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Aggregation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초

금강 하구에 나타나는 황색 수색대의 환경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Water Zones in the Estuary of Keum River)

  • 유병철;유선재;조주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7-105
    • /
    • 1994
  • 금강 하구에서 관찰되는 황색 수색대의 발생 원인과 성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92년 5월, 7월, 8월, 10월, 93년 2월 금강 하구해역 18개 정점에서 행한 연구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금강 하구 해역에 나타나는 황색 수색대의 수색은 수색계급 9에 해당되며 보통 조사점 1, 2, 3, 4, 5, 7, 8, 9, 13, 14, 15 및 17에서 연중 계속 존재하였다. 금강하구 해역의 일반수질은 해역환경기준 I 등급에 해당하는 양호한 상태이나 유기오염물은 증가되고 있으며 영양염 농도는 황색 수색대 안쪽 해역이 바깥쪽 해역보다 높은데 총무기질소 안쪽 해역에서 보면 총무기질소는 해역환경기준 III등급을 초과하였고 인산인 농도는 III등급이었으며 바깥쪽 해역에서는 총무기질소 농도와 인산인 농도 모두 II등급에 해당하는 부영양 상태였다. 그러나 금강하구 해역은 유속이 빠르고 총부유물질로 인한 광투과 저하 때문에 식물성 프랑크톤의 대량증식에는 부적합한 지역이었다. 또한, 금강하구 해역에 나타나는 황색 수색대의 형성 원인 총부유물질 중 $85\%$ 이상을 점유하는 토사때문이었다.

  • PDF

연근별 토양이화학성이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Growth of Panax ginseng Affected by the Annual Change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seng Cultivated Soil)

  • 이일호;박찬수;송기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84-91
    • /
    • 1989
  • 인삼재배산지에서 연근별 토양이화학성과 이삼생육변화를 조사하여 토성별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6년근 수량과 결주율에 미치는 토양이화학성의 영향을 구명코저하였다. 1. 산지 6년근 수량은 토성별고 사양토 1.44, 양토 2.13, 식양토 2.46kg/3.3$m^2$이었다. 2. 6년근 결주율은 사양토 51.6%, 식양토 33.6%이었고 묘직경은 3년근부터 사양토가 식양토보다 적었다. 3. 토양입단율과 공극율은 2년근 때보다 6년근에서 증가하였다. 4. 토양무기태질소는 2, 3년근에서 100-120ppm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가 4년근 75ppm, 5년근 34ppm, 6년근 25ppm으로 감소하였으며 사양토에서 감소폭이 컸다. 5. 본 포에서 $P_2O_5$, K, Ca, Mg는 연차간변화가 적었고 토성별로는 사양토가 N, P 함량은 높았고 양이온 함량은 낮았다. 6. 6년근 수량은 점토, 공극율, 수분과 유의성있는 정상관이었고 결주율은 모래, N 함량과 정상관이었다.

  • PDF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과 유기물(有機物)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Organic Matter)

  • 임정남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5-160
    • /
    • 1979
  •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의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 개선(改善) 효과(效果)와 이에 따른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과의 관계(關係)를 지금까지 이루어진 국내외(國內外) 연구결과(硏究結果)를 가지고 고찰(考察)해 보았으며, 우리나라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의 문제점(問題点)을 개략적(槪略的)으로 알아 보고 토양별(土壤別)로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의 물리성(物理性) 개선(改善) 효과(效果)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해 보았다.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은 식질토(埴質土)의 투수(透水), 통기성(通氣性)을 개선(改善)하고 사질토(砂質土)의 보수력(保水力)을 증진(增進)하는 효과(效果)가 크며 토양(土壤)의 내침식성(耐浸蝕性) 및 내압밀성(耐壓密性)을 증대(增大)시키므로서 토양생산력(土壤生産力) 증진(增進), 토양보전(土壤保全), 농기계작업(農機械作業)에 매우 유익(有益)한 효과(效果)를 가져 올 수 있다. 우리나라 경작지(耕作地)에서의 유기물(有機物)의 물리성(物理性) 개선효과(改善效果)는 일반적(一般的)으로 논보다는 밭에서 훨씬 크고 토양(土壤) 유형별(類型別)로는 답(畓)에서는 미숙답(未熟畓) 보통답(普通畓)에서 크고, 전(田)에서는 사질전(砂質田) 중점출(重粘出)에서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유기물(有機物) 시용효과(施用效果)를 극대화(極大化)한다는 면(面)에서 보면 논보다는 밭, 숙전(熟田)보다는 신개간지(新開墾地)에 더 많은 유기물(有機物)이 시용(施用)되어야 할 것이다. 토양물리성(土壤物理性) 개선면(改善面)에서 볼때 최적(最適)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은 3.0-3.5%정도(程度)로 정(定)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경작지(耕作地)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매우 낮은 수준(水準)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유기물(有機物)을 계속(繼續) 시용(施用)하여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켜 주는데 많은 노력(努力)을 경주(傾注)해야 할 것이다.

