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palate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2초

다형성 선종의 임상병리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IN PLEOMORPHIC ADENOMA)

  • 김경욱;한세진;이상구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4호
    • /
    • pp.384-390
    • /
    • 2006
  • Pleomorphic adenoma is the most common salivary benign tumor, constituting over 60% of parotid gland tumor, 25% of sublingual gland tumor and 50% of minor salivary gland tumor. It is somewhat more frequent in the fourth to sixth decades. The recurrent rate which enforces only a simple enucleation is very high $(20{\sim}45%)$. Histologically, it contains the epithelial cell, the myo-epithelial cell and mesenchymal ingredient, which is various aspect. We analyzed clinicopathologically and immunohistochemically the patients(34 cases) who are diagnosed with pleomorphic adenoma i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y, Dankook university since 1998.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incidence of the tumor was most frequent in age 30 to 50.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1.43. 2. The most chief complain was a painless mass(94.1%) and the duration time was more than decade in 18 cases(52.9%). 3. Palate(soft & hard palate) was the most occurred site(64.7%). In major salivary glands, the parotid gland was the most frequent site(17.6%). 4. The tumor size was 2 to 3cm on the average. Most of tumors were with capsule(91.2%). 5. Surgical excision was a main treatment method(20 cases, 58.8%) and 14 cases were excised with a glandectomy, 1 case was treated with a partial maxillectomy. Only 1 case of all cases was recurred. 6. Histopathologically, 9 cases(26.5%) were cellular type, 11 cases(32.4%) were intermediate(classic) type and 14 cases(41.1%) were myxoid type. 7. Immunohistochemically, the specimen of all tumors reacted positively to cytokeratin and vimentin marker.

Versatility of Modified Nasolabial Flap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Mitra, Geeti Vajdi;Bajaj, Sarwpriya Sharma;Rajmohan, Sushmitha;Motiwale, Tejas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3-248
    • /
    • 2017
  • Background: To evaluate the versatility and reach of modified nasolabial flap used in reconstruction of defects created in and around the oral cavity. Methods: A total number of 20 cases were selected. Out of which 13 were males and 7 females. The age of these patients ranged from 24-63 years. 29 modified nasolabial flaps were raised in twenty patients. Based on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ut of 20 patients, 14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oral submucous fibrosis, 3 with verrucous carcinoma, 1 with squamous papilloma, 1 with oro-antral fistula and 1 with traumatic loss of lower lip. Results: Minimum preoperative interincisal distance (IID) was 0 mm and maximum was 15 mm with mean of $6.00{\pm}4.76mm$ in patients with oral submucous fibrosi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minimum IID was 16 mm and maximum was 41 mm with mean of $28.00{\pm}8.96mm$. In one case, dehiscence (3.4%) was noted on the anterior tip for which tip revision was done. Bulky appearance of the flap intraorally was observed in 2 cases (6.9%). Five (17.2%) among the 29 flaps had visible scar at the donor site postoperatively up to 3 months. Conclusion: Numerous reconstructive techniques have been employed in the reconstruction of small to intermediate sized defects of oral cavity. Modified nasolabial flap is a versatile flap which has robust vascularity and can be successfully used with minimal complications. It can be rotated intraorally to extend from the soft palate to the lip. Thus, it can be used efficiently to treat the small defects of the oral cavity as well as recreating lost lip structure.

구개인두부전증 환자의 한국어 음성 코퍼스 구축 방안 연구 (Research on Construction of the Korean Speech Corpus in Patient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 이지은;김욱은;김광현;성명훈;권택균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55권8호
    • /
    • pp.498-507
    • /
    • 2012
  •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aim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VPI) speech corpus system. Subjects and Method After developing a 3-channel simultaneous speech recording device capable of recording nasal/oral and normal compound speech separately, voice data were collected from VPI patients aged more than 10 years with/without the history of operation or prior speech therapy. This wa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for which VPI was simulated by using a french-3 nelaton tube inserted via both nostril through nasopharynx and pulling the soft palate anteriorly in varying degrees.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transcriptors: a speech therapist transcribed the voice file into text, a second transcriptor graded speech intelligibility and severity and the third tagged the types and onset times of misarticulation. The database were composed of three main tables regarding (1) speaker's demographics, (2) condition of the recording system and (3) transcripts. All of these were interfaced with the Praat voice analysis program, which enables the user to extract exact transcribed phrases for analysis. Results In the simulated VPI group, the higher the severity of VPI, the higher the nasalance score was obtained. In addition, we could verify the vocal energy that characterizes hypernasality and compensation in nasal/oral and compound sounds spoken by VPI patients as opposed to that characgerizes the normal control group. Conclusion With the Korean version of VPI speech corpus system, patients' common difficulties and speech tendencies in articulation can be objectively evaluated. Comparing these data with those of the normal voice, mispronunciation and dysarticulation of patients with VPI can be corrected.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과 체위에 따른 상기도 구조와 근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EMG 및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EMG AND CEPHALOMETRIC STUDY ON CHANCES IN UPPER AIRWAY STRUCTURES AND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AND BODY POSTURE IN OSA PATIENTS)

