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characteristic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28초

Factors affecting hydraulic anisotropy of soil

  • Nurly Gofar;Alfrendo Satyanaga;Gerarldo D. Aventian;Gulnur Pernebekova;Zhanat Argimbayeva;Sung-Woo Moon;Jong Ki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4호
    • /
    • pp.343-353
    • /
    • 2024
  • The hydraulic anisotropic behavior of unsaturated soil has not been fully explored in relation to the grain-size distribu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laboratory assessments to examine the hydraulic anisotropy condition of statically compacted specimens in various initial states. The investigation incorporated the concept of hydraulic anisotropy by employing two discrete forms of soil stratification: horizontal-layering (HL) and vertical-layering (VL). The examined soils comprised sandy silt and silty sand, exhibiting either unimodal or bimodal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SWCC).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the hydraulic anisotropy ratio and soil properties.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the hydraulic anisotropy ratio and several soil parameters, including fine content, dry density, plastic limit, and liquid limit. The study results indicate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age of fine and dry density in soils with unimodal and bimodal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SWCC) and hydraulic anisotropy ratio.

풍화계열 사면의 불포화 함수특성곡선 이력이 강우 침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steresis on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in Weathered Granite and Gneiss Soil Slopes during Rainfall Infiltration)

  • 신길호;박성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33
    • /
    • 2006
  • Shallow failures of slopes in weathered soils are caused by infiltration due to prolonged rainfall. These failures are mainly triggered by the deepening of the wetting band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suction induced by the water infiltration. In this paper, hysteresis on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SWCC) of granite and gneiss weathered soils are investigated using transient flow analysis respectively. Each case was subjected to artificial rainfall intensities and time duration depending on the laboratory-based drying and wetting proces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unsaturated seepage on weathered slopes are very much affected by the initial suction of soils and unsaturated permeability of the soils. In addition, a granite weathered soil has a lower air-entry value, residual matric suction, and wetting front suction and less hysteresis loop than a gneiss weathered soil.

  • PDF

바이오폴리머를 포함한 모래지반의 흙-습윤 특성곡선 연구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of Sandy Soils Containing Biopolymer Solution)

  • 정종원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0호
    • /
    • pp.21-26
    • /
    • 2018
  • 흙-습윤 특성곡선은 불포화토에서 물의 흐름, 다상유체에서의 상대투수계수, 그리고 흙의 강성 및 부피 변화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바이오폴리머는 미생물에 완전 분해가 가능한 자연에 무해한 친환경 물질이다. 따라서, 치토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잔탄검, 알지네이트염 및 폴리아크릴산 등과 같은 바이오폴리머가 지반복원, 지반성능향상 및 오일생산증진을 위해 연구되어왔다.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은 바이오폴리머의 일종으로, 유체의 흐름 특성 향상을 통하여 오일생산증진 및 지반복원 등의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을 포함한 모래의 흙-습윤 특성곡선의 이해하기 위해서 실내시험을 수행하고, 이론적 모델의 매개변수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포화된 모래에 주입되는 공기의 주입 모세관압력이 증가함을 보이고, 높은 모세관압력에서의 잔류 함수비 역시 증가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이론식 모델의 매개변수를 구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흙-습윤 특성곡선이 실내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이론적 모델의 매개변수를 알고 있으면, 본 연구에서 활용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이외의 바이오폴리머를 포함한 모래 지반의 흙-습윤 특성곡선이 예측이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불포화 준설매립 지반의 흙-수분 특성곡선 및 불포화 투수계수 예측 (Prediction of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and Unsaturated Permeability Coefficient of Reclaimed Ground)

  • 신은철;이학주;오영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09-120
    • /
    • 2004
  • 불포화지반에서 발생되는 부 간극수압은 함수비 변화에 따라 비선형적인 거동을 보이며, 이 관계를 흙-수분 특성곡선(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이라고 정의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흙에 대한 흙-수분 특성의 연구결과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기 때문에 불포화 지반의 응력해석 및 침투해석 시, 마땅히 입력할 계수나 특성값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준설매립지반의 주요 토사인 준설토와 모래, 그리고 복토재로 사용되는 화강풍화토에 대한 흙수분 특성시험을 실시하여 흙-수분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해석적 검증을 통하여 불포화 지반의 응력해석 및 침투해석 시 필요한 계수를 분석하였다. 또한, 입도분포곡선으로부터 흙수분 특성곡선 예측모델을 적용하고 흙수분 특성시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흙-수분 특성시험결과, 세 가지 시료 모두 뚜렷한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에 제안된 경험방정식에 실험결과를 적용한 결과 Fredlund and Xing의 경험방정식은 세 가지 시료 모두에 대하여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입도분포를 이용한 예측모델은 Fredlund and Wilson의 방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흙-수분 특성시험결과와 다양한 예측모델을 통하여 불포화 투수계수를 예측하여 상호 비교한 결과, 모래와 화강풍화토는 Fredlund and Wilson의 방법, 준설토는 Arya and Paris의 예측모델이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불포화 함수특성의 경로의존성을 고려한 현장사면 수리거동 예측 (Predicted Hydraulic Behavior in In-Situ Soil Slope Using the Path-Dependent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

  • 박현수;송영석;박성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25-34
    • /
    • 2017
  • 불포화상태 지반의 흡수력과 응력변화를 반영한 토사사면의 전체 안정성 평가에서 매우 중요한 상태평가 입력변수로 함수특성곡선이 활용되고 있다. 함수특성의 경로의존성은 일반적으로 건조와 습윤과정으로 이력현상을 내포하는데 현장계측결과는 주로 실내실험의 습윤과정에 가깝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비정상류 해석에 적용하여 해석과 현장 계측된 결과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심도가 증가할수록 강우의 영향이 작고 습윤과정을 적용해 산정된 값에 근접하였다. 따라서 불포화 토사사면 해석 시에 경로의존 함수특성곡선을 적용하여 안정성을 판단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결과로 판단된다.

