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dodecyl sulfate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25초

포도당을 이용하여 성장하는 Acinetobacter sp. Strain JC1 DSM 3809에 존재하는 Catalase (Catalases in Acinetobacter sp. Strain JC1 DSM 3803 Growing on Glucose)

  • 신경주;노영태;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2
    • /
    • 1994
  • 포도당을 이용하여 성장하고 있는 호기성 일산화탄소 산화 세균인 Acinetobacter sp. Strain JC1 DSM 3808애 존재하는 catalase의 활성은 지수성장기 중반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지수성장기 후반 및 정체기 초기에서 낮아졌다가 정체기 중기에서 급격히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였다. 이 세균에는 세종류(Cat1, Cat2, Cat3)의 catalase가 존재하였는데, Cat1과 Cat3의 활성은 성장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at2의 활성은 성장시기에 따라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 Cat3는 이 세균이 포도당을 이용하여 성장할 때만 생성되었고, 일산화탄소나 메탄올을 이용하여 성장할 때는 생성되지 않았다. 세포추출액을 ethanol과 chloroform으로 처리한 후 활성염색을 하였을 때 Cat1과 Cat3의 활성은 안정하였으나 Cat2는 활성을 상실하였다. 세포추출액을 20mM $H_2O_2$와 3-amino-1,2,4-triazole(AT)을 처리하였을 때 Cat1과 Cat3의 활성이 반감되었고, Cat2는 $H_2O_2$에 의해서는 불활성되었으나 AT의 영향은 받지 않았다. Cat1은 80$^{\circ}C$ 1분간 열처리후에도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Cat2와 Cat3는 60$^{\circ}C$와 70$^{\circ}C$에서 1분간의 열처리 후 각각 활성을 상실하였다. Cat2는 catalase 활성외에 peroxidase의 활성도 나타내었다. 일곱단계의 과정을 거쳐 포도당에서 성장시에만 생성되는 Cat3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Cat3의 크기는 150,000이었고, 63,000의 크기를 가진 두개의 동일한 소단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H_2O_2$에 대한 K_m값은 39mM과 58mM로 나타났다. 정제된 효소의 활성을 위한 최적 pH는 7.0이었으나 전반적으로 pH 6~9에서 비슷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효소의 최적온도는 40$^{\circ}C$이었으며 20~50$^{\circ}C$에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30$^{\circ}C$에서는 60분동안 효소활성이 거의 상실되지 않았다. 정제된 효소는 ethanol과 chloroform 처리에는 안정하였으나 12mM AT 와 0.1mM $NaN_3$ 및 1mM KCN에 의해 90% 이상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 PDF

세탁세제 첨가용 효소 개발을 위한 남극 해양세균 유래 저온성 단백질분해효소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an Antarctic alkaline protease, a cold-active enzyme for laundry detergents)

  • 박하주;한세종;임정한;김덕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0-68
    • /
    • 2018
  • 남극 해양세균 Pseudoalteromonas arctica PAMC 21717로부터 저온활성 alkaline protease (Pro21717)를 부분정제하였다. Pro21717 효소 추출액은 skim milk를 포함하는 zymogram gel 상에서 약 37 kDa (낮은 활성)과 74 kDa (높은 활성) 위치에서 두 개의 뚜렷한 투명밴드(clear zone)를 형성하였다.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두 개의 효소단백질은 동일한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었으며, 하나의 유전자에서 발현된 미성숙 단백질(precursor)이 37 kDa 크기의 단백질분해효소로 성숙화과정을 거친 후 74 kDa 크기로 이량체화됨으로써 좀 더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Pro21717은 $0-40^{\circ}C$ (최고활성 온도 $40^{\circ}C$) 온도 범위에서 단백질분해활성을 나타내었고 pH 5.0-10.0 (최적 pH 9.0) 범위에서 효소활성을 유지하였다. 주목할만한 특성으로써, Pro21717은 $40^{\circ}C$에서의 최고 효소활성(100%) 대비, $0^{\circ}C$$10^{\circ}C$에서 각각 30%와 45%의 높은 저온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양한 합성 펩타이드류에 대해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Pro21717은 $Cu^{2+}$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시판용 세탁세제(commercial detergent formulation)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계면활성제, 화학성분, 금속이온에 의해 활성이 감소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저온활성 Pro21717은 글로벌 상업용효소 생산회사 Novozymes이 시판하고 있는 중온성 효소 Subtilisin Carlsberg (trademark Alcalase)에 버금가는 유용한 효소학적 특성이 있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저온활성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실험결과들은, Pro21717은 $15^{\circ}C$ 이하의 차가운 수돗물에서도 세척력을 유지하는 새로운 세탁세제 효소첨가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거세 및 비거세 유산양고기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s of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Castration and Non-castration from Dairy Goats)

