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and vegetable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34초

정식깊이가 참외 생육,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epths on the Growth, Quality and Yield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 신용습;김주환;박소득;박종욱;강찬구;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6-51
    • /
    • 2005
  • 참외 정식 생력화 및 기계화 정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금싸라기은천 참외에 신토좌 호박을 호접하여 9cm폿트에 45일간 육묘하여 1월 16일 정식하였다. 정식 깊이는 모종을 폿트에서 뽑아 땅에 올려놓는 0cm깊이 정식구, 모종을 폿트 높이의 1/2만 묻는 4.5cm 깊이 정식구, 폿트 높이까지만 묻는 9cm 깊이 정식구(표준), 폿트 높이보다 깊게 묻는 12cm 깊이 정식구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1월 18일부터 19일까지의 터널 최저온도는 $9.3^{\circ}C$, 최고온도는 $41.2^{\circ}C$이었으며 습도는 $59\~99\%$이었다 정식 후 활착은 정식깊이가 깊을수록 빨랐으나, 정식 40일 후의 생육은 0cm 처리구를 제외한 4.5cm, 9cm, 12cm 깊이 정식구간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과중은 4.5cm 깊이 정식구에서 가장 무거웠고 과육두께와 당도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정식 깊이가 깊을수록 발효과율이 증가하였고 상품과율은 감소하였다. 10a당 상품수량은 9cm 깊이 정식구의 2,361kg에 비하여 0cm 처리구에서는 $2\%$, 4.5cm 처리구에서는 $1\%$ 증가하였으나 12cm 처리구에서는 $11\%$ 감소하였다.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활용한 토마토 풋마름병 증상 분석 (Analysis of Bacterial Wilt Symptoms using Micro Sap Flow Sensor in Tomatoes)

  • 안영은;홍규현;이관호;우영회;조명철;이준구;황인덕;안율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2-217
    • /
    • 2019
  • 본 연구는 토마토의 풋마름병 감염 여부를 더 빠르게 예측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풋마름 병원균을 접종한 토마토에서 풋마름병에 감염되어 증상을 보이기까지의 식물체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하였다. 토마토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했을 때 육안으로 보이는 풋마름 증상이 나타나기 약 2 내지 3일 전부터 풋마름병에 감염된 토마토의 양수분 이동 속도가 감염되지 않은 토마토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 결과는 생물검정과 생육조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식물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풋마름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배환경이 전라남도 지방 가을배추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Effect of Environment on Growth and Yield of Autumn Kimchi Cabbage in Jeonnam Province using Big Data)

  • 위승환;이희주;유인호;장윤아;여경환;안세웅;이진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3-193
    • /
    • 2020
  • 본 연구는 배추 주산지인 전남지방의 가을배추 생육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재배환경요소가 가을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남지방의 2010~2019년 가을배추 생육데이터를 수집하여 기온, 일조시간, 강우량, 토성 등 재배환경데이터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상관행렬을 작성한 결과 초장과 엽수는 생육도일과 일조시간에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고 수량은 생육도일과 점토함량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관계수 분석을 통해 선발된 지표들을 선형회귀분석 하였는데 초장과 생육도일, 초장과 합계 일조시간, 엽수와 생육도일, 엽수와 합계일조시간의 결정계수가 각각 0.79, 0.71, 0.7, 0.62이었으나 수량과 생육도일, 수량과 토성의 경우 결정계수가 낮았다. 수량과 생육도일 토성을 통계분석 한 결과 해남과 진도 지역의 수량이 높았고 생육도일과 토양내 점토 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 생육도일, 토성에 대한 연관성 검증을 위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사 지역으로 분류된 해남과 진도가 같은 군집을 이루었고 그 외 지역이 다른 군집을 이루었다. 연도 및 지역에 따라 생육도일과 수량이 다르고 토성이 유사한 지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측데이터가 지역별로 군집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생육도일과 점토 함량은 수량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성 분석 외에도 지역별 군집을 통하여 데이터 분석 및 영농정책 수립 등에 군집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곤충병원선충을 이용한 채소해충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Vegetable Insect Pests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

