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Erosion Factor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3초

SWAT 모형을 이용한 시.공간적 토지 이용변화에 따른 유량 및 유사량 특성분석 (Analysis of Watershed Runoff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due to Spatio-Temporal Change in Land Uses Using SWAT Model)

  • 신용철;임경재;김기성;최중대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50-56
    • /
    • 2007
  • In this study,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was used to assess spatiotemporal effects on watershed runoff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due to land uses changes from 1999 to 2002 at the small watershed, located in Chuncheon-si, Gangwon province. The annual average flow rate of Scenario I (long-term simulation using land use of 1990), II (long-term simulation using land use of 1996), III(long-term simulation using land use of 200) and IV(simulation using land use of 1990, 1995, and 2000) in long-term simulation) using the SWAT model were 29,997,043 m3, 29,992,628 m3, 29,811,191 m3 and 29,931,238 m3,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estimated flow rate because no significant changes in land uses between 1990 and 2000 were observed. The annual average sediment loads of Scenarios I, II, III and IV for 15 year period were 36,643 kg/ha, 45,340 kg/ha , 27,195 kg/ha and 35,545 kg/ha, respectively. The estimated annual sediment loads from Scenarios I, II, and III, were different from that from the scenario IV, considering spatio-temporal changes in land use and meterological changes over the years, by 10%, 127%, and temporal changes in land use and meterological changes over the years, by 10%, 127%, and 77%. This can be explained in land use changes in high soil erosion potential areas, such as upland areas, within the study watershed. The comparison indicates that changes in land uses upland areas, within the study watershed. The comparison indicates that changes in land uses can affect on sediment yields by more than 10%, which could exceed the safety factor of 10% in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not only the temporal analysis with the weather input data but also spatial one with different land uses need to be considered in long-term hydrology and sediment simulating using the SWAT model

  • PDF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udum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udum Causing Fusarium Wilt of Sunn Hemp in Korea)

  • 최효원;홍성준;홍성기;이영기;김점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8-68
    • /
    • 2018
  • 클로탈라리아는 국내에서 토양개량을 위한 질소고정, 토양침식 감소, 잡초 및 선충 억제를 위해 풋거름작물로 이용하고 있다. 2014년, 클로탈라리아를 풋거름작물로 재배하는 완주 지역의 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이 관찰되었다. 감염된 식물체의 잎은 아래잎부터 황화 되면서 시들기 시작하였고, 위쪽 잎도 황화 되었으며, 결국 식물체는 완전히 고사하였다. 감염된 식물체 줄기에서 어두운 색의 자낭각이 다수 관찰되었고, 이 자낭각으로부터 자낭포자를 단포자 분리하여 6개 균주를 분리하였다. 균학적 특성에 의해 분리균은 Fusarium udum(완전세대: Gibberella indica)로 동정되었다. 대형포자의 정단세포는 대부분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고, 소형포자는 단경자에서 false head 상으로 형성되었다. 후벽포자는 균사에서 단일 혹은 무리지어 풍부하게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동정 결과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 alpha(TEF), calmodulin (CAL), histone 3 (HIS3)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재확인되었다. 그 결과, 분리 균주는 NCBI GanBank에 등록된 F. udum과 TEF 유전자는 94.4~96.2%, CAL 유전자는 99.7%, HIS3 유전자는 99.6~99.8%의 상동성을 보였다. 클로탈라리아와 두 품종의 콩을 대상으로 포자현탁액을 토양에 관주 접종하여 병원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접종 14~21일 이내에 접종한 클로탈라리아와 태광콩에서 병징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병을 F. udum에 의한 클로탈라리아 시들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하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Assessment of water quality variations under non-rainy and rainy condition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echniques in Lake Doam watershed, Korea

