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phosphate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23초

이온영동법에 의한 Dexamethasone의 구강점막에의 침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netration of Dexamethasone into Oral Mucosa with the Use of Iontophoresis)

  • Sung-Woo Lee;Young-Ku Kim;Hong-Seop Kh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6권1호
    • /
    • pp.9-23
    • /
    • 1991
  • 이온 영동법은 전기력의 도움으로 이온화된 물질의 신체조직내 침투를 증가시키는 술식으로서 전신적 부작용은 줄어드는 반면, 국소부위의 약물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효과적인 국소요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치의학 분야에서는 과민상아질의 치료를 위해 불소 이온영동법이 빈번히 이용되어져 왔으며, 국소마취제나 항바이러스 제재의 도포시에도이용되었다.또,이온 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 투여로 피부나 구강점막의 염증성 질환의 효과적 치료를 보고한 많은 문헌이 있으나, 이온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의 구강점막에의 침투량이나 분포에 관해서는 거의 소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방사선 동위원소가 부착된 dexamethasone을 이온영동법을 이용하여 가토의 협점막에 침투시킨후 자기방사선 술식에 의해 그 침투량과 분포를 대조군과 비교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온영동법은 단순 국소도포에 비해 dexamethasone과 0.1M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혼합액(dexamethasone in 0.1M sodium phosphate buffer solution)의 가토 협점막 침투량을 증가시켰으며, 양극을 사용하였을 때 더 효과적이었다. 2. Dexamethasone과 0.1M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혼합액 투여 4시가, 24시간후 까지도 양극 잉온영동법이 효과적이었으며 은입자의 감소는 투여 4시간부터 24시간 후 사이에 주로 일어났다. 3. 인산소다 완충용액의 첨가는 양극 및 음극에 의한 이온영동법 모두에 효과적이었으며, 양극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단순도포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이온영동법에 의한 스테로이드 투여는 피부뿐만 아니라구강점막 염증성 병소의 효과적 치료술식으로 여거질 수 있다. 시와 maximal clenching시 사이의 치아 접촉시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폐섬유자원의 발효공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3보) 볏짚, 왕겨및 전분박 당화액을 이용한 효모배양 (Studies on the Fermentative Utilization of Cellulosic Wastes (part III) Production of Yeast from the Hydrolyzate of Rice straw, Rice hull and Corn Starch Pulp.)

  • 성낙계;심기환;이천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52-158
    • /
    • 1976
  • 전분박을 첨가한 왕겨및 볏짚의 산당화액을 이용하여 효모생육조건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왕겨와 볏짚에 전분박을 첨가하여 당화시킴으로써 당화액의 당농도가 각각 9.12%, 7.98%까지 증가되었다. 2. 산당화액을 중화할 때 사용한 중화제로서는 CaCO$_3$, Ca(OH)$_2$, NH$_4$OH순으로 효모생육이 좋았다. 3. 당화액을 기질로 하여 무기영양요구성을 검토한 결과 (NH$_4$)$_2$SO$_4$0.3%, $K_2$HPO$_4$0.4%, MgSO$_4$ㆍ7$H_2O$0.02%, NaCl 0.02%, CaCl$_2$0.02%를 가하였을 때 효모의 생육도가 가장 좋았다. 4. 전분박을 첨가한 왕겨와 볏짚의 당화액을 기질로 하여 효모를 배양하였을 때 48시간 이내에 각각 91.2% 90.8%의 당을 소화하였고 당에 대한 수율은 각각 46.5 %, 45.4%이었다.

  • PDF

메주에서 분리된 Enterococcus faecium MJ-14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부분정제 (Partial Purific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ium MJ-14 Isolated from Meju)

  • 이종갑;이군자;임성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1-216
    • /
    • 2005
  • E. faecium MJ-14 균주의 배양 상등액에 $50\%$ 황산암모늄을 처리한 결과, 박테리오신 활성은 3,840 BU/mL으로 배양 상등액에 비해 6배 증가되었고 회수율은 약 $60\%$에 이르렀다.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용출된 획분 중 $48\∼76$번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용출물의 비활성은 35.7배 증가하였고, 회수율은 약 $41\%$였다. 그리고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비활성 127,293 BU/mg인 박테리오신 단백질을 정제하였으며, 이 때 정제도는 114배, 수율은 $36\%$였다. 정제된 박테리오신 단백질을 SDS-FACE한 결과.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4.3 kDa과 5.8 kDa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신규 Cephalosporin-C Deacetylase(CAH) 생산 균주인 Bacillus sphaericus 366M-9의 선발 및 그 효소학적 특성 (The Isolation of Bacillus sphaericus 366M-9 Producing New Cephalosporin-C Deacetylase (CAH) and its Enzymatic Characterization)

  • 이승훈;권태종;이동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4-229
    • /
    • 2004
  • 토양으로부터 강력한 CAH activity를 갖는 균주를 분리하여, 생화학적, 배양학적, 전자현미경 동정을 한 결과, Bacillus sphaericus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B. sphaericus 366M-9로 명명하였다. 또한 이 균으로부터 최초로 cephalosporin-C deacetylase(CAH)를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수율은 약 7.5% 였으며, B. sphaericus 366M-9에서 분리한 CAH-9의 최적활성 온도는 $50^{\circ}C$였으며, 효소안정 온도구간은 30~$50^{\circ}C$이다. 또한 최적 활성 pH는 7.0이었으며, 효소안정 pH구간은 pH 6.0~8.0으로 90% 이상의 잔존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효소반응속도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에서는 $K_{m}$ 값은 0.87 mM 이며,$ V_{max}$는1.22 unit/ml이었다.다.