  • 박영철;배응권;이정권;이종석;김태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47-561
    • /
    • 1998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로 표시)은 수면 도중 계속 반복 되어 일어나는 상기도 폐쇄로 인하여 무호흡증을 나타내는 장애(disorder)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도 구조의 해부학적 요인뿐 아니라 생리적 요인도 무호흡 발생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또한 이설근이 상기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OSA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하악 재위치 장치를 통한 치료 역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에 따른 구조적 생리적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OSA 환자 26명 (남 17명 여 9명)과 일반 정상 성인 20명 (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앙와위에서 장치 장착 전후의 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장치에 따른 상기도의 구조 변화를 연구하고 두군 사이의 장치 장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OSA환자 14명(남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체위 변화와 장치장착에 따른 이설근 근전도 변화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기도 구조에 대한 두부계측학적 측정치 중 연구개의 길이, 연구개 최대 두께와 SPAS, MAS, VAL, H-H1, MP-H 에서 정상군과 OSA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IAS와 EAS는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 정상군과 OSA군 모두에서 장치 장착에 따라 후두개가 전방 이동하면서 후두개 수준(epiglottis level)의 기도 폭경은 증가하였고 연구개의 최대 두께가 변하였으며 설골은 전방 이동하였으나 두 군 모두 IAS에서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장치 장착에 따른 상기도 구조에 대한 효과는 두 군 사이에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체위 변화에 따라 앙와위에서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며, 직립위와 앙와위 모두에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였다. 하악 재위치 장치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뿐 아니라 상기도 생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장치에 대한 반응은 정상군과 OSA군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었고, 두 군은 상기도 생리에 있어서도 서로 다르다고 사료된다.

  • PDF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한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 환자의 미각평가 (Evaluation of Taste in the Patients with Recurrent Aphthous Ulceration by Electrogustometer)

  • 전진용;안용우;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1-8
    • /
    • 2007
  • 1. 서론 : 미각 장애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유지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으며 국소적 병소나 전신적 질환의 한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질병의 진단에 좋은 참고 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미각역치검사는 검사방법에 따라 화학용액법과 전기미각측정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전기미각측정법이 자주 사용된다. 전기미각측정법을 이용하여 전신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구강내 병소와 관련된 미각의 연구는 불충분 하였다. 이에 구강내 질환중 가장 자주 발생하는 RAU와 미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에 구강검사를 통해 재발성 구내궤양으로 진단된 환자 27명을 실험군으로 선택하고, 인천 소재 00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환자 중에 미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신질환, 약물복용, 구강내 연조직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는 환자 70명을 대조군으로 선택하였다. 전기미각측정기(Electrogustometer, Model EG-2B, Nagashima Medical Instrument Co., Nagashima, Japan)를 사용하여 오른쪽 혀끝, 측방 중앙부위, 유곽유두 근처부위, 연구개 부위에서 미각역치 측정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왼손에 전기 미각측정기의 부저를, 오른손에 음극을 잡도록 하였다. 검사자는 양전극을 피검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위치시킨 후 전류강도를 낮은 수치에서부터 점점 증가시켰다. 각 부위에서 5분 간격으로 2회 측정한 다음, 평균치를 구하여 그 부위에 대한 전기미각역치로 정하였고, 측정단위는 dB로 하였다.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들은 진단이 되었을 때 미각역치를 측정하고, 1회 치료 후 한 번 더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34dB에서 느끼지 못하는 연구대상자들의 전기미각역치는 34dB로 기록하였고,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인 실험군에서는 구강증상의 변화를 Numerical Analougue Scale(NAS)로 평가하였다. 3. 결론 : 1.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전기미각역치는 매우 낮았다. 2. 여성에서는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에서 전기미각역치가 매우 낮았으며, 남성에서는 연구개를 제외한 전 부위에서 낮았다. 3.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구내병소가 단일병소일 경우보다 복수 병소일 경우에 미각역치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만성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만성환자군에서 혀끝, 유곽유두부위, 연구개 부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급성환자군에서는 혀 측방중앙부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재발성 구내궤양 환자군의 치료에 따른 전기미각역치는 혀끝, 혀 측방중앙부위, 유곽유두부위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연구개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NAS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에 있어서 구내장치 반응성에 대한 두부 방사선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fter use of oral appliance)

