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Texture Analysis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8초

경북대학교 내에 생육하는 애기자운(Amblyotropis verna) 자생지의 식생특성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mblyotropis verna Habitat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인환;조광진;이혜영;장갑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1-58
    • /
    • 2010
  • This study was done to recommend a method for conserving the habitat of Amblyotropis verna grown naturally in campus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t Daegu city.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were analyzed for the condition of the population at the growing season from May to June in 2010. Totally 11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one vegetation community including Amblyotropis verna (Amblyotropis verna-Zoysia japonica community) was found. We found that the growing condition was not good with severe stamping and disturbance. The location-determining method by PCoA analysis showed the physical texture in soil was a critical factor determin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Amblyotropis verna-Zoysia japonica community. And the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und that light condition and soil hardness were the main ecological factor determining the size and form of each individual. Finally, this study recommend that minimizing impacts by human stamping and artificial disturbance and reducing the water stress were the best ways for the conservation of Amblyotropis verna habitats.

산사태 취약성 분석 연구를 위한 인공신경망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 Chang, Buhm-Soo;Park, Hyuck-Jin;Lee, Saro;Juhyung Ryu;Park, Jaewon;Lee, Moung-Jin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9-50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techniqu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to apply the newly developed techniques for assessment of landslide susceptibility to the study area of Yongin in Korea. Landslide locations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area from interpretation of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survey data, and a spatial database of the topography, soil type and timber cover were constructed. The landslide-related factors such as topographic slope, topographic curvature, soil texture, soil drainage, soil effective thickness, timber age, and timber diameter were extracted from the spatial database. Using those factors, landslide susceptibility and weights of each factor were analyzed by two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In the first method,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dex was calculated by the back propagation method, which is a typ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Then, the susceptibility map was made with a GIS program. The results of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were verified using landslide location data. The verification results show satisfactory agreement between the susceptibility index and existing landslide location data. In the second method, weights of each factor were determinated. The weights,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were calculated using importance-free characteristics metho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 PDF

고추재배에서 토성별 토양수분, 토양온도, 무기태 질소 변화에 따른 온실가스배출 평가 (Evaluation of Green House Gases Emissions According to Changes of Soil Water Content, Soil Temperature and Mineral N with Different Soil Texture in Pepper Cultivation)

  • 김건엽;송범헌;노기안;홍석영;고병구;심교문;소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399-407
    • /
    • 2008
  • 농경지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인 $CH_4$, $N_2O$의 배출제어 기술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시험포장에서 온실가스 배출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추밭에서 토성과 토양수분에 의한 온실가스배출 시험은 2004~2005년 2년간 고추 재배를 하여, 질소를 시용하지 않는 PK와 NPK+ 돈분퇴비 등으로 시비처리를 하였고 온실가스배출에영향을 주는 토양수분, 토양온도 그리고 무기태 질소($NH{_4}^+$, $NO{_3}^-$) 등 관련 요인별로 온실가스배출량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밭에서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온실가스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성에 따른 $N_2O$ 배출량은 식양토에 비해 사양토에서 74.0~82.1% 적었고, 토양 수분장력 -30 kPa보다 -50 kPa에서 식양토는 13.2%, 사양토는 40.2%가 적었다. 2) $CH_4$ 배출은 식양토에 비해 사양토에서 45.7~61.6%, 그리고 수분장력에 따라 -30kPa보다 -50kPa에서 식양토 69.6%, 사양토 55.8%가 적었다. 3) $N_2O$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식양토에서 무기태질소 (51.2%), 토양온도 (25.8%), 토양수분함량 (23.0%), 그리고 사양토에서는 토양수분함량 (39.3%), 토양온도 (36.4%), 무기태질소 (24.3%) 순으로 나타났으며, 식양토에 비해 사양토에서 $N_2O$ 배출에 대한 무기태질소의 기여도가 낮았다.

농지연못습지의 수질 및 토양환경 분석 (The Analysis of Water and Soil Environment at Farm Pond Depression)

  • 손진관;강방훈;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6-6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ater and soil properties to propose the promotion of vegetation environment at farm pond depression. We selected 8 palustrine wetlands from agricultural area after consideration of human interference, surround land use, and size of area. Water qu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SS, T-N, T-P were over the limit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 level at some sites. The cause for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s supposed by the long-term stagnation of water in palustrine wetland. The recommended measures to improve water quality are as follows; improving water circulation by connecting with nearby natural water, preventing oxygen depletion by dredging deposit, lowering down T-N and T-P by removing autumn plants, preventing inflow of phosphorus in fertilizer ingredients which is the main cause for high T-P. The soil contamination of the surveyed area was about the same level of average heavy metal contents in soils from 2,010 paddy fields in Korea, which was much lower than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As for soil texture, sand content was 40~90% and clay content was less than 20%. The content of silt and clay in soil from community of floating-leaved:submerged hydrophytes and community of emergent hydrophytes was higher that of soil from community of hygrophytes, and the content of sand in soil from community of hygrophytes was 10% higher than underwater soil. In terms of bulk density, the average was 0.24~0.96g/$cm^3$, which was quite low, because of high content of peat and organic matter in soil of the surveyed area. As for the average content of organic matter, community of floating-leaved:submerged hydrophytes was 18.25g/kg, community of emergent hydrophytes was 16.88g/kg, and community of hydrophytes was 25.63g/kg. The range of content of T-N in soil of community of floating-leaved;submerged hydrophytes was 0.022~0.307%, and that of community of emergent hydrophytes was 0.029~0.681% and that of community of hydrophytes was 0.088~0.325%. Apart from three sites in the surveyed area, most parts were over the standards or below the standard. After this study, we will conduct and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which will be used of the best practical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wetland.

