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Conditioner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초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Uresol 및 Bitumen 처리(處理)가 토양(土壤)의 수분이동(水分移動)과 유실(流失)에 미치는 영향(影響) -I. 토양입단(土壤粒團)의 안정성(安定性)과 보수력(保水力) 변화(變化) (Effects of Soil Conditioner "Uresol and Bitumen" Treatment on Water Movement and Soil Loss -I. The Changes of the Aggregate Stability and the Moisture Retention)

  • 조인상;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4-300
    • /
    • 1983
  •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가 토양구조(土壤構造)의 특성변화(特性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친수성(親水性)인 Uresol과 소수성(疎水性)인 Bitumen을 사양토(砂壤土)와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에 각각(各各) 처리하여 토양입단(土壤粒團)의 물리적(物理的) 제특성(諸特性)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Bitumen 0.4%, Uresol 0.6% 처리(處理)로 토양구조(土壤構造)의 안정성지수(安定性指數)는 처리(處理)하지 않은 토양(土壤) 0.275~0.416에 비(比)하여 1.650~3.450으로 현저히 증가(增加)되었으며 수중침적용적중(水中沈積容積重)은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2. 통기(通氣)-투수성(透水性) 비율(比率)은 사양토(砂壤土)에서 처리(處理)하지 않은 토양(土壤)이 3.8인데 비(比)하여 Uresol처리 토양은 2.2로 감소(減少)되었으며,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에서 무처리토양(無處理土壤)이 9.4인데 비(比)하여 Bitumen 처리토양(處理土壤)은 6.9, Uresol처리토양(處理土壤)은 5.3으로 낮았다. 3. 토양구조(土壤構造)의 불안정지수(不安定指數)가 증가(增加)될수록 통기(通氣)-투수성(透水性) 비율(比率)은 급격히 상승(上昇)되다가 지수(指數)가 1 이상(以上)에서는 이 비율(比率)이 매우 완만(緩慢)하게 증가(增加)되었다. 4. 친수성(親水性)인 Uresol처리(處理)는 토양(土壤)의 보수력(保水力)을 2~6% 증가(增加)시켰으나 소수성(疎水性)인 Bitumen 처리(處理)는 보수력(保水力)이 1~3% 감소(減少)되었다.

  • PDF

슬러지를 이용한 인공토양 생산 및 농자재화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f Artificial Soil Production with Sludge and Utilization for Agriculture)

  • 김선주;윤춘경;이남출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70
    • /
    • 1997
  • Sludg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and it has been causing various problems environmentally and economically. The firing technology in pottery industry was applied to the sludge treatment, and the final product was called artificial soil. For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soil, lime and chabazite was used as additive, and the mixed material was thermally treated in the firing kiln at $300^{\circ}$ temperature for about 15 minutes.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tificial soil was analyzed and it showed that the artificial soil could be used as a soil conditioner for farml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toxic heavy metals in the artificial soil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soil quality standard for farmland. It was high in permeability,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ous concentrations and surface area of the artificial soil compared to the common field soil. Preliminary cost analysis showed that the sludge treatment cost for artificial soil was less than the disposal cost in the current landfill disposal method. This study illustrated that the artificial soil production process can be a feasible alternative for sludge treatment, and produced artificial soil may he applied to farmland without causing significant adverse effect.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ystem and verification of the longterm effect of the artificial soil on farmland.

  • PDF

토양개량제 시용이 토양물리성과 담배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me Soil Conditioners on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Tobacco Growth)

  • 이철환;진정의;한철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85-691
    • /
    • 1996
  • 답전전환지의 잎담배 품질을 밭담배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재배법 개선의 기초자료로 이용 하고자 몇가지 토양개량제를 처리하여 토양의 입단형성량과 안정성등의 물리성 개선효과를 분석하고 잎담배 생육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내수성 입단형성량은 polyvinylalco-hol(PVA) > perlite > zeolite순으로 많았고 식생에 적당한 크기(0.25~l.0mm)의 입단형성률은 PVA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2. 내수성 입단형성률은 토양수분 함량이 높을 수록 입단화률도 증가하여 50%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형성된 입원은 직경 2mm이상의 큰 입단비률이 높아 식생에 적당한 크기(0.25~l.00mm)의 입단형성량과 실제 농기계의 작업능률등을 고려하면 토양수분은 40%구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토양립단의 안정성, 통기성 및 투수성은 토양개양제 처리로 무처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고 PVA처리구가 가장 양흐하였으며, 공린률도 무처리에 비해 다소 증가되는 경향이나 개량제종류간에는 대등하게 나타났다. 4. 토양개량제 처리로 토양 3상 비율의 개선효과가 인정되었고, 통기성은 zeolite perlite처리구가, 투수성은 PVA처리구가 높았으며, 무처리구에 비해 전체적으로 보수력이 증대되었다. 5. 연초의 생육량은 전 수량 구성요소에서 개량제처리로 현저히 증가하였고 지상부에 비해 지하부의 생장량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생장양과 연계한 토양개량제의 물리성 개선효과는 PVA > perlite > zeolite순으로 나타났다.