  • 경승현;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7-296
    • /
    • 2000
  • OSA가 의심되는 환자에 대하여 수면 다원 검사를 시행하여 RDI가 5이상이고 Arousal Index가 20이상이어서 OSA로 진단된 환자 24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구내장치에 대한 반응검사를 위한 수면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장치 장착 전후의 RDI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구내장치 장착전과 후에 두장의 두부 방사선을 호기 말에서 채득하여 안모 형태에 대한 변수를 첫번째 두부 방사선상에서 측정하였고, 두 장의 두부 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연구개,후 인두벽, 혀, 설골, 상기도, 하악의 구내장치에 의한 이동을 나타내는 두부 방사선상의 변수를 측정하였다. RDI 개선도에 따라 가장 양호하게 반응하는 8명과 가장 효과가 낮게 반응하는 8명을 선택하여 두 군으로 분류하여 군 비교를 시행하였다. 군 비교를 위하여 Wilcoxon rank test를 시행 하였고 구내장치에 의한 각 변수의 차이와 RDI 개선도와의 상관관계, 안모 형태와 RDI 개선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earmann correlat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구내장치는 장착전 평균 RDI=45.8에서 장착 후 평균 RDI=13.3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고 상관 관계에 있어서 하악의 전방이동량과 설골의 상방 이동량은 구내장치 효과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치료 효과가 양호한 군에서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 사이 수준(level)에서 유의성 있는 혀의 전방 이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구내장치에 의한 혀의 전방 이동은 RDI 개선도와도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개 끝과 후두 덮개사이 수준(level)에서 상기도의 전후방 길이인 AW는 RDI 개선도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 의하면 혀의 전방 이동과 설골의 상방 이동, 상기도의 전후길이 증가등은 RDI의 양호한 개선을 나타내는 지표 였다.

  • PDF

전산화단층촬영법을 통한 한국인의 구개 저작 점막 두께에 대한 연구 (Measurement of soft tissue thickness on posterior palatal area by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n Korean population)

  • 송지은;채경준;정의원;김창성;최성호;조규성;김종관;채중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103-11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thickness of masticatory mucosa in the hard palate as a donor site for mucogingival surgery by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CT), Thicknes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84 adult patients who took CT on maxilla for implant surgery and 24 standard measurement points were defined in the hard palate according to the gingival margin and mid palatal suture. Radiographic measurements were utilized after calibration for standardization.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mucosal thickness by gender, age, tooth positions and depth of palatal va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ean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was $3.93{\pm}0.6mm$ and females had significantly thinner mean masticatory mucosa($3.76{\pm}0.56mm$) than males($4.04{\pm}0.6mm$)(p<0.05). 2. 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increased by aging. 3. Depending on position, masticatory mucosa thickness increased from canine to premeolar, but decreased at the first molar, and increased again in the second molar region(p<0.0001). 4.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were indentified between low palatal vault group and high palatal vault group(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canine and premolar area appears to be the most appropriate donor site for soft tissue grafting procedure. The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by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can offer useful information clinically but further studies in as-sess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thod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s needed.