인위적으로 변경된 토양에서의 수분보유특성 해석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Analysis Models on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in Anthropogenic Soil)

  • 허승오;전상호;한경화;조희래;손연규;하상건;김정규;김남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23-827
    • /
    • 2010
  • 원토양인 논토양 위에 마사토를 적토(積土)한 토양에 대한 토양수분 특성곡선을 작성해 보고, 이를 추정하는데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van Genuchten (VG) 모형과 Brooks-Corey (BC) 모형을 비교평가 해 그 효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수행했다. 4개의 층위로 구분되는 측정 대상토양은 표토부터 30 cm 까지는 양질사토, 30~70, 70~120 cm는 사토, 120 cm 이상에서는 사양토로 분석된 토양이다. 토양수분 함량과 토양수분 메트릭 퍼텐셜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토양수분 특성곡선 분석에 따르면, 원토양인 120 cm 이상 깊이 토양에서의 수분보유 특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개 층위 토양에서의 수분 보유 특성은 0~30 cm, 30~70 cm 층위는 비슷하고 70~120 cm 층위는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상대수분 포화도와 토양수분 메트릭 퍼텐셜의 관계를 표현함에 있어 멱함수 형태인 BC 모형보다는 해석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한 VG모형이 실측값에 근사한 추정결과를 제공했다. 포화상태의 종점이자 불포화상태의 시발점인 공기유입가 (AEV) 추정에도 측정 한계치 부근의 메트릭 퍼텐셜 값을 나타내는 BC모형보다는 9.5~40 cm (4 kPa)을 보였던 VG모형이 적합했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원토양 위에 석비레 (마사토)로 적토된 토양에서의 토양수분 특성곡선 작성을 위한 추정모형에 VG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VG 모형을 수자원량 산정을 위한 SCS (Soil Conservation Service, USDA) CN (Curve Number) 계산 과정에서 토양단면 내의 수분 보유 인자 (retention parameter) 산출을 위한 토양수분함량을 추정하는데 활용하거나 침투모형 (Green-Ampt Mein-Larson)을 설명하기 위한 습윤전선 매트릭 퍼텐셜을 추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추재배에서 토성별 토양수분, 토양온도, 무기태질소 변화에 따른 CO2 배출량 평가 (Evaluation of CO2 Emission to Changes of Soil Water Content, Soil Temperature and Mineral N with Different Soil Texture in Pepper Cultivation)

  • 김건엽;송범헌;홍석영;고병구;노기안;심교문;장용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393-398
    • /
    • 2008
  • 시험포장은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의 기후변화생태과 시험포장에서 고추를 재배하여 식양토와 사양토의 2개 토성을 대상으로 각 관수시점을 -30kPa와 -50kPa에서 온실가스배출에 관여하는 요인인 토양수분, 토양온도, 토양 중 무기태질소를 측정하여, $CO_2$배출 간의 관계와 배출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의 연구 결과, 토양의 $CO_2$배출량과 무기태질소 그리고 토양온도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토양수분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CO_2$ 배출량과 토양수분함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CO_2$ 배출량과 토양온도 및 무기태질소의 상관계수는 식양토에서 $0.830^{**}$, $0.876^{**}$, 사양토에서 $0.793^{**}$, $0.804^{**}$로 상관은 고도로 유의하였다. 고추 재배기간 143일간 $CO_2$의 작기종합 배출량을 토양 토성에 따라 수분장력별로 처리하여 비교한 결과, 수분장력이 식양토에서 -30kPa에 비해 -50kPa에서 37.5%, 사양토는 50.0% 저감되었으며, 식양토에 비해 사양토에서 21.2~36.9% (-30kPa~-50kPa) 저감되었다. 고추밭에서 온실가스배출에 관여하는 무기태질소, 토양수분함량, 토양온도 등의 요인들 중 온실가스배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위하여, $CO_2$배출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CO_2$배출에 대한 각 요인들 간의 기여도는 토양온도 (식양토; 46.6, 사양토; 69.7%), 무기태질소 (39.3, 26.2%), 토양수분함량 (14.1, 4.1%) 순으로 나타나, $CO_2$배출에 관여하는 요인 중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토양온도로 나타났다.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조사·분석 (A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A Riparian Vegetation Zone)