  • Bhattrai, Bal Dev;Kwak, Sungjin;Heo, Woomyu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145-156
    • /
    • 2015
  • This study was based on water quality data of the Lake Doam watershed, monitored from 2010 to 2013 at eight different sites with multiple physiochemical parameters. The dataset was divided into two sub-datasets, namely, non-rainy and rain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factor analysis (FA) techniques were applied to evaluate seasonal correlation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extract the most significant parameters influencing stream water quality. The first five principal components identified by PCA techniques explained greater than 80% of the total variance for both datasets. PCA and FA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nitrogen, nitrate nitrogen, total phosphorus,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were the most significant parameters under the non-rainy condition. This indicates that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s loads in the streams can be related to discharges from point sources (domestic discharges) and non-point sources (agriculture, forest) of pollution. During the rainy period, turbidity, suspended solids, nitrate nitrogen,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parameters. Physical parameters, suspended solids, and turbidity, are related to soil erosion and runoff from the basin.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s during the rainy period can be linked to decayed matters, manure, and inorganic fertilizers used in farming.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echniques are useful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data and identification of pollution factors, which are valuable for understanding seasonal variations in water quality for effective management.

멸종위기 부엽식물 가시연꽃 개체군의 분포, 멸종 원인 key factor에 대한 실험과 보전을 위한 관리전략 (Key factors causing the Euryale ferox endangered hydrophyte in Korea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conservation)

  • 유영한;김해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9-56
    • /
    • 2010
  • 가시연꽃은 우리나라 멸종위기식물 중에서 유일한 1년 생 부엽식물이다. 가시연꽃의 씨는 중요한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고, 과거에는 강릉까지 폭넓게 출현했던 종이었으나 현재는 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본 연구는 가시연꽃이 사라진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본으로 생육지 관리에 적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가시연꽃의 분포지를 조사하였고, 멸종의 원인(가설)을 부영양화, 저수지 집수역 내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토양퇴적, 습지의 수심 증가 등으로 설정하여 이를 실험으로 검증하고, 그 원인을 초기 발아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하고자 하였다. 가시연꽃은 과거에 비하여 그 분포지역이 위도 $1^{\circ}$ 나 줄어들었고, 자연 생육지는 열 곳에 불과하였다. 수질의 부영양화는 가시연꽃이 더 잘 자라게 하였고. 생육지에 토양이 퇴적되거나, 수심이 100cm 이상이면 유식물이 정착 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시연꽃의 생육지는 발아가 되는 봄철에 수심이 50cm 내외가 되도록 습지의 물을 조절하고, 주변에서 흙이 유입되지 않도록 줄과 같은 정수식물의 식생대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삼림토양내(森林土壤內)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토양입단화(土壤粒團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organic Matter on Soil Aggregation in Forest Soils)

  • 박관수;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67-375
    • /
    • 1990
  • 모암(母岩), 유기물(有機物), calcium 및 Iron oxide가 토양입단화(土壤粒團化)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석탄암(石炭岩), 화강암(花岡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을 모암(母岩)으로 하는 지역(地域)을 조사지(調査地)로 설정(設定)하고 조사지별(調査地別)로 삼림식생상태(森休植生狀態)에 따라 토양내(土壤內) 유기물(有機物), Calcium 및 Iron oxide의 함량(含量)차이가 입단안정도(粒團安定度)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分析) 평가(平價)하였다. 입단화도(粒團化度)와 관련된 요인(要因)들과 그 특성(特性) 및 침식(浸蝕)에 대한 안정성(安定性)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입단직경(粒團直徑)을 분석(分析), 평가(平價)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모암(母岩)이 입단화(粒團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보면 석탄암토양(石炭岩土壤)의 입단화도(粒團化度)가 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화강암토양(花崗岩土壤)으로 19.8%, 화강편마암토양(花崗片麻岩土壤)이 9.9%로 가장 낮았다. 입단화도(粒團化度)에 가장 큰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으로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입단화도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며, 그 관계는 Y=4.31X-4.37 (Y : 입단화도(粒團化度), X :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같았다. 임상별(林相別) 입단화도(粒團化度)는 관엽수림지역(關葉樹林地域)의 토양이 침엽수림지역(針葉樹林地域)의 것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에 기인(基因)하는 것으로 인정(認定)되며 모암별(母岩別) 입단직경급(粒團直徑級)의 분포(分布)는 석탄암토양(石炭岩土壤)에서는 큰 직경급(直徑級) (0.5mm 이상) 입단(粒團)의 비율(比率)이 높은 반면 화강편마암토양(花崗片麻岩土壤)에서는 작은 직경급(直徑級) (0.25mm) 입단(粒團)의 비율(比率)이 높았고 화강암토양(花崗岩土壤)에서는 0.5mm직경급입단(直徑級粒團)을 중심으로 정규분포(正規分布)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토양(土壤)중 Ca과 Fe의 함량(含量)이 입단화도(粒團化度) 미치는 영향(影響)은 부분적(部分的)으로만 인정(認定)되고 있으나 석탄암지역(石炭岩地域)에서는 Ca의 영향(影響)이 유기물(有機物)과 함께 입단화(粒團化)에 크게 기여(奇與)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독도 동도 서쪽 해안의 타포니 지형 발달 (Tafoni Geomorphic Development in the Western Coast of Dongdo of Dokdo, Korea)

