대형질(溫帶形質)인 진흥(振興)과 열대형질(熱帶形質)인 다수성(多收性) 신품종(新品種) IR 667을 사용(使用)하여 수경(水耕)에서 고(高)(50 또는 80ppm) 저(低)(10 또는 40ppm)의 질소수준(窒素水準) 또는 2주간질소(二週間窒素) 결제(缺除)(최분기(最分期)와 출수기(出穗期))에 의(依)한 질소대사상(窒素代謝上)의 차이(差異)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수경(水耕)에서 진흥(振興)은 고농도(高濃度)에서 수량(收量)이 크고 IR 667은 저농도(低濃度)에서 크다. 2. IR 667은 고농도(高濃度)에서 암모늄 독작용(毒作用)을 받아 감수(減收)된 것 같고 이것은 질소결제(窒素缺除)로 방지(防止)었다. 3. IR 667은 진흥(振興)보다 질소환경(窒素環境)의 변화(變化)에 감수성(感受性)이 크다. 4. 진흥(振興)은 고농도(高濃度)에서 질소흡수력(室素吸收力)과 단백합성력(蛋白合成力)이 IR 667 보다 우열(優熱)하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이와 반대(反對)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진흥(振興)은 대사적내비성(代謝的耐肥性) 크고 IR667은 구조적내비성(構造的耐肥性)이 큰 것으로 보이며 이상적(理想的) 생산적(生産的) 내비성(耐肥性)은 이 두 품종(品種)의 내비성(耐肥性)의 결합형(結合型)으로 보인다.

  • PDF

On-Line Real Time Soil Sensor

  • Shibusawa S.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권2호
    • /
    • pp.45-49
    • /
    • 2003
  • Achievements in the real-time soil spectro-photometer are: an improved soil penetrator to ensure a uniform soil surface under high speed conditions, real-time collecting of underground soil reflectance, getting underground soil color images, use of a RTK-GPS, and all units are arranged for compactness. With the soil spectrophotometer,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0.5 ha paddy field. With the original reflectance, averaging and multiple scatter correction, Kubelka-Munk (KM) transformation as soil absorption, its 1st and 2nd derivatives were calculated. When the spectra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oil parameter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include the best prediction models for moisture, soil organic matter (SOM), nitrate nitrogen ($NO_3-N$),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EC), and soil maps obtained by block kriging analysis.

  • PDF

Response of Rice Yield to Nitrogen Application Rate under Variable Soil Conditions

  • Ahn Nguyen Tuan;Shin Jin Chul;Lee Byu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47-255
    • /
    • 2005
  • ice yield and plant growth response to nitrogen (N) fertilizer may vary within a field, probably due to spatially variable soil conditions. An experiment designed for studying the response of rice yield to different rates of N in combination with variable soil conditions was carried out at a field where spatial variation in soil properties, plant growth, and yield across the field was documented from our previous studies for two years. The field with area of 6,600 m2 was divided into six strips running east-west so that variable soil conditions could be included in each strip. Each strip was subjected to different N application level (six levels from 0 to 165kg/ha), and schematically divided into 12 grids $(10m \times10m\;for\;each\;grid)$ for sampling and measurement of plant growth and rice grain yield. Most of plant growth parameters and rice yield showed high variations even at the same N fertilizer level due to the spatially variable soil condition. However, the maximum plant growth and yield response to N fertilizer rate that was analyzed using boundary line analysis followed the Mitcherlich equation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approaching a maximum value with increasing N fertilizer rate. Assuming the obtainable maximum rice yield is constrained by a limiting soil property, the following model to predict rice grain yield was obtained: $Y=10765{1-0.4704^*EXP(-0.0117^*FN)}^*MIN(I-{clay},\;I_{om},\;I_{cec},\;I_{TN},\; I_{Si})$ where FN is N fertilizer rate (kg/ha), I is index for subscripted soil properties, and MIN is an operator for selecting the minimum value. The observed and predicted yield was well fitted to 1:1 line (Y=X) with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0.564. As this result was obtained in a very limited condition and did not explain the yield variability so high, this result may not be applied to practical N management. However, this approach has potential for quantifying the grain yield response to N fertilizer rate under variable soil conditions and formulating the site-specific N prescription for the management of spatial yield variability in a field if sufficient data set is acquired for boundary line analysis.

온도 변화에 따른 산지습지 토양의 $N_2O$ 배출 양상 ($N_2O$ Emissions on the Soil of Alpine Wetland by Temperature Change)

  • 김상훈;임성환;추연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409-418
    • /
    • 2013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는 전세계적으로 매우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난화정도, 토양 온도, 강우량, 토양수분함량, 탈질작용 등과 같은 요인들은 토양으로부터 아산화질소 ($N_2O$)의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습지인 오대산 질뫼늪과 정족산 무체치늪 토양으로부터 온도변화에 따른 $N_2O$ 발생을 조사하였다. 7월 채취한 질뫼늪 토양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N_2O$ 발생이 증가하였으나 $10^{\circ}C$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5^{\circ}C$$20^{\circ}C$ 토양은 24시간까지는 증가하는 $N_2O$ 발생양상을 보였으나 그 이후 발생량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온도처리에 따른 유의한 차이만을 보였다. 무제치늪 토양 또한 질뫼늪 토양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부가적인 질소원 처리에 대해 두 습지 토양은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질소부가나 질소원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탄토양으로부터 배출하는 $N_2O$의 양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질소원의 종류와 부가량은 $N_2O$ 배출 양상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산지 이탄습지 토양의 $N_2O$ 배출양상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질소원의 차이, 질소의 시비, 토양효소 활성이나 질화세균의 활동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요인에 대한 복합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논토양(土壤)의 탈질작용(脫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II보(報). 유기물(有機物)의 종류(種類) 및 질소시비량차이(窒素施肥量差異)가 탈질(脫窒)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enitrification in the Submerged Paddy Soil -II. The Denitrification Rates Upon Kinds of Applied Organic Matter and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 이상규;김승환;박준규;안상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6-82
    • /
    • 1986
  • 1. 항온기간중(恒溫期間中) $N_2O$의 경시적(徑時的) 발생량(發生量)은 항온(恒溫) 1일(日)과 10일경(日傾) 그리고 $N_2$의 발생량(發生量)은 1일(日)과 30일경(日傾)에 많았다. 2. 토양유기물함량별(土壤有機物含量別) 탈질량(脫窒量)은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시용유기물간(施用有機物間)에는 녹비(綠肥)>볏짚>퇴비(堆肥)>무시용(無施用)의 순서(順序)로 높았다. 3.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탈질량(脫窒量)은 증가(增加)되었으나 토양간(土壤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가 없었음. 4. 탈질반응속도(脫秩反應速度)(계수(係數))는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이 많고 역분해성유기물(易分解性有機物)을 시용(施用)할수록 증가(增加)되었음. 5. 토양중(土壤中) 탄소발생량(炭素發生量)과 탈질량(脫窒量)과의 관계(關係)에서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는 정상관(正相關) 그리고 분자상질소(分子狀窒素)는 부상관관계(負相關關係)를 보였음. 6. 탄소(炭素) 1 mg이 소모(消耗)될때 약 4 mg의 $N_2O$와 3 mg의 $N_2$가 생성되었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