Fluorescence Characteristic Spectra of Domestic Fuel Products through Laser Induced Fluorescence Detection

  • Wu, Ting-Nien;Chang, Shui-Ping;Tsai, Wen-Hsien;Lin, Cian-Yi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5호
    • /
    • pp.18-25
    • /
    • 2014
  • Traditional investigation procedures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are followed by soil gas sampling, soil sampling, groundwater sampling, establishment of monitoring wells, and groundwater monitoring. It often takes several weeks to obtain the analysis reports, and sometimes, it needs supplemental sampling and analysis to delineate the polluted area. Laser induced fluorescence (LIF) system is designed for the detection of free-phase petroleum pollutants, and it is suitable for on-site real-time site investigation when coupling with a direct push testing tool. Petroleum products always contain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compounds possessing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that make them detectable through LIF detection. In this study, LIF spectroscopy of 5 major fuel products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databank of LIF fluorescence characteristic spectra, including gasoline, diesel, jet fuel, marine fuel and low-sulfur fuel. Multivariate statistical tools were also applied to distinguish LIF fluorescence characteristic spectra among the mixtures of selected fuel products. This study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identifying fuel species based on LIF characteristic fluorescence spectra, also LIF seemed to be uncovered its powerful ability of tracing underground petroleum leakages.

강우시 습윤에 의한 불포화 풍화토의 사면 안정 해석 연구 (A Study of Stability Analysis on Unsaturated Weathered Slopes Based on Rainfall-induced Wetting)

  • 김재홍;박성완;정상섭;유지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23-136
    • /
    • 2002
  • 강우시 발생하는 여러 사면의 얕은 파괴는 지표로 침투하는 강우에 의한 포화깊이 증가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사면 해석을 위하여 국내의 전형적인 표토층을 구성하는 화강풍화토를 3가지(SW, SP, SM)로 분류하여 함수특성곡선을 각각 구하고 그에 따른 함수특성곡선의 방정식을 추정하였으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Green & Ampt의 포화깊이 추정식과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추정식의 사용범위에 대한 제한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강우에 의한 사면의 포화깊이가 사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화강풍화토의 함수특성곡선을 이용하여 불포화사면의 강도정수를 추정하여 계산된 불포화지반의 해석이 기존의 포화사면의 해석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정수슬러지 혼합토의 함수특성곡선과 불포화 투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and Unsaturated Permeability of Sludge Mixture)

  • 임병권;김윤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57-6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정수슬러지의 고함수비 문제를 해결하고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정수슬러지와 화강풍화토를 다양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슬러지혼합토(sludge mixture)를 제작하고, 다양한 실내 시험을 통해 슬러지혼합토의 물리적 특성과 불포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정수슬러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모관흡수력에 대응하는 체적 함수비는 증가하였다. 또한 정수슬러지 함량 또는 세립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함입치는 0.9kPa에서 2.4kPa로 증가하였다. 슬러지혼합토의 포화투수계수 값과 함수특성곡선의 결과를 활용하여 강우 시 침투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인 불포화 투수함수를 산정하였다.

세척제에 따른 자연토의 동전기 특성 (Electrokinetic Characteristic of Natural Soil with Flushing Agents)

  • 김익현;이정철;김병일;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35-640
    • /
    • 2003
  • Electrokinetic characteristic of natural soil dependent on flushing agents is studied to determine the best agent used in the hybrid electrokinetic remediation system. The soil containing 7.6% Fe$_2$O$_3$is spiked with lead. The flushing agents to be inject into anode are HCl, Acetic acid, Citric acid, EDTA and SDS.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arly electrical potential of EDTA is lower than the value of the others. And the pH in anode reservoir is higher. Elcetrokinetic characteristic of all the sample except for EDTA is about the same.

  • PDF

불포화토에서 공극비의 추정 (The Prediction of Void Ratio in Unsaturated Soils)

  • 이달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4호
    • /
    • pp.51-57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 and prediction of void ratio with net stress and matric suction using the linear elastic and volumetric deformation analysis method on unsaturated silty. The unsaturated soil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modified oedometer cell and specimens were prepared at water content 2 times of liquid limit and required void ratio. The axis translation technique was used to create the desired matric suctions in the samples. It is shown that soil water characteristic curve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were affected significantly by preconsolidation pressure. As a matric suction increases, the reduction ratio of void ratio was shown to considerably small. Also, the predicted and measured void ratio for unsaturated soils using the linear elastic and volumetric deformation analysis showed good agreement as net stress and matric suction in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