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imprin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패턴전사프린팅용 고분자 복제 소재 연구 (A Study on Polymer Replica Materials for Nanotransfer Printing)

  • 강영림;박운익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262-268
    • /
    • 2021
  •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various next-generation pattern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obtain well-designed nano-to-micro structures, such as imprint lithography, nanotransfer printing (nTP), directed self-assembly (DSA), E-beam lithography, and so on. Especially, nTP process has much attention due to its low processing cost, short processing time, and good compatibility with other patterning techniques in achieving the formation of high-resolution functional patterns. To transfer functional patterns onto desirable substrates, the use of soft materials is required for precise replication of master mold. Here, we introduce a simple and practical nTP method to create highly ordered structures using various polymeric replica materials. We found that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styrene (PS), and polyvinylpyridine (PVP) are possible candidates for replica materials for reliable duplication of Si master mold based on systematic analysis of pattern visualization. Furthermore, we successfully obtained well-defined metal and oxide nanostructures with functionality on target substrates by using replica patterns, through deposition and transfer process. We expect that the several candidates of replica materials can be exploited for effective nanofabrication of complex electronic devices.

중성화된 암캐에서 발생한 자궁 선암종 증례 (A Case of Uterine Adenocarcinoma in A Spayed Female Dog)

  • 최을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3-56
    • /
    • 2013
  • 10세령 중성화된 페키니즈 견이 배뇨장애와 복부 팽대와 혈뇨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복부 방사선 촬영에서 상복부의 난원형 연조직 종괴가 발견되었으며 초음파 검사에서 액이 차 있고 종괴가 있는 낭으로 확인되었다. 탐색적 개복술을 통해 직경 4 cm 크기의 낭성 구조를 발견하였으며 적갈색의 액성 물질과 벽에 붙어 있는 직경 1.5 cm 크기의 원형 종괴를 확인하고 수술적으로 제거하였다. 절개한 종괴의 날인 도말 표본에 대한 세포학적 검사 결과 여러가지 악성 조건을 만족하는 선암종 세포가 다수 관찰되었으며, 조직병리 검사에서 확진되었다. 환자는 수술 회복되어 퇴원하였으며 재발증상의 징후 없이 지내다가 술 후1년 후 증상이 재발되어 내원하였고 종괴가 재발되었음을 확인하고 종괴 제거를 위한 2차 수술을 실시하였다. 환자는 퇴원 후 2개월째에 다시 내원하였으며 종괴가 재발되고 폐 전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는 이후 3개월을 더 생존하다가 폐사하였다.

통영산 물렁증 멍게 피막의 편모충 감염 (Occurrence of bi-flagellated protists in the tunics of ascidians Halocynthia roretzi with tunic-softness syndrome collected from Tongyeong, south coast of Korea)

  • 신윤경;김현중;박경일;최민순;전제천;김응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7-204
    • /
    • 2011
  • 멍게 물렁증 원인규명의 일환으로 2011년 3월에 경남 통영에서 채집된 물렁증 멍게와 건강한 멍게를 대상으로 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물렁증 멍게의 경우 체액량, 비만도 및 피막지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물렁증 멍게의 피막 imprint 관찰과 배양 시 2개의 편모를 가진 원생동물이 확인되었으며, 물렁증 멍게에 대한 이들 편모충의 감염률은 97.5%인 반면 건강한 멍게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본 편모충은 물렁증 멍게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학적 검사결과 물렁증 멍게에서 피막섬 유질다발의 붕괴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편모충으로 추정되는 원생동물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통영산 물렁증 멍게에서 확인된 편모충은 일본에서 검출된 그것과 매우 유사한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향후 공격실험 등 물렁증 유발과 편모충과의 연관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