  • 황상일;박경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22-437
    • /
    • 2007
  • 독도는 일본과의 영토문제와 관련하여 정치적,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며, 울릉도와 더불어 동해상에 노출된 화산섬으로서 동해의 형성과정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안지형 및 기반암 풍화지역이 넓게 분포하므로 지형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독도의 전체 지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들 가운데 하나인 타포니 지형 발달을 논의하였다. 타포니는 독도의 거의 모든 해안에 분포하며, 노출된 기반암을 삭박하고 있으므로 독도의 보전에 있어서 가장 주목하여야 하는 지형들 가운데 하나이다. 동도 서해안에서 이 지형은 기반암이 응회암으로 된 해안선 부근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타포니의 형태는 괴상각력응회암 층준에서는 불규칙한 모양이 주를 이루며 원형, 타원형 형태가 나타나고, 층상라필리응회암에서는 층리를 따라서 수평으로 길게 만들어 졌다. 독도의 타포니는 홀로세(Holocene) 중기 해면이 현재 수준에 도달한 이후 파식에 의해 만들어진 해식애의 표면에 분포한다. 염풍화 작용에 의해 형성된 타포니는 독도의 지형 해체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인들 가운데 하나이다. 타포니의 바닥에는 초본 식물들이 분포하며 조류들의 서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타포니의 발달에 의한 기반암의 해체를 지체시키기 위해서는 토양 및 식생의 보호가 가장 중요하다.

  • PDF

NORM 폐기물 매립 시 NDD 분석을 활용한 부지 내 주요 피폭인자 도출 (Derivation of On-site Major Exposure Factor using NDD Analysis when Landfilling NORM Waste)

  • 임지현;이신동;손건우;김광표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3-193
    • /
    • 2024
  • As part of the social response to the radon bed incident in 2018,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took measures to collect and dispose of all radon beds. The Waste Management Act provides landfill disposal as one of the disposal methods for natural radioactive product waste, which is one of the NORM wastes. When NORM wastes are landfilled, workers and the public at the landfill site are exposed to radiation through various pathways, such as leaching of radionuclides through soil and groundwater, and multiple exposure factors are involved simultaneously.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radiological impact assessment, the values of main exposure factors should be selected more accurately. Therefore, before developing the main exposure factors for sit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main exposure factors reflecting domestic characteristics of NORM waste landfil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ain exposure factors for NORM waste landfill were derived using NDD analysis. To derive the main exposure factors, the analysis tool was first selected as RESRAD-ONSITE computer code, and the exposure scenarios were mainly selected as a resident farmer and suburban resident scenario, recreation scenario, and industrial worker scenario. Then, the priority 1 and 2 factors were selected for sensitivity analysis, and a Korean standard model was established to reflect Korean characteristics. Finally, the sensi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NDD, and the main exposure 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this. In the resident farmer scenario, the contaminated zone distribution coefficients of 226Ra, 210Pb, 232Th, 228Ra, 234U, and 238U, as well as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factors, were derived as the main exposure factors. In the suburban resident scenario, the contaminated zone distribution coefficients of 226Ra, 210Pb, 232Th, 228Ra, 234U, and 238U, as well as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coefficients, were derived as the main exposure factors. In the recreation scenario, the contaminated zone distribution coefficient of 232Th was derived as the main exposure factor. For the industrial worker scenario, the erosion rate was derived as the main exposure factor. The main exposure factors for each scenario were analyz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enario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radiologic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NORM waste landfill in Korea.