  • PDF

목탄분말 시용이 고추의 생육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rcoal Powder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Red Pepper and the Changes of Soil Microflora)

  • 김승환;이상민;이윤정;김한명;송석용;송범헌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5-64
    • /
    • 2003
  • 유기$.$자연농업 등 환경친화적 농업을 수행하는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목탄분말에 대한 특성파악과 작물생육, 토양화학성 및 토양미생물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여 목탄분말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목탄분말을 시용하고 고추를 재배한 결과 토양의 pH와 EC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대립목탄분말 처리시 뿌리생육이 저하되어 목탄분말 입경과 뿌리 발육은 밀접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탄분말의 입도가 작을수록(5mm 〈1mm 〈0.5mm) 고추의 수량이 증가되었다. 0.5∼1mm정도의 소립 목탄분말은 식물체의 양분흡수와 이용율을 향상시키나, 과다한 목탄분말 시용은 양분집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추에 대한 목탄분말의 적정시용량은 300kg 10a$^{-1}$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탄분말 처리로 토양 중의 Rhizobium 속 질소고정균과 사상균 특히, 인 가용화 사상균수가 고추 생육시기에 따라 변화를 나타냈으며, 소립 목탄분말을 처리하였을 때 그 효과가 현저하였다.

  • PDF

밭토양 콩재배에서 제강슬래그의 토양개량제로서의 시용 효과 (Evaluation of Basic Oxygen Furnace Slag as Soil Conditioner in the Soybean Upland Field)

  • 임준택;김희권;박인진;이충일;현규환;권병선;김학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3-497
    • /
    • 2000
  • 제강슬래그의 밭작물 재배시 산성토양 개량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밝히기 위해 1997년에 공시품종을 은하콩으로 하여 나주시 남평의 전라남도 진흥원 실험답에 무처리, 제강슬래그 4, 8, $12Mg\;ha^{-1}$ 그리고 석회 $2Mg\;ha^{-1}$를 처리하여 콩을 재배하였다. 파종 15일 후부터 5회에 걸쳐 초장과 지상부 건물중 그리고 지상부 식물체의 무기화학성분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매 조사시기 마다 토양 표본을 채취하여 토양의 주요 무기화학성분함량을 조사하였다. 수량 및 수량 구성요소를 조사하였고 또한 토양표본을 채취하여 무기화학성분을 측정하였다. 밭토양의 토양 pH, CEC, Ca, 그리고 Fe함량은 제강슬래그 시용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제강슬래그 8과 $12Mg\;ha^{-1}$ 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pH를 보였는데 이는 제강슬래그 처리에 따른 토양 Ca함량의 증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Fe 함량도 제강슬래그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석회 $2Mg\;ha^{-1}$ 처리구의 pH는 제강슬래그 4나 $8Mg\;ha^{-1}$의 그것과 비슷하여 이들 수준의 제강슬래그 처리에 의한 산성토양 개량효과는 석회 $2Mg\;ha^{-1}$ 처리와 비슷한 것으로 생각된다. 제강슬래그 시용에 따른 콩의 생육은 생육초기부터 무처리보다 양호하였고 생육후기에는 석회시용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콩의 수량은 제강슬래그 $8Mg\;ha^{-1}$ 처리에서 $1,232kg\;ha^{-1}$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수량이 가장 낮은 무처리구의 $902kg\;ha^{-1}$에 비하여 $330kg\;ha^{-1}$ 높은 수준으로 37% 수량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적정시용 수준은 $8Mg\;ha^{-1}$ 정도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석회시용량과 시용시기가 경작지 토양산도 변화와 잎담배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me Amount and Application Time on Soil pH Change, Yield, and Quality of Leaf Tobacco)

  • 정훈채;김용연;황건중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70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tobacco field condition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ime amount and application time on soil pH, yield, and quality of leaf tobacco. Lime was applied to the tobacco field by determined amounts according to different pH level. The changes of soil pH, growth of tobacco, yield, and quality of KF109 and Br21 tobacco were surveyed by time lapse. The target pH value in tobacco field soil can be reached at 6 weeks after lime application, and then the soil pH was lowered slightly after that time. The lime amount needed to reach target pH was decreased 40 % in the same tobacco field after 1 year. Though the initial growth rate of flue-cured tobacco in the field of pH 7.0 wa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tobacco field, the field of pH 7.0 showed the highest yield after the maximum growth stage. The quality of cured leaf tobacco in the field of pH 7.0 applied lime at spring season was slightly lowered compared with that in conventional.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best pH condition in tobacco field for the best tobacco growth was 6.5 and the proper time of lime application was fall season of previous year by application of the whole quantity.