  • PDF

Pseudomonas oleovorans Strain KBPF-004 Culture Supernatants Reduced Seed Transmission of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and Pepper mild mottle virus, and Remodeled Aggregation of 126 kDa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Movement Protein of Pepper mild mottle virus

  • Kim, Nam-Gyu;Seo, Eun-Young;Han, Sang-Hyuk;Gong, Jun-Su;Park, Cheol-Nam;Park, Ho-Seop;Domier, Leslie L;Hammond, John;Lim, Hyoun-Sub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93-401
    • /
    • 2017
  • Efforts to control viral diseases in crop production include several types of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s; antiviral extracts of a number of plants have also been examined to inhibit plant viral infection. However, treatments utilizing naturally selected microorganisms with activity against plant viruses are poorly documented. Here we report isolation of a soil inhabiting bacterium, Pseudomonas oleovorans strain KBPF-004 (developmental code KNF2016) which showed antiviral activity against mechanical transmission of tobamoviruses. Antiviral activity was also evaluated in seed transmission of two tobamoviruses, 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 and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 by treatment of seed collected from infected pepper and watermelon, respectively. Pepper and watermelon seeds were treated with culture supernatant of P. oleovorans strain KBPF-004 or control strain ATCC 8062 before planting. Seeds germinated after treatment with water or ATCC 8062 yielded about 60% CGMMV or PMMoV positive plants, whereas < 20% of KBPF-004-treated seeds were virus-infected, a significantly reduced seed transmission rate. Furthermore, supernatant of P. oleovorans strain KBPF-004 remodeled aggregation of PMMoV 126 kDa protein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movement protein in Nicotiana benthamiana, diminishing aggregation of the 126 kDa protein and essentially abolishing association of the movement protein with the microtubule network. In leaves agroinfiltrated with constructs expressing the coat protein (CP) of either PMMoV or CGMMV, less full-size CP was detected in the presence of supernatant of P. oleovorans strain KBPF-004. These changes may contribute to the antiviral effects of P. oleovorans strain KBPF-004.

산불토양복원을 위한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생성세균의 분리, 동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producing bacteria for restoration of burnt forest soils)

  • 이건영;송인근;정재춘;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4호
    • /
    • pp.139-14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입단화 촉진을 통한 훼손토양의 복원을 위하여 산불토양으로부터 EPS 생성균주 2종을 순수분리 하였다. EPS 생성세균인 FM-02 균주는 Gram 음성 간균으로 16s-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 Beta Proteobacterium sp. 에 속하는 종으로 동정 되었고, AL-02 세균은 양성 간균으로 16s-rDNA 염기분석 결과 Zoogloea sp. 와 81%의 유사도를 나타내었다. 분리균주가 생산하는 EPS의 양은 건중량 측정시 FM-02 균주는 1L당 약 1.8g 의 생산율을 보였으며, AL-02의 경우 약 8.3g의 수율을 보였다. 분리균주의 토양입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응집활성을 측정하였으며, FM-02 세균은 active carbon에 대한 응집활성 (FA)이 2.31로 나타났고, AL-02 세균은 kaolin clay에 대한 응집활성 (FA)이 6.2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M-02균주는 active carbon에 대한 높은 응집활성을 고려할 때 화학응집제를 대신한 생분해성 응집활성제로의 응응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AL-02균주는 kaolin clay에 대한 고활성의 응집능과 고생산성의 EPS수율을 갖는 균주로써 훼손된 토양에서 토양입자들의 응집을 통한 입단을 촉진하여 강우에 의한 토사유출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중국 연변 조양하 유역의 국부경사와 배수면적의 관계를 이용한 토사유실 우심지역 추출 (Identification of vulnerable region susceptible to soil losses b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slope and drainage area in Choyang creek basin, Yanbian China)