고정화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압전류적 항체 센서에 의한 Salmonella spp.의 신속 검출 (Rapid Detection of Salmonella spp. by Antibody-Immobilized Piezoelectric Crystal Biosensor)

  • 박인선;김우연;김남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6-212
    • /
    • 1998
  • Salmonella spp.의 신속한 검출을 위하여 엷은 박막형태의 수정결정을 사용하는 압전류적(piesoelectric) 항체센서 시스템을 개발하고 증류수, 완충용액, 식염용액 등의 여러 매질 중에서 보여주는 진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Salmonella spp. 균 구조항원(Common structural antigen)에 대한 항체를 수정결정에 PEI pre-coating, BSA 가교화, 3-APTES silanizaition, protein A와 DTBP thiolation의 5가지 방법에 의해 고정화한 후 항체 센서의 안정성을 살펴보았다. Salmonella 균을 주입하였을 때 Salmonella 균과 수정 결정에 고정화한 항체와의 결함반응에 의해 수정결정의 질량증가와 이에 따른 진동수 감소가 나타났다. 고정화방법 중 protein A와 DTBP를 이용하여 고정화하는 방법이 센서반응을 가장 안정적이고 재현성 있게 나타내줌을 알 수 있었다. $7.45{\times}10^{7}\;CFU/ml$의 Salmonella 균을 반응 cell 내에 주입하였을 때 protein A를 이용한 고정화의 경우 80Hz, DTBP를 이용한 고정화의 경우 283 Hz의 진동수 감소가 나타났으며, 압전류적 항체센서를 이용할 경우 40분 이내에 Salmonella spp.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 PDF

내열성 방성균 Streptomyces thermocyaneoviloaceus 의 Xylanases를 이용한 자일로올리고당의 생산 (Production of Xylooligosaccharides with Thermostable Xylanases from the Streptomyces thermocyaneo-violaceus)

  • 이오석;최충식;최준호;주길재;이인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21-226
    • /
    • 2001
  • S. thermocyaneoviolaceus 가 생산하는 xylanases를 황산암모늄에 의한 염석 및 투석에 의해 조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자일로오리고당을 생산하기 위한 최적 반응조건을 설정하였다. 자알로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기질로는 oat spelt xyaln 보다 birchwood xylan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았다. 반응온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효소의 열 안정성과 자일로올리고당의 생선량 등을 고려할 때 $60^{\circ}C$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효소의 농도 pH의 영향및 반응시간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10 unit/ml xylanases를 첨가하여 pH 6.0에서 12 시간 반응시켰을 때 가장 많은 양의 자일로올리고당을 생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최적 반응 조건에서 10% birchwood xylan 으로 부터 생산할 수 있는 자일로올리고당의 조성는 X2, X3, X4, X5 및 X6가 각각 20.1, 8.9 , 4.5, 16.2 및 9.1 g/I 이었으며 이때 생산되는 총 자일로올리고당 (X2~X6)은 58.8 g/I 이었다.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beta}-Glycosidase$ from Thermus caldophilus GK24

  • Yoo, Jin-Sang;Han, Ki-Woong;Kim, Hyun-Kyu;Kim, Min-Hong;Kwon, Suk-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638-642
    • /
    • 2000
  • A ${\beta}-glycosidase$ enzyme with $\beta$-D-fucosidase, ${\beta}-D-galactosidase$, and $\beta$-D-glucosidase activities has been purified from Thermus caldophilus GK24. The enzyme was monomeric with a molecular mass of 49 kDa, as evidenced by SDS-PAGE. The $K_m$ values for p-nitrophenyl ${\beta}-D-fucopyranoside$ (p-NPFuc), p-nitrophenyl ${\beta}-D-galactopyranoside$ (p-NPGal), and p-nitrophenyl ${\beta}-D-glucopyranoside$ (p-NPGlu) were 0.23 mM, 6.25 mM, and 0.28 mM, respectively. The enzyme showed optimal pH ranging between 5.5-6.5 and maximum temperature in the range of $85-90^{\circ}C$ for all the above mentioned activities. The half-life of the enzyme in sodium phosphate buffer (pH 6.0) at $80^{\circ}C$ was approximately 7 h. The p-NPGal hydrolyzing activity of Tca ${\beta}-glycosidase$ was strongly activated by L-histidine, while the p-NPFuc and p-NPGlu hydrolyzing activities of Tca ${\beta}-glycosidase$ were not affected at all by the amino acid. These results suggest differences in the conformation or in the reactive residues at the active site of Tca ${\beta}-glycosidase$.