  • PDF

표고버섯 재배폐골목의 유기질 비료화 (Manufacturing of Organic Composts from Shiitake Bedlogs)

  • 조남석;오병익;김덕식;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62-69
    • /
    • 1999
  • 본 연구는 표고버섯 재배폐골목 및 지조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제조를 위한 적정 조건을 찾고, 제조한 유기질비료를 사용하여 식물의 생육 및 토양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멘트블록조 발효상을 사용하여 제조한 톱밥과 발효첨가제를 적량 첨가하여 퇴적후, 1 개월마다 뒤집기하면서 발효부숙시켜 표고버섯 재배폐골목 및 신선지조로부터 양질의 유기질비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적정 제조조건으로서는 목질계 재료 1톤에 대하여 요소비료 12kg, 석회 25kg, 계분 40kg 및 적당량의 발효첨가제가 필요하였으며, 함수율은 55% 였다. 유식물 파종실험에서 유기질비료의 혼합량이 많아질수록 무우의 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기질비료의 혼합율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의 온도가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기질비료는 아침 외기의 온도가 내려가면, 토양의 온도를 높게 유지시키며, 외기의 온도가 높은 시간대는 오히려 토양의 온도를 낮추는 온도완충효과를 주었는데, 이러한 효과는 유기질비료의 혼합비가 높아질수록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ssessing Phosphorus Availability in a High pH, Biochar Amended Soil under Inorganic and Organic Fertilization

  • Kahura, Millicent Wanjiku;Min, Hyungi;Kim, Min-Suk;Kim, Jeong-Gy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1호
    • /
    • pp.11-18
    • /
    • 2018
  • Phosphorous remains as one of the most limiting nutrients to plant growth, second only to nitrogen. Research on use of biochar as a soil amendment for available phosphorus in temperate calcareous soils has limited studies compared with to tropical acidic soils. An incubation experiment to assess phosphorous availability in a biochar amended calcareous soil under inorganic (Fused superphosphate, FSP) and organic fertilizer (bone meal, BM) and respectively, at the dose of 40, 80 and $120mg\;P\;kg^{-1}$ was carried out. Soil was incubated at $25^{\circ}C$ for 70 days. Results show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available P was proportional to the fertilizer application rate with or without biochar amendment. Biocha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ils amended with either fertilizeron the values of available P. However,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p<0.001) on the amount of available P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s had recorded high amount of available P with time compared to organic fertilizer treatments.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sample were significantly not different from control and for most of the incubation time biochar acted as a soil condition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holistic and long-term effect of biochar.

청계천 이팝나무 가로수 생육환경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Growth Condition of Chionanthus retusa, Roadside Tree in Cheongyechon)

  • 윤소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9-138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growth condition of Chionanthus retusa, roadside tree in Cheongyechon (CGC)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soil characteristics and tree vitality and chlorophyll contents of it. Growth condition of tree (condition of flower, leaves and branch, % of flowering,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width, vitality and chlorophyll contents) and physiochemical relation item (pH, organic matter, K, Mg, Na, Ca, P)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The growth condition of flower, leaves and branch in the left side of CGC is better than the right side since the quantity of sunshine of left side of CGC is much more than the right side. 2. The average pH was alkaline. P and organic contents were much lower than the standards. 3. Tree vitality and chlorophyll contents were bad where were high user density and high buildings, such as 1, 2 area near Jong-gak and jongro 3 ga. Among the physiochemical factors of soil which affect tree vitality, K and P were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environment of roadside tree in CGC, it is needed to do periodical soil fertilizing and improv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il such as, permeability and porosity by soil conditioner.

폐석더미에서 복토 및 식생기반재 처리가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 Miq.)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overing Depth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the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Miq. in Abandoned Coal Mine Land in Gangwon, Korea)

  • 김정환;임주훈;이궁;이임균;정용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61-6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il covering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implementation on the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Miq. in abandoned coal mine land. We compared the biomass of L. cyrtobotrya at the study plots of four different soil covering depth (control, 10cm, 20cm, and 30cm) and four different compounds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composed of soil conditioner (S), erosion control (E), and peat moss (P) (control, S+P, E+P, and S+E+P). The result showed that the biomass of L. cyrtobotrya was higher in the study plots implemented with soil covering than control plot, although the increase in biomass was not constant with soil covering depth. In case of the vegetation base materials treatments, the biomass was highest in S+E+P plot, and S+P and E+P plots showed higher biomass than control pl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