하악전돌 환자에서 하악골 후퇴수술이 기도공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ndibular setback osteotomy on the oropharyngeal airway space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김효영;최현규;김은경;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33-741
    • /
    • 1997
  • 하악전돌증 환자의 하악골 후퇴수술로 골격적인 변화뿐 아니라 연조직에서의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는데, 외부적으로 나타나는 안모 연조직의 심미적 변화와 더불어 구강내의 가동성 및 비가동성 연조직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북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수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하악골만 양측성 하악지시상골절단술로 후퇴시킨 환자 38명의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 약 1년후의 측모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고 FH plane과 pterygoid vertical plane(PTV)을 reference plane으로 사용하여 연속된 측모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중첩시켰다. 수술후 변화된 인두부 깊이와 혀, 연구개, 설골 등의 위치 변화를 위한 길이측정과 구인두부 기도공간 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각 경계선을 디지타이저(Kurta digitizer XGT, Kurta Co., USA)로 컴퓨터에 입력하고 AutoCAD 프로그램으로 계측하였다. 하악골 후퇴수술이 구인두부 기도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구강내 각 구조물들의 위치변화와 각 항목들의 상호관계성을 조사하였다. 1. 구인두부 기도공간은 하악전돌증 환자의 하악골 후퇴수술후 감소되며 연속적으로 감소를 유지하고 있다(p<0.05). 2. Xi 점과 제2경추 수준에서 인두의 깊이는 수술전과 비교해 수술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감소된 채로 유지된다(p<0.05). 이 수준에서의 인두부 깊이 감소는 구인두부 기도공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p<0.01). 3. 제3경추와 제4경추 수준의 인두부 깊이는 수술후와 연속되는 관찰기간에도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4. 설골은 수술후 하방으로 이동하였으나(p<0.05), 연속되는 관찰기간 동안 원래의 위치로 회귀되는 경향을 보였다. 5. 혀의 길이와 높이 그리고 후두개 기저의 위치는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6. 연구개는 수술후 후방으로 변위하며 혀의 후방변위로 연속적으로 후방위치된 채 남아 있다(p<0.05). 연구개의 변위는 구인두부 기도공간의 면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인두후벽과의 거리는 감소되었다(p<0.01). 7. 구인두 기도공간의 감소는 후두개첨 상방부에서 수술에 의한 혀의 후방변위에 기인하며 계속 감소가 유지되었다.

  • PDF

구개확장장치와 facemask를 이용한 교정치료 환자의 구개주름 평가 (Evaluation of Palatal Rugae Following Orthopedic Treatment Using Rapid Maxillary Expander and Facemask)

  • 박세희;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7-175
    • /
    • 2020
  • 이 연구는 혼합치열기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RME와 facemask치료 전후에 구개 및 구개주름의 횡적 및 전후방적 변화를 평가하고, 구개주름이 교정 전후의 모델 중첩을 위한 적절한 기준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RME와 facemask를 이용한 교정치료를 받은 52명의 혼합치열기 3급 부정교합 환자의 교정치료 전, 후 상악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치료 전(T1), 후(T2)의 구개 및 구개주름을 계측하였다. RME와 facemask 치료로 인해 상악골과 구개에 나타나는 골성 변화에도 불구하고 구개와 구개주름의 전후방적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개와 구개주름의 형태학적 변화는 주로 횡적 변화로 나타났다. 구개주름은 하방의 경조직의 해부학적 변화에 적응하여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계측된 구개주름의 영역 중 3번째 구개주름의 내측점이 가장 적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관찰된 구개주름의 변화는 3번째 구개주름의 내측점이 RME와 facemask 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아 이동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교정 전후 모델을 중첩할 때 안정적인 기준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개에서 비강 샘암종의 영상 진단 증례 (Diagnostic Imaging of Nasal Adenocarcinoma in Four Dogs)

  • 정주현;장진화;오선경;김경민;이성옥;이정민;김학상;윤정희;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5-360
    • /
    • 2006
  • Four dogs with similar respiratory signs were referred to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clinical signs observed in these cases were anorexia, nasal discharge, sneezing, epistaxis, ocular discharge, and exophthalmoses. The routine laboratory tests revealed leukocytosis in two cases. On the skull radiographs, soft tissue density filled nasal cavity with loss of turbinate detail and increased density in frontal sinuses were found in all cases. Lysis of nasal bone was seen in two cases. Lysis of zygomatic arch was seen in one case. On computed tomography scan images, asymmetrical destruction of turbinate and nasal septum, and the superimposition of a soft tissue mass over the turbinate with peripheral contrast enhanced effect were identified in all cases. Destruction of ipsilateral orbital bone and invasion to retrobulbar region were visualized in all cases. In addition, all cases had lysis of cribriform plate. Lysis of nasal bone and destruction of hard palate were seen in two cases. Swelling of submandibular lymph node and salivary gland was seen in a case. Invasion to brain was identified in a case. All cases were diagnosed as nasal adenocarcinoma by cytology with fine needle aspiration and curet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