  • 김주철;최봉학;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3호
    • /
    • pp.235-246
    • /
    • 2018
  • 본 연구의 주목적은 조양하 유역의 유출응집구조와 에너지소비 양상을 멱함수 법칙분포의 틀 내에서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토사유실에 민감한 우심지역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GIS를 기반으로 대상유역 내 지점별 배수면적과 함께 소류력 및 수류력을 정의하는 지형학적 인자를 추출하여 해당 인자들에 대한 여누가 분포의 도해적 해석과 함께 멱함수 법칙분포의 적합을 수행하였으며 소류력과 수류력의 규모별 특성권역을 기반으로 토양우실 우심지역을 추출하여 보았다. 소류력를 기반으로 한 토사유실 우심지역의 경우 수류력을 기반으로 한 결과에 비하여 우심지역의 범위가 매우 좁게 평가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류력이 멱함수 법칙분포를 따르지 않는 규모종속성 지형학적 인자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해당 지형학적 인자는 멱함수 법칙분포의 틀 내에서 자연유역의 에너지 규모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 수류력을 기반으로 제시한 지형학적 인자가 토사유실의 평가를 위해 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토사유실 우심지역을 도시해 본 결과 국부경사에 종속적인 사면활동 활성구간에서 발생한 토사가 국부경사와 배수면적에 종속적인 지표유동 활성구간을 통하여 계곡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의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시설 딸기 재배형태가 토양 글로말린 함량과 양분흡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Cultivation Systems on Soil Glomalin Content and Nutrient Uptake of Strawberry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 민세규;이승호;남상회;최용욱;이수열;박수선;이성태;김은석;송원두;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52-456
    • /
    • 2011
  • 시설 딸기 유기재배, 무농약 및 관행재배 재배방법이 토양의 글로말린 함량 및 미생물생체량과 식물체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토양 총 글로말린 함량은 유기재배 $2.00mg\;g^{-1}$, 무농약재배 $1.93mg\;g^{-1}$이었으며 관행 재배는 $1.68mg\;g^{-1}$으로 유기재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토양 미생물생체량은 유기재배가 $821mg\;kg^{-1}$ 으로 무농약재배 $216mg\;kg^{-1}$ 및 관행재배 $169mg\;kg^{-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딸기 지상부의 질소 흡수량은 유기재배가 $65kg\;ha^{-1}$로 가장 많아 질소 이용율이 52.4%로 가장 높았다 (p<0.05). 딸기 수량은 유기재배가 $51Mg\;ha^{-1}$으로 가장 많았으며 관행재배가 $35Mg\;ha^{-1}$이었고 무농약재배는 $32Mg\;ha^{-1}$이었다.

집중호우로 인한 토양침식 우심지역 환경영향평가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 on the Severely Soil-Eroded Area by heavy Rainfall)

  • 현병근;송관철;정석재;손연규;김이열;김선관;곽한강;정지호;최정원;정기열;김춘식;현근수;편인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8-130
    • /
    • 2007
  • 태풍 루사시 집중호우로 인하여 농경지에 대한 피해가 극심했던 강원도 강릉지역의 강우특성과 침식, 매몰, 침수, 산불지역에 대한 피해양상을 조사하였으며, 복원대책을 요학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태풍루사에 의해 870 mm가 내린 강릉지역의 집중호우 확률강우 재현기간은 345년으로 분석되었다. 2. 토양침식지점과 인근지점 토양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토양침식지점이 유효토심이 낮고, 경사장은 길고, 경사도는 높았으며, 주로 오목지형에서 토양침식에 많이 발생하였다. 3. 산불지역에서 경사가 심할수록, 지면피복도가 감소할수록 토양침식 등급이 높았는데, 저구릉에서 산악지로 갈수록, 미세지형은 볼록한 형태에서 직선형일수록 토양침식 등급이 높았다. 토양침식을 받은 지역은 혼효림 식재, Weeping love grass 등의 식재를 하고 가능한 한 단기간에 피복도를 증대시켜 2차 피해를 예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대부분의 농경지는 피해 후 복원이 잘 되어있으나, 일부농경지는 매몰된 모래층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았기 때문에 토양의 비옥도 저하로 작물생육이 부진하였으며, 토성 급변층으로 인하여 심토에 배수 불량층이 생성되었다. 매몰된 토양을 완전히 제거하여 우량 객토원으로 객토하고 토양검정에 의한 작물별 시비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포화 컬럼실험에서 이온강도 변화 및 유기물질 출현에 의한 PVP로 코팅된 은나노 입자의 거동 연구 (Transport behavior of PVP (polyvinylpyrrolidone) - AgNPs in saturated packed column: Effect of ionic strength and HA)