  • 한상찬;김용균;이분조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1-88
    • /
    • 1996
  •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was able to invade and kill the several lepidopteran pests including the beet armyworm, Spodeptera exigua Hubner,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target host. The beet armyworms treated with the effective nematode concentrations were died within 48 hrs. The lethal effect of the nematode was varied amo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host. The fifth instar larvae of the beet armyworm was more vulnerable to the nematode than the third instar larvae. Pupae was, however, refractory to the nematode. All three bioessays (topical application, filter paper test, and soil treatment)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he treated nematodes and the mortality of the host. Topical application was the most effective and fast-acting method so that it gave the lethal effect 2 days earlier than did filter paper test at the same number of the treated nematodes. Soil treatment required higher number of the nematodes to get the effective lethality than did filter paper test. The fifth instar larvae of the beet armyworm expressed the specific hemolymph proteins of 5 to 10 kDa in response to nematode infection.

  • PDF

Effect of Sewage Sludge Compost on Yield of Vegetable Crops

  • Park, Young-Bae;Noh, Jae-Se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06-307
    • /
    • 2011
  • Two phases of experiment were conducted to produce compost using sewage sludge and sawdust as mixing materials to determine their chemical properties and the performance of selected test crops. The first phase was done to produce compost as potting media and the second phase was done to test the efficacy of the produced compost. With regard to some chemical properties of the compost, pH was moderately acidic (5.11 to 5.58) while the OM, N, P, and K contents of the compost were 23.8-35.9, 1.12-1.56, 254.9-555.7, and 40.4-62.6, respectively.

비닐하우스내(內)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관(關)하여 (Deterioration of the Physical Chemical Properties of the Vinyl House Soils by Continuous Vegetable Cropping)

  • 유순호;정영상;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7-234
    • /
    • 1974
  • 비닐하우스 재배지(栽培地)에 대(對)하여 토양(土壤)의 성질(性質), 토양관리양식(土壤管理樣式) 및 연작(連作)이 토양염류(土壤鹽類) 집적(集積)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염류(鹽類)의 집적(集積)이 토양(土壤)의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비닐하우스내(內) 토양(土壤)과 비닐하우스외(外)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내(內) 토양(土壤)의 염농도(鹽濃度)가 하우스외(外) 토양(土壤)의 염농도(鹽濃度)보다 높았으며, 심토(心土)보다는 표토(表土)에서 높았다. 2. 하우스내(內) 토양(土壤)의 표토(表土)에서 염농도(鹽濃度) (Y)는 연작년수(連作年數)(X)와 다음과 같은 회귀관계(回歸關係)가 성립(成立)되었다. 양질토(壤質土); Y=0.54X+1.44 ($$r=0.580^*$$) 식질토(埴質土); Y=0.58X+2.61 ($$r=0.524^*$$) 동기(冬期)하우스 재배(栽培)와 하기(夏期) 수도재배(水稻栽培)를 윤작(輪作)한 토양(土壤)의 염농도(鹽濃度)는 연작년수(連作年數)에 상관(相關) 없이 낮았다. 3. 침출성(浸出性) 양(陽) ion 중(中)에서는 calcium, sodium, 및 potasium의 함량(含量)이 비닐하우스 토양(土壤)에서 높았다. 4. 하우스내(內) 토양(土壤)의 내수성(耐水性) 입단율(粒團率)은 하우스외(外) 토양(土壤)의 내수성(耐水性) 입단율(粒團率)보다 낮았으며, 0.5mm 이하(以下)의 작은 입단(粒團)에서는 차이(差異)가 없었고, 1 mm 이상(以上)의 큰 입단(粒團)에서 그 차이(差異)가 심(甚)하였다. 5. 입단안정율(粒團安定率)은 sodium, potassium의 집적률(集積率)과 상관계수(相關係數) r이 각각(各各) $-0.681^{**}$, $-0.528^*$로 부상관(負相關)이 인정(認定)되었고, 1일(日) 관수량(灌水量)과는 상관계수(相關係數) r이 -0.477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유기물(有機物)과는 상관계수(相關係數) r이 $0.692^{**}$로 정상관(正相關)이 인정(認定)되었으며, Calcium과는 상관계수(相關係數) r이 0.391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재배농법에 따른 국내산 배추의 위해미생물 및 중금속 오염평가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and Heavy Metals on Kimchi Cabbage by Cultivation Methods in Korea)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00-506
    • /
    • 2017
  • 본 연구는 자가제조퇴비를 사용하는 유기농가와 관행농가로 구분하여 생산되는 배추와 토양의 위생지표세균(Aerobic plate count, coliform count, yeast & mold)과 식중독발병 가능성이 있는 유해미생물(Staphylococcus aureus, Environmental listeria, Bacillus cereus)의 밀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양과 식물체 모두 식품에서 위해균 허용한계치인 5.0 Log CFU/g 이하로 검출되었다. 또한 토양에서 위해균 검출량과 식물체 표면의 위해균 검출량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또한 토양과 식물의 중금속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검출되지 않거나 허용한계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관행농법, 시설재배 및 유기농법 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배추, 상추의 $NO_3^-$ 집적량 차이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Cultivated by the Conventional Farming, Greenhouse Cultivation and Organic Farming and Accumulation of $NO_3^-$ in Chinese Cabbage and Lettuce)