  • 강근호;조수현;성필남;강선문;박경미;박범영;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9-124
    • /
    • 2013
  • 본 연구는 거세 및 비거세 유산양고기의 육질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 공시된 유산양은 자넨 품종으로 총 6개월간 사육된 거세 10두, 비거세 10두에서 등심근을 채취하여 육질분석 시료로 이용하였다. 유산양고기의 품질특성 조사를 위해 일반성분, 콜라겐 함량, pH, 육색, 가열감량, 보수력, 전단력, 단백질 용해성 및 SDS-PAGE에 의한 근원섬유 단백질 분포를 측정하였다. 또한, 거세 유무에 따른 이취물질 조사를 위해 관능평가 및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학적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거세유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DS-PAGE에 의한 근원섬유 단백질 분포도에 있어서도 처리구간 주요 단백질인 마이오신(200 kDa)과 액틴(45 kDa)의 양상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에 있어서는 비거세 유산양고기에서 이취항목의 점수가 높게 평가되어 전체적인 기호성에 있어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능평가 결과를 토대로 GC-MS를 이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조사한 결과, 비거세 유산양고기에서만 인돌, 옥타데카에노익산 등의 물질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향후 국내에서 사육하고 있는 유산양수컷고기의 유통을 위해서는 거세를 실시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좋은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inetobacter schindleri DYL129 유래의 3개 lipases와 chaperone의 발현과 정제 (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Three Lipases (LipAD1, LipAD2, and LipAD3) and a Lipase Chaperone (LipBD) from Acinetobacter schindleri DYL129)

  • 김선희;이용석;정해린;편효민;유주순;최용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92-498
    • /
    • 2019
  • 기존 연구를 통하여 토양에서 분리한 Acinetobacter schindleri DYL129로부터 3개의 lipase 유전자(lipAD1, lipAD2와 lipAD3)들과 1개의 chaperone (lipBD) 유전자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유전자들의 발현을 위해서 pET32a(+)와 pGEX-6P-1 벡터에 클로닝하여 각각을 pETLAD1-3와 pETLBD 또는 pGEXLAD1-3와 pGEXLB로 명명하였으며, 단백질의 발현량은 pET 시스템을 사용할 때 1.5 배 정도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LipAD1과 LipAD2는 inclusion body 형태로 발현이 되었으며, LipAD3과 LipBD는 soluble type으로도 발현되었다. Inclusion body 형태의 LipAD1과 LipAD2는 고농도의 우레아를 처리하여 refolding 시켰다. LipAD1은 C4와 C2를, LipAD2는 C2와 C14를 그리고 lipAD3은 C2, C4와 C14를 기질로 잘 이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든 효소들은 $50^{\circ}C$에서 최적 활성을 나타내었다.

밀의 고분자 글루테닌 조성과 농업 형질이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Molecular-Weight Glutenin Subunits and Agronomic Traits on Bread Wheat Quality Parameters)

  • 차진경;신동진;박현진;권영호;이소명;고종민;이종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2호
    • /
    • pp.111-120
    • /
    • 2022
  • 국내외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HMW-GS 조성과 농업 특성이 밀가루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 국내 자원의 HMW-GS 조성은 Glu-A1c와 Glu-A1b, Glu-B1b, Glu-D1f가 가장 많았고, Glu-B1i 또는 Glu-B1al을 가진 자원은 각 1개로 적었다. 외국 자원은 각 loci 별로 Glu-A1a, Glu-B1c, Glu-D1d가 가장 많았고, Glu-B1에서는 Glu-B1i가 두번째로 많았다. 2. 국내자원은 도입자원에 비해 출수일수가 짧고 성숙일수가 길며, 글루텐 인덱스, 믹소그래프 반죽 강도(MPV 및 MPW)가 높은 반면, Glu-1 점수와 반죽시간, 반죽 안정성(MTxW)이 낮았다. 3. HMW-GS 조성과 품질 특성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과 글루텐 함량은 Glu-B1i에서 가장 높았다. 글루텐 인덱스, 침전가, 믹소그래프 반죽시간, 반죽 안정성(MTxW)은 모두 공통적으로 Glu-B1의 Glu-B1i와 Glu-B1al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죽시간과 반죽 안정성(MTxW)은 Glu-A1a와 Glu-A1b, Glu-D1d에서도 높았다. 4. 농업 형질과 품질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 글루텐 인덱스, 침전가, 반죽 강도(MPV 및 MPW)는 공통적으로 출수일수와는 부의 상관, 성숙일수와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국내 자원의 빠른 출수기와 충분한 성숙일수를 유지하면서 도입 자원이 가진 Glu-B1i, Glu-B1al, Glu-D1d 등의 유용한 HMW-GS 조성을 도입하면 고품질 밀 품종을 육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방어 보통육과 혈합육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조성의 사후변화 (Changes Occurred in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s during Postmortem Aging of White and Dark Muscle of Yellowtail at $2^{\circ}C$)