  • 허지용;한종훈;허남국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3-270
    • /
    • 2016
  • Recent Engineered nanoparticles were increasingly exposed to environmental system with the wide application and production of nanomaterials, concerns are increasing about their environmental risk to soil and groundwater system. In order to assess the transport behavior of silver nanoparticles (AgNPs), a saturated packed column experiments were examined.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and a DLS detector was used for concentration and size measurement of AgNPs. The column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solution chemistry had a considerable temporal deposition of AgNPs on the porous media of solid glass beads. In column experiment, comparable mobility improvement of AgNPs were observed by changing solution chemistry conditions from salts (in both NaCl and $CaCl_2$ solutions) to DI conditions, but in much lower ionic strength (IS) with $CaCl_2$. Additionally, the fitted parameters with two-site kinetic attachment model form the experimental breakthrough curves (BTCs) were associated that the retention rates of the AgNPs aggregates were enhanced with increasing IS under both NaCl and $CaCl_2$ solutions.

계화도 간척지에서 석고, 팽화왕겨 및 제올라이트 처리가 토양 중 양이온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ypsum, Popped Rice Hulls and Zeolite on Contents of Ca2+, Mg2+, Na+, K+ in Reclaimed Tideland Soils in Kyehwado)

  • 백승화;이상욱;임효빈;김대근;김성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1
    • /
    • 2009
  • 본 연구는 간척지 토양 중 세사양토에 대하여 입단형성을 위해 가해진 토양개량제가 토양 중 양이온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토양개량제로 이수석고 1550 (G1), 3100 (G2), 6200 (G3) kg/10 a, 팽화왕겨 1000 (H1), 2000 (H2), 3000 (H3) kg/10 a, 팽화왕겨 1500 kg/10 a에 zeolite 200 (HZ1), 400 (HZ2), 800 (HZ3) kg/10 a가 되도록 처리량을 달리하여 3년간 연용하고, 버뮤다그래스를 재배한 토양을 60, 90, 120일 경과 후 채취하여 토양개량제 연용이 토양 중 양이온 함량변화에 미치는 결과를 보고한다. 이수석고의 처리는 토양 중 $K^+$, $Na^+$, $Mg^{++}$의 함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 함량은 토양개량제의 종류 및 처리수준과 관계없이 연용기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K^+$ 함량은 연도별의 경우 2004 > 2005 > 2006 순으로 낮았으나 동일연도에서는 이수석고 < 팽화왕겨 < 팽화왕겨+zeolite 순이었으며, 90 DAT에서 잘 나타나고 있었다. $Na^+$ 함량은 토양개량제 연용에 따른 변화는 없었으나 토양개량제의 종류에 의한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2006년 120 DAT 처리구에서 이수석고 및 그 처리량에 따라 $Na^+$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고, 2006년도 토양 중 $Na^+$ 함량은 이수석고 $\ll$ 팽화왕겨 < 팽화왕겨 +zeolite 순이었다. $Mg^{++}$ 함량은 팽화왕겨+zeolite의 경우 년도별 증가형태가 안정적이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이수석고 < 팽화왕겨 < 정화왕겨+zeolite 순으로 높아지고 있었다. 이수석고 및 그 처리량에 따라 $Mg^{++}$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고, 팽화왕겨, 팽화왕겨+zeolite 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그리고 연용에 따라 감소되는 정도가 적었다. 동일 조건에서의 토양개량제 처리는 이수석고 < 팽화왕겨 < 팽화왕겨+zeolite 순으로 높아지고 있었다 $Ca^{++}$의 경우 이수석고 연용처리는 처리수준이 높을수록 토양 중 $Ca^{++}$이 높아지는 결과가 되었으며, 년도별 변화도 2004 < 2005 < 2006년의 순으로 연용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팽화왕겨, 팽화왕겨+zeolite 연용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함량변화가 적었다. 토성이 세 사양토인 간척지의 양이온 중 $K^+$, $Na^+$, $Mg^{++}$ 함량 감소에 효과적인 토양개량제는 이수석고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