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nitrite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3초

가토(家兎)에서 nitrite에 의한 methemoglobinemia에 미치는 selenium의 영향(影響) (Protective influence of selenium on nitrite-induced methemoglobinemia in rabbits)

  • 김진상;한정희;김기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1-47
    • /
    • 1991
  • The protective of influences of sodium selenitc ($Na_2SeO_3$) against the methemoglobinemia with sodium nitrite were investigated on hemoglobin, methemoglobin, glutathione peroxidase and NADH-methemoglobin reductase activity in rabbits which were given 0,1,3 and 9ppm sodium selenite of drinking water for a week. Dietary selenium did not alter total hemoglobin in the blood of rabbits. Selenium was found to decrease nitrite-induced methemoglobi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was also increased by selenium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e NADH-methemoglobin reductase activity by selenit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s concerns the methemoglobinemia. These results showed that selenium could inhibit nitrite-induced methemoglobinemia. Its influence of inhibition i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the reduction of methemoglobin was greatly stimulated by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 PDF

멸치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Fermentation of Salted Anchovy)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06-613
    • /
    • 1997
  • 멸치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 후 7.1에서 숙성 110일 후 5.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 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 중 NDMA 함랑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 첨가구는 NDMA 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 실험 결과, 멸치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8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 과, 멸치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닭고기 model system에서의 인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in a Chicken Model System)

  • 전기홍;이무하;김영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26
    • /
    • 1990
  • 인삼을 닭고기에 분말상태 및 기존 항산화제와 혼합 첨가한 상태에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삼을 분말상태로 첨가한 결과, 인삼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늘 경향을 보였지만 항산화 효과의 증가정도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 기존 항산화제인 Sodium nitrite와 ascorbate 그러고 미생물 생장억제제인 sorbic acid를 혼합한 시료에 인상을 첨가한 결과, 인삼을 첨가한 처리구가 인삼을 첨가하지 않은 처리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항신화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인삼, nitrite, sorbic acid 및 ascorbate등을 혼합첨가한 구(G-NaSoAs)가 가장 높은 항산화효과를 보인 반면 Nitrite와 Sorbic acid를 첨가한 구(NaSo)는 가장 낮은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 PDF

Effects of High Pressure and Sodium Nitrite Levels on Cured Color Development and Residual Nitrite Concentration in Pork Homogenates

  • Hong, Geun-Pyo;Kim, Ji-Sook;Chun, Ji-Yeon;Min, Sang-G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41-648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 pressure with or without thermal treatment on the cured color development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model meat systems (pork, NaCl and sodium nitrite). At low nitrite levels (${\leq}50{\mu}g/g$), 200 MPa of pressure alone (P) did not develop the cured meat color (p>0.05). Thermal treatment (T) showed curing pigmentation (higher CIE L* and CIE a*), and the impacts were more effective when pressure was combined with thermal treatment (PT). In contrast, nitrite levels did not contribute to the cured meat color when ${\geq}200{\mu}g/g$ of nitrite was added to the meat. At high nitrite levels, although the typical cured color that is induced by thermal treatment did not present by pressure alone, the PT treatment still showed a pinker color with low residual nitrite content compared to the T treatment. The higher the pressure level (300 MPa), the greater the cured meat pigmentation with lower residual nitrit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possible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both for cured pigmentation and reducing residual nitrite, respective to typical thermal treatments.

돈육 소시지에 첨가한 키토산의 아질산염 대체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ubstitution Effect of Chitosan against Sodium Nitrite in Pork Sausage)

  • 윤선경;박선미;김연주;안동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51-559
    • /
    • 2001
  • 키토산을 돈육소시지에 첨가함으로서 축육가공제품에 필연적으로 첨가되고 있는 아질산염의 대체효과에 대해 조사했다. 키토산의 분자량에 따른 보존효과는 분자량 약 30kDa이상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분자량 약 30kDa의 키토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의 보존효과는 키토산을 0.20% 첨가하였을 경우 아질산염을 30ppm, chitosan을 0.35% 첨가한 경우 아질산염을 15 ppm, chitosan을 0.50%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아질산염을 7.5ppm으로 감량하여도 저장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분자량 약 30kDa의 키토산을 0.20%, 0.35%, 0.50%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경우, 아질산염의 첨가량이 15ppm에서 저장성이 유지되는 키토산의 농도는 0.35%이상이었다. 소시지의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대한 키토산의 생육억제효과는 분자량 약 30kDa은 0.35%이상, 분자량 약 120kDa의 키토산은 0.20%이상의 농도일 때 모든 균이 70%이상의 생육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소시지의 색은 키토산을 첨가한 소시지의 경우 아질산염만 첨가한 소시지의 경우보다 적색도가 높았으며, 저장기간 동안 안정하여 키토산의 첨가로 인한 소시지의 색에 있어서도 적색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아질산염의 첨가량을 15ppm까지 절감 할 수 있었다. 또한 키토산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소시지내 아질산염의 잔류량이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키토산의 분자량이 크고 키토산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그 감소정도는 크게 나타났다. 키토산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의존성이 강하여 pH 1.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키토산의 분자량이 클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로 키토산을 첨가함으로써 소시지의 저장성이나 색에 있어 영향을 주지 않고 아질산염의 첨가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었으며, 키토산의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Starvation on Physiological Changes and Stress Response in Cultured Cobit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Exposed to Sodium Nitrite

  • Hur, Jun Wook;Gil, Hyun Woo;Park, In-Seok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7-95
    • /
    • 2018
  • To investigate effects of starvation on physiological changes, stress response, and survival of cobit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exposed to sodium nitrite (NaNO2), a 4-week experiment was conducted. Fewer fish survived in the starved group than those in the fed group during the experiment. Starvation resulted in growth retardation, leading to differences in body length and body depth between fed and starved groups. The fed gorup continued to grow and remained in good condition. Blood chemical analysis (plasma cortisol and gluco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response to nitrite exposure between fed and starved groups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l parameters employed in this study to assess effects of starvation with NaNO2 stress are useful information for researching nutritional status in cobitid loach.