광물찌꺼기적치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적정 모니터링 방안 연구 (Proper Monitoring Methods for Safety Management of Tailings Dam)

  • 정명채;김정욱;황인호;양인재;박제현;박주현;김대엽
    • 한국자원공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76-587
    • /
    • 2018
  • 광물찌꺼기적치장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적치장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 이러한 요소를 감시할 수 있는 계측장비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국내 광물찌꺼기 적치장(20개소, 18개 광산)에서 발생되는 결함에 대해 적용 가능한 계측장비를 선정하였다. 요소분석은 표면 침식, 파이핑 및 사면 불안정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다시 세분하여 표면 침식은 식생, 복토층 및 광물찌꺼기, 파이핑은 차수층, 우수배제시설 및 침출수, 사면불안정은 사면, 콘크리트 옹벽 및 석축으로 구분하여 결함의 지표 및 계측항목을 설정하였다. 계측은 주로 상시 및 변위계측이 가능한 CCTV의 활용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기비저항탐사, 음향계측기, 다점온도모니터링, 구조물경사계, 강우량계 및 유량계 등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국내 적치장에서 발생되는 결함에 적용한 결과, 주로 파이핑과 관련된 차수층, 우수배제시설 및 침출수에서 결함이 주로 발견되어 이와 관련된 계측장비의 활용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항공사진의 식생 판독에 의한 재해 예측 기법 (The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Prediction Using Vegetation Interpretation of Aerial Photo)

  • 강인준;곽재하;정재형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9-35
    • /
    • 1993
  • 잔디, 관목, 나무 등의 식생은 사면의 침식양 조절 및 사면안정을 위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전통적인 사면안정해석의 경우 사면에 있는 식생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얕은 토층에 숲이 형성되어 있을 때 그 해석에 있어 많은 오차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사면안정해석에 식생의 영향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여러 식생이 사면안정에 미치는 영향은 사면안정의 해석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나 그 영향을 안정해석에서 양적으로 나타내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직할시 금정구 금성동에서 발생된 산사태지역을 모델지역으로 선정하여 항공사진 판독과 지형도에서 추출한 DTM 데이타를 이용하여 경사도를 분석하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식생의 흉고직경-수령, 수고-수령의 관계를 조사비교한 결과 경사도가 약 $27^\circ$인 지역에서 인위적 식재를 하였을경우 약 20년 후 산사태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식목과 그 관리에 있어 방재효과를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농촌유역의 강우사상별 농업 비점원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ants by Rainfall Events in Rural Watersheds)

  • 김진호;한국헌;이종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noff by rainfall events at the upper catchment of Goseong reservoir in Gonjy city, Chungnam Province. For this study, the monitoring sites of the research catchment were set nineteen during the research period (between June 2005 and October 2006). Average runoff coefficient were observed 0.51 in 2005, 0.71 in 2006,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the rainfall and peak-flow was investigated 0.787. By rainfall events, the water quality of the sites were shown like this : BOD 0.555~9.60 mg/L, T-N 0.01~13.50 mg/L, T-P 0.002~2.952 mg/L, and SS N.D~820.0 mg/L. The strong rainfall intens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soil erosion. The gabs of the arithmetic mean concentrations and the flow weighted mean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as the followings : BOD 0.0~29.2%, T-N 0.1~11.4%, T-P 0.4~95.2%, and SS 1.7~57.0% in 2005, and BOD 1.0~11.9%, T-N 0.7~7.3%, T-P 9.9~36.5%, and SS 6.6~36.5% in 2006, respectively. The BOD pollution load was 2,117 kg (36% of the total BOD loading of survey periods) while, T-N was 3,209.0 kg (27.9% of the total T-N loading of survey periods), T-P was 136.4 kg (37.4% of the total T-P loading of survey periods) and SS was 72,733.8 kg (51.8% of the total SS loading of survey periods) in the year 2005. In case of 2006, BOD load was 1,321.7, T-N was 2,845.8, T-P was 42.9, and SS was 16,275.8 kg,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