  • 손상목;한도희;김영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9-165
    • /
    • 1996
  • In order to get some basic datas on environmental friendly funtion against soil and water pollution and safe vegetable production by organic farming,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cultivated by the conventional farming, greengouse cultivation and organic farming and acumulation of NO3--N in chinese cabbage and lettuce were analysed. The highest value of NO3--N in 0-30cm subsoil of organic farming was found among the 3 different farming systems, and it was 3.6 and 6.6 times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farming in chinese cabbage and lettuce respectively. P2O5 also show high accumulation in the rhizosphere of organic farming compared to convnetional farming. The accumulation of NO3--N and P2O5 in the rhizosphere of organic farming were simial to those of greenhouse cultivation. The NO3- accumulation in chinese cabbage and lettuce by organic farming reach 3224ppm in chinese cabbage and 2543ppm in lettuce and it were 4.7 and 6.4 times higher than those of convnetional farming. It is urgently necessary to introduce the basic standard of IFOAM, EU and FAO/WHO Codex on organic agriculture into korean organic agriculture for oper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system and production of safe vegetable in terms of NO3-.

  • PDF

플러그묘 취출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Pick-up Device for Plug-Seedlings)

  • 최원철;김대철;김경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5호
    • /
    • pp.415-422
    • /
    • 2001
  • A seedling pick-up device for vegetable transplanters was developed and its work performance was evaluated at the laboratory. The pick-up device extracts seedlings from a 200-cell tray of seedlings and transfers them to the place where they are to be transplanted into the soil. The device consists of a path generator, pick-up pins and a pin driver. The path generator is a five-bar mechanism comprised of a fixed link, a driving link, a driven link, a connecting link and a slider. The slider is constrained to move along the driven link and a fixed slot of combined straight-line and circular paths. The connecting link joins the driving link and the slider. When the slider moves along the straight-line path of the slot it takes seedlings out from the cell and transfers them to the transplanting hopper when moving along the circular path. A proto-type of the pick-up device was built and tested under the various operational conditions such as age of seedling, approach direction and penetration depth of pins to the cell, holding method of seedling and extracting velocity. The device extracted 30 seedlings per minute with the maximum success ratio of 97% using the seedlings of 23 days old. Some design details were also discussed and suggest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 PDF

기능성 연질필름 온실의 미기상 (Microclimate of Greenhouses Covered with Functional Film)

  • 전희;최영준;최영하;김학주;이시영;정두석;신용습;최충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6-100
    • /
    • 2007
  • 피복자재별로 전광선투과율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물방울과 먼지의 부착량이 적은 J-2에서 시설 내 광투과율은 78.2%로 가장 높았다. 자외선 투과율이 완전히 차단된 필름은 J-2이었고, 나머지의 자외선 투과율은 $62{\sim}76%$ 정도이었다. 무가온 참외재배시기에 터널 안이 노지보다 기온은 $15{\sim}21^{\circ}C$, 지온은 $20{\sim}25^{\circ}C$ 정도 높았다. 피복자재별로 기온은 $6^{\circ}C$, 지온이 $5^{\circ}C$ 정도 차이가 나타났으며 기온과 지온 모두 J-2 에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