  • PDF

인체 혈장 중 나돌올의 HPLC 분석법 검증 및 단회투여 후 약물동태 연구 (Validation of and HPLC Method for Nadolol in Human Plasma and Evaluation of Its Pharmacokinetics after a Single-dose in Korean Volunteers)

  • 강춘모;트란트룽;김경호;명자혜;황성주;김미영;구효정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6호
    • /
    • pp.431-436
    • /
    • 2005
  •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was validated for quantitation of nadolol in human plasma. Nadolol and internal standard, pindolol, were extracted with tert-butyl methyl ether after addition of 10 M sodium hydroxide solution. The analytes were separated on a reverse phased C18 column using a mobile phase consisting of 0.05 M ammonium phosphate monobasic buffer, acetonitrile and methanol (81: 17:2 v/v/v) and detected using a fluorescence detector (excitation wavelength 230 nm, emission wavelength 294 nm). The method was specific and sensitive enough to detect as low as 3 ng/mL of nadolol in human plasma. Linear calibration range was 3-150 ng/mL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0.999. The overall accuracy was in the range of 96.8 to 103% and precision C.V.(%) 7.30 to 12.2%. The recovery was approximately 100% and stability was confirmed during storage and sample preparation. The present HPLC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study bioavailabilit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80 mg of nadolol in healthy Korean subjects. The mean $AUC_{t}$ was $1968{\pm}397\;ng{\cdot}hr/mL$ and $C_{max}$ of $186{\pm}79.3\;ng/mL$ was reached at $3.5{\pm}0.76\;hr$. The mean $t_{1/2}$ of nadolol was $17.3{\pm}2.59\;hr$.

The Effect of Glucose and Glucose Transporter on Regulation of Lactation in Dairy Cow

  • Heo, Young-Tae;Park, Joung-Jun;Song, Hyuk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9권4호
    • /
    • pp.97-104
    • /
    • 2015
  • Glucose is universal and essential fuel of energy metabolism and in the synthesis pathways of all mammalian cells. Glucose is the one of the major precursors of lactose synthesis using glycolysis result in producing milk fat and protein. During the milk fat synthesis, lipoprotein lipase (LPL) and CD36 are required for glucose uptake. Various morecules such as acyl-CoA synthetase 1 (ACSL1) activity of acetyl-CoA synthetase 2 (ACSS2), ACACA, FASN AGPAT6, GPAM, LPIN1 are closely related with milk fat synthesis. Additionally, glucose plays a major role for synthesizing lactose. Activations of lactose synthesize enzymes such as membranebound enzyme, beta-1,4-galactosyl transferase (B4GALT),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are changed by concentration of glucose in blood resulting change of amount of lactose production. Glucose transporters are a wide group of membrane proteins that facilitate the transport of glucose over a plasma membrane. There are 2 types of glucose transporters which consisted facilitative glucose transporters (GLUT); and sodium-dependent transport, mediated by the Na+/glucose cotransporters (SGLT). Among them, GLUT1, GLUT8, GLUT12, SGLT1, SGLT2 are main glucose transporters which involved in mammary gland development and milk synthesis. However, more studies are required for revealing clear mechanism and function of other unknown genes and transporters. Therefor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of glucose usage and its regulation in mammary gland is very essential for enhancing the glucose utilization in the mammary gland and improving dairy productivity and efficiency.

냉동(冷凍)반죽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빵 제조(製造)에 있어서 적정(適正)반죽의 조성(組成) (Suitable Dough Formula for Yeast-Raised Breadmaking Using Frozen Dough)

  • 서석출;방광웅;송형익;정기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37-143
    • /
    • 1988
  • Straight no-time method로 조제한 냉동(冷凍)반죽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빵제조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반죽의 조성(組成)을 제(製)빵성적(成積)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경질(硬質)밀가루 1,000 g에 대하여 압착효모(壓搾酵母) 30 g, 설탕 50 g, 식염(食鹽) 20 g, 쇼트닝 40 g, 브롬산칼륨 75mg, L-ascorbic acid 200mg, yeast food 3 g, vital wheat gluten 30 g, 제1인산칼슘 400mg, 스테아릴젖산나트륨 8 g, 급수량(汲水量) 680 g 으로 냉동(冷凍)반죽을 만드는 것이 제(製)빵과정(過程)에서 팽창력(膨脹力)과 발효시간(醱酵時間)이 적절하고 높은 비용적(比容積)을 얻을 수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였다. Farinograph 성적상의 흡수율(吸水率)보다 높은 68%의 급수량(汲水量)으로도 유화제(乳化劑)나 품질개량제(品質改良劑)의 다량첨가(多量添加)로 반죽의 동결장해(凍結障害)를 억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