  • 김장양;최영준;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3-136
    • /
    • 1982
  • 방어의 배육 보통육과 측육 혈합육을 $2^{\circ}C$에 보장하여 두고 선도변화 총계별로 단백질의 조성과 각축의 구성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건향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에 대하여는 구성단백질의 분포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NaDodSO_4$변한 다음, polyacrylamide겔 전기영동상을 비교 해석함으로써 적색육어류의 선도변화와 보통육 및 혈합육의 단백질조성 변화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K-값과 휘발성염기질소 및 pH값으로 판정했을 때, 혈합육은 보통육에 비하여 선도변화가 빨랐다. 사후 선도변화와 더불어 근원질단백질과 노원섬유단백질은 감소하는 반면, 세포내잔사단백질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보통육에 비하여 혈합육이 훨씬 심한 편이었다. Sodium dodecyl sulfate 화한 단백질을 polyacrylamide겔 전기영동함으로 분석한 결과, 보통육의 근원질단백질은 16개 성분, 그리고 혈합육의 근원질단백질은 12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보장 10일째부터 보통육의 근원질단백질은에는 41,000dalton과 18,000dalton의 양분이 조금씩 증가하였고, 26,000 dalton과 23,500 dalton 및 23,000 dalton되 각 성분은 점차 감소하였다. 혈합육의 근원질단백질에 있어서는 49,000 dalton의 성분은 감소하였고 47.000 dalton의 성분은 새로이 형성되었으며, 26,000 dalton의 성분은 소감하였다. 근원섬유단백질의 전기영동분석결과에 의하면, 보통육의 근원섬유단백질은 17개 성분, 그리고 혈합육의 근원조직단백질은 16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보장 10일에부터 보통육의 근원섬유단백질중에는 40,000 dalton의 성분이 증가하였고, 37,500 dalton의 성분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32,000 dalton의 성분은 새로히 출현하였다. 혈합육의 근원섬유단백질은 보장 9일째부터 58,000 dalton과 64,000 dalton의 성분은 그 농도가 단가하였으며, 17,500의 light chain-2 단백질은 소감하였고, 32,000 dalton의 성분은 새로이 출현하였다. 이 같은 전기영동상의 변화는 근원질단백질이 근원섬유단백질에 비하여 빨랐으며, 근원섬유단백질의 경화에 있어서는 혈합육쪽이 보통육에 비하여 빨랐다. 양 육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즉살한 방어의 보통육 단백질은 글루탐산, 아스팔트산, 류신. 알기닌, 알라닌 등은 그 양이 어느 정도 많았고, 프롤린과 트?토판은 그 양이 적었으며, 혈합육에 있어서도 비슷한 경형이었다. 그리고 10일이 경과한 보통육에 있어서는 글루탐산과 아스팔트산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9일이 경과한 혈합육에 있어서는 알라닌, 글리신, 그리고 알기닌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을 분석 결과, 즉살한 방어의 보통육중에는 히스티딘이 총유리아미노산의 약 $63\%$를, 그리고 혈합육중에는 타우린이 총유리아미노산의 약 $67\%$를 차지하는 양을 보였다. 그리고 $2^{\circ}C$에서 10일이 경과했을 때, 보통육에서는 히스티딘, 발린, 타우린이 증가하였으며, 알라닌, 류신 및 글리신 등은 조금 감소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9일이 경과한 혈합육에서는 타우린, 페닐알라닌, 글리신은 증하였으며, 히스티딘, 알라닌, 세린 등은 감소하였다.

  • PDF

Caffeine, 철분 및 vitamin E 혼합투여시 rat의 혈액과 간조직내에서 혈액화학성분과 지질 및 단백질 구성성분의 변화 (Changes of the blood chemistry,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in blood and liver tissue of the rat after oral combined administration of caffeine, iron and vitamin E)