  • 우효섭;정상준;조형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0호
    • /
    • pp.797-807
    • /
    • 2011
  • 국내 하천에서 사주 상 식생 활착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이대부분인이른바 'White River (백사장하천)'이었으나, 1970년대이후댐건설, 하천정비등으로유황과유사이 송특성이 교란되어수변에 식생이번무하게 되는이른바 'Green River (식생하천)'가진행중이다. 본 연구는비조절하천사주 상 식생활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수위, 수온, 강우, 토양수분, 토양입경 등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모래하천인 내성천의 하류를 시험하천구간으로 선정하고, 289일간 모니터링 및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식생의 경년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1970년부터 2009년까지의 항공사진을 분석하였다. 시험하천구간의 범위는 횡단길이 361m, 종단길이 약 2 km이다. 조사 분석 결과 내성천 시험하천구간은 지하수위가 하천수위보다 20~30 cm 가량 높게 나타나는 이득하천이었다. 지하수온은 일별, 계절별 차이가 $5^{\circ}C$ 미만이었고, 하천수온은 식생활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5월부터 $10^{\circ}C$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토양수분의 영향인자는 하층은 지하수위, 상층은 강우이며, 상하층은 모두 토양입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측정지점 6곳의 지표면~지하 1m까지의 토양은 $D_{50}$ 입경 0.07~1.37mm의 모래이며, 이 입경에서 가능한 모세관 높이는 약 14~43 cm 범위로 추정된다. 한편 비 조절하천인 시험하천구간의 40년간 공간분석 결과, 인위적인 하천교란과 가뭄은 식생활착을 촉진하며, 홍수로 인해 식생군락이 자주 소멸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970년부터 식생의 크고 작은 활착과 소멸이 반복되고 있지만 현재의 식생면적은 과거에 비해 뚜렷하게 증가되어 있다. 식생면적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 가지 추출제를 이용한 광산지 인근 농경지 토양 중 비소, 카드뮴, 구리, 납의 용출 특성 평가 (Elution Characteristics of Arsenic, Cadmium, Copper and Lead in Paddy Soil Nearby Mining Area Using Two Kinds of Extractant)

  • 권지철;이군택;정명채;김정욱;윤정기;김현구;김지인;이홍길;김인자;김태승;강지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4권6호
    • /
    • pp.1-8
    • /
    • 2019
  •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ve extraction ratio (RER) of As and heavy metals (Cd, Cu and Pb) in paddy soils using the two types extractant, 0.05 M EDTA and 0.43 M HNO3. The RER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obtained by 0.05 M EDTA or 0.43 M HNO3 extraction by those obtained by aqua regia extraction. The RER of 0.43 M HNO3 was larger than that of 0.05 M EDT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p<0.001) between the concentration in aqua regia and 0.05 M EDTA or 0.43 M HNO3. Especially, Cd showed the higher correlation than other metals.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soil pH, CEC, organic matter content, and soil texture all influenced the metal extraction rates and bioavailability of the metals.

Comparison of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in Distribution of P Fractions at Reclaimed Land Soils

  • Moon, Tae-Il;Yoon, Young-M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7-334
    • /
    • 2016
  • In order to compare phosphorus (P) behavior of livestock manure compost (LMC) and chemical fertilizer (CF) applied to the sea-reclaimed land soils, incub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five weeks. Four soils differing textural classes, sandy loam and clay loam, and electric conductivity (EC) value, high and low, were applied with CF and LMC. LMC was applied at the level of 0, 1, 2, and 3% on the soil weight basis and CF was applied at the same levels of P as LMC.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e of P application rate of CF and LMC led to linearly increase available $P_2O_5$ and $0.01M\;CaCl_2$ extractable P contents regardless of soil texture and EC. However, 0.01M $CaCl_2$ extractable P from soil applied with C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th LMC.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0.01M-CaCl_2$ extractable P and fractionated P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showed that $0.01M-CaCl_2$ extractable P positively correlated with KCl-P (soluble and exchangeable P) and HCl-P (Ca and Mg bound P). However, NaOH-P (Fe and Al bound P and organic P) and residual P was adverse. The amount of NaOH-P significantly influenced to the amount of 0.01M $CaCl_2$ extractable P of CF and LMC in the soils. The application of LMC at sandy loam soil could be carried out in the consideration of nutrient leaching and crop uptake.

강원지역 시험유역에 대한 RUSLE 인자특성 분석 (II) - RUSLE 모형의 시험유역 적용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RUSLE Factors based on Measured Data of Gangwon Experimental Watershed(II))

  • 이종설;정재학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119-1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토양침식성 인자, 사면경사길이 인자, 피복관리 인자 등 RUSLE 모형의 각종 인자들의 산정방법의 특성을 검토하고 산정방법간의 오차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42개의 강우사상에 대해 RUSLE모형을 강원 토사유출 시험유역에 적용하여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관측 토사유출량과 비교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RUSLE모형의 각종 인자들에 대한 분석결과 피복관리 인자가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지유역에 RUSLE를 적용하는 경우 식생의 영향을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립농업과학원 토양정보시스템의 토양통 자료를 이용하는 경우 현장토양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큰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에너지 산정방법에 따라서는 최대 22.7%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보다 많은 자료를 이용하여 각 인자들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