아질산염의 대체제로 고분자 키토산의 첨가가 저지방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이화학적 성상 및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of Chitosan as a Replacer of Sodium Nitri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Changes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진구복;오미영;박성용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63-574
    • /
    • 2006
  • 본 실험은 아질산염의 대체제로서 키토산과 젖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저장성과 발색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장성에서는 아질산염의 대체제로서 젖산나트륨과 비교하여 저장 기간 중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색도에서는 아질산염을 첨가한 시료에 비해 키토산과 젖산나트륨을 첨가한 시료의 적색도가 많은 차이를 보임으로써 키토산에 의한 아질산염의 완전대체는 불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는 아질산염 및 젖산나트륨과는 유사한 항균효과를 보여주고 있어서 키토산의 항균효과는 나타난 것으로 평가되며 앞으로 아질산염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소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질산염이 백서의 간 및 뇌조직중 연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Phospholipid Patterns of Liver- and Brain-Tissues of Albino Rats Treated with Sodium Nitrite.)

  • 배은상
    • 약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52
    • /
    • 1975
  • The amount of total lipids nad phospholipids in the rat liver and brain after sodium nitrite treatment was measured together with the composition ratio of phospholipid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amount of total lipids and phospholipid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is decrease was more outstanding in the rat brain liver. 2) The amount of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and sphingomyelin was decreased, whereas that of phosphatidylinositol and diphosphatidylglycerol nitrite treatment of 120mg/kg/day concentration brings inhibition of lipid metabolism in the rat liver and brain.

  • PDF

Effects of Purple-fleshed Sweet Potato (Ipomoera batatas Cultivar Ayamurasaki) Powder Addition on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Pork Sausages during Storage

  • Jin, Sang-Keun;Kim, Yeong-Jung;Park, Jae-Hong;Hur, In-Chul;Nam, Sang-Hae;Shin, Dae-Ke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9호
    • /
    • pp.1329-133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purple-fleshed sweet potato (PFP) powder on the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pork sausage. Sodium nitrite alone and sodium nitrite in combination with PFP were added to five different treatments sausages (CON (control) = 0.01% sodium nitrite, SP25 = 0.005% sodium nitrite and 0.25% purple-fleshed sweet potato powder combination, SP50 = 0.005% sodium nitrite and 0.5% purple-fleshed sweet potato powder combination, PP25 = 0.25% purple-fleshed sweet potato powder, PP50 = 0.5% purple-fleshed sweet potato powder). The sausages were cooked to $74^{\circ}C$, stored at $4^{\circ}C$ for 6 wks, and used for chemical analysis, textural properties, and a sensory evaluation on 0, 2, 4 and 6 wks of storage, respectively. Similar CIE $a^*$ and $b^*$ values were determined in sausages from CON, SP25 and SP50 at the end of storage, and they were higher in CIE $a^*$ but lower in CIE $b^*$ than that of the PP25 and PP50 sausag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brittleness and hardness when PFP was added to the sausages but were not confirmed after 4 wks of storage. The objective color score was influenced by adding PFP; however, the effect was not dose dependent. In overall acceptability, panelists favored the CON, SP25, SP50, and PP50 sausages but did not prefer PP25 sausages at the end of storage. Therefore, adding PFP to cooked pork sausages improved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but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proper ratio of sodium nitrite and PFP.

돈육(豚肉)의 가열처리중(加熱處理中) 아질산염(亞窒酸鹽)이 지질산화(脂質酸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s of Sodium Nitrite on Lipid Oxidation of Pork during Cooking)

  • 정홍균;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48-158
    • /
    • 1986
  • 돈육 등심의 각 가열처리조건에 따른 아질산염이 중량감소, pH, 발색율, 색도 및 지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온에서 가열처리하든가 미세하게 간 돈육 시료는 중량감소가 컸으나 아질산염을 처리한 시료의 중량감소는 적었고 가열처리함에 따라 pH가 떨어졌는데 아질산염을 처리한 시료의 pH저하가 억제되었다. 아질산염을 처리함에 따라 발색율, lightness, redness, 및 Chroma값이 높아져서 변색이 억제되었고 가열처리를 하면 전반적으로 malonaldehyde의 함량이 높아졌으나 고온장시간의 가열처리에서는 시료의 malonaldehyde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또한 아질산염을 처리하면 과산화물 및 malonaldehyde의 함량이 줄어들어 산화방지에 효과를 나타냈는데 가열처리 온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길수 그 효과는 적었다. 돈육을 가열처리하면 각 지질성분의 함량은 대체로 낮아졌는데 인지질성분은 주로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으며 이들의 생성은 가열처리를 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palmitic acid였으며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였고 인지질은 필수지방산 및 이중결합이 2개 이상인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이 높았는데 이들 지방산은 가열처리함에 따라 그 조성이 감소되었으며 아질산염을 처리하면 총지질 및 인지질을 구성하는 이중결합이 2개 이상인 불포화지방산의 산화가 억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