  • 도재철;허린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77-598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ffeine or combinations of caffeine and iron or vitamin E on the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or blood chemistry levels of the serum as well as the total homogenate,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 of the rat(Sprague-Dawley, female) liver. Chronic test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ose effects. The chronic test was conducted by dividing rats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drugs and dosages administrated as follows; the control(group A), and group B was given 25mg/kg caffeine orally once daily for 30 days, group C was given 50mg/kg caffeine orally once daily for 30 days, group D was given 25mg/kg caffeine and orally ferric chloride once daily for 30 days and group E was given 25mg/kg caffeine and 25mg/kg vitamin E once daily for 30 days. The concentrations of glucose, urea nitrogen, uric acid, creatinine, total protein, albumin, A/G ratio,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kaline phosphatase(ALP) were measured in the serum of each experimental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the carbonyl group and malondiaidehyde(MDA) and the patterns of the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 -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free fatty acids and phospholipid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oxidative damages and metabolic changes on the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in the serum, and total homogenate,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s of the rat liv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ts of groups B, C, D and 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 < 0.01)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control in the chronic test. 2. The concentrations of serum glucose in groups B(124.5mg/dl), C(130.1mg/dl), D(122.1mg/dl), E(119.3mg/dl)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control(101.5mg/dl).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urea nitrogen, uric acid, creatinine, total protein, albumin and A/G ratio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control. 3.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in serum of groups B(69.6, 53.4mg/dl), C(73.0, 56.3mg/dl), D(68.9, 51.1mg/dl) and E(68.2, 51.3mg/dl)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control(52.6, 38.8mg/dl).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in serum of groups B(45.0mg/dl), C(40.4mg/dl), D(33.8mg/dl) and E(47.2mg/dl) were significantly lower(p < 0.01)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control(66.2mg/d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of ALT, AST and ALP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control. 4. The concentrations of free fatty acid and phospholipid in serum of groups B(45.7, 154.4mg/dl), C(50.0, 167.2mg/dl), D(52.5, 148.4mg/dl) and E(41.1, 159.2mg/dl) were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control(35.2, 125.3mg/dl).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carbonyl group and malondialdehyde in serum of group D(1.82, 0.52nM/mg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1.53nM/mg protein). 5. The concentrations of carbonyl group in total homogenate,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 of group D(1.45, 0.94, 1.67nM/mg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1.16, 0.66, 1.27nM/mg protein). And the concentrations of malondialdehyde in the total homogenate,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 of group D(6.70, 6.10, 1.36nM/mg pro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5.17, 3.64, 0.68nM/mg protein). 6. A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free fatty acid in serum, the proportions of stearic acid and arachidonic acid of groups B(16.52, 12.62%), C(17.52, 15.18%), D(19.73, 13.47%) and E(17.62, 13.28%)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14.75, 7.88%), but the proportions of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of groups B(12.97, 32.59%), C(10.88, 31.23%), D(12.37, 30.66%) and E(11.95, 32.41%) were significantly low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16.44, 35.12%). Otherwise, as the result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phospholipid in serum, the proportions of stearic acid and arachidonic acid of groups B(39.37, 16.39%), C(40.63, 17.83%), D(42.73, 15.39%) and E(39.16, 15.70%)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37.74, 14.24%), but the proportions of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of groups B(4.03, 14.38%), C(3.54, 12.38%), D(4.52, 11.68%) and E(4.29, 13.64%) were significantly low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5.53, 16.14%). 7. As the analytical result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free fatty acid in total homogenate,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 of liver, the proportions of oleic acid of groups B(7.8**, 8.73**, 6.88%) and C(6.89**, 7.75**, 6.58%) were low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8.67, 10.08, 7.81%), but the proportions of arachidonic acid of group C(22.62, 19.79, 23.71%)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20.93, 18.47, 22.24%). And the proportions of palmitic acid of group D(25.95**, 26.16, 26.34**%)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24.43, 25.42, 23.34%). In addition, the proportions of linoleic acid of group D(23.43, 25.02, 23.95%)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22.17, 23.75, 21.26%). The proportions of stearic acid of group D(19.87, 19.76**%) in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 were low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21.01, 24.18%), and the proportions of stearic acid of group E(16.71*, 19.65**%) in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p < 0.01, *:p < 0.05) in comparison to the control(21.01, 24.18%), and the proportions of linoleic acid of group E(25.04, 29.20, 26.48%) in total homogenate, mitochondria and microsome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22.17, 23.75, 21.26%). 8. As the result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phospholipid in total homogenate,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 of liver, the proportions of palmitic acid of group D(17.58**, 18.78*, 18.23%**) were significantly higher(**:p < 0.01, *:p < 0.05) in comparison to the control(16.28, 17.22, 16.38%), and the proportions of stearic acid of group D(36.41, 37.23, 39.53%)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p < 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34.18, 34.16, 36.04%). But the proportions of oleic acid(3.41*, 3.11**, 3.12**%) and linoleic acid (18.03**, 15.79**, 14.74**%) of group D were significantly lower(**:p < 0.01, *:p < 0.05) in comparison to the control(oleic : 3.63, 3.72, 3.79%, linoleic : 20.03, 18.71, 18.48%). 9. In order to determine the oxidative damages to the protein in serum, mitochondrial and microsomal fraction of the rat liver, the patterns of the SDS-PAGE were identified, but the results of SDS-P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