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Selenite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2초

Selenium이 adriamycin에 의해서 유발되는 랫드 신장병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enium on renal lesions induced by adriamycin in rats)

  • 박은성;이준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1-57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enium on the adriamycininduced renal lesions in male Sprague Dawley rats. A total of 60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2 control groups(C1: saline, C2: selenium) and 2 treatment groups(T1: adriamycin, T2: adriamycin+selenium). The rats of the C1 and T1 groups were given normal saline(0.15ml/rat), the rats of the C2 and T2 groups were given sodium selenite(0.5mg/kg) intraperitoneally three days a week for 4 weeks. The treatment groups were dosed intraperitoneally with adriamycin(2mg/kg/day) five days at the second week. Animals were sacrificed at the 1st week, 2nd week and 3rd week after dosing with adriamycin. The morphologic abnormalities of the glomeruli and tubules in the kidney of male rats were examined histopathologically and electron microscopically.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The mean body weight of adriamycin dos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at 4th week(p<0.05). In adriamycin and selenium dosed group, the mean body weight was decreased until the end of 2nd week but gradually increased from 3rd to 4th week.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the renal corpuscle in adriamycin dosed group were parietal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vacuolization of glomerulus, and thickened basement membrane of the parietal epithelium. Proximal convoluted tubules were significantly dilated and the lumens were filled with renal cast. These lesions were generally not very significant in the rats given adriamycin and selenium. The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the renal glomerulus in the adriamycin dosed group were focal loss and fusion of the pedicels of the podocyte, and some vacuoles in the cytoplasm of the podocytes. There were numerous cytoplasmic vacuoles in the proximal and distal convoluted tubular cells. However, these ultrastructural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observed in the renal tubules of the rats of adriamycin and selenium dos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enium may act as an inhibitor of the renal lesions induced by adriamycin in male rats.

  • PDF

Selenium의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 및 축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Selenium Sources on Performance and Selenium Retention in Broiler Chickens and Laying Hens)

  • 나재천;김상호;장병귀;김지혁;유동조;이덕수;이상진;이종찬;이원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5-202
    • /
    • 2006
  • 셀레늄의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과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차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은 무기태 selenium 0.12, 0.24 ppm과 유기태 selenium 0.12, 0.24 및 0.6 ppm의 첨가가 육계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및 닭고기 내 selenium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 전 기간의 증체량은 무기태 0.24 ppm 첨가구보다 유기태 selenium 0.24와 0.60 ppm 첨가구에서 높았다(P<0.05). 그러나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 무기태 및 유기태 selenium의 첨가 수준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슴과 다리근육의 selenium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태와 무기태 selenium 첨가구가 높았으며(P<0.05), 유기태 selenium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P<0.05), 무기태 selenium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실험 2에서는 산란계 사료에 무기태 selenium 0.06, 0.12 ppm과 유기태 selenium 0.06, 0.12 및 0.30 ppm의 첨가하여 급여시에 산란율,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난질 및 계란 내 selenium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료 요구율은 무기태 0.06 ppm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P<0.05), 산란율, 난중, 1일 산란량,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 무기태 및 유기태 selenium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Haugh unit는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색은 유기태 selenium 0.30 ppm 첨가구가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난각 강도는 유기태 selenium 0.06 ppm 첨가구가 높았다.(P<0.05). 그러나 난각 두께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는 없었다. 계란 중의 selenium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selenium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았다(P<0.05). 이외에도 사료내 selenium 첨가 수준에 비례하여 계란에서 selenium 축적량도 증가하였으며(P<0.05), 특히 유기태 selenium 이 무기태 selenium보다 효과적이었다.

셀레늄함유 청보리 사일리지급여가 육성기 거세한우의 생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Feeding Seleniferous Whole Crop Barley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Growing Hanwoo Steers)

  • 김국원;조익환;황보순;이성훈;한옥규;박태일;최인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9-148
    • /
    • 2012
  •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셀레늄함유 청보리 사일리지를 육성기 거세한우에 급여 시 성장특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육성기 거세한우 20두 (개시체중 $208.8{\pm}17.9$ kg)를 공시하였고, 처리구는 셀레늄수준과 형태에 따라 4처리구 (셀레늄시비 및 비시비 청보리 사일리지이용 0.1 mg/kg 셀레늄 (대조구), 0.3 mg/kg 셀레늄 (T1), 0.9 mg/kg 셀레늄(T2) 및 무기셀레늄 0.9 mg/kg 셀레늄 (T3)로 나누어 처리구당 5두씩 배치하여, 9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사료는 셀레늄함유 및 일반 청보리를 조합하여 배합비의 30%를 대체하였고, 무기셀레늄구 (T3)는 대조구사료에 0.9 mg/kg의 셀레늄수준에 상응하는 양의 sodium selenite를 첨가하였다. 사료내 조단백질 및 에너지함량은 처리구간 동일하였다. 사료 내 셀레늄의 수준 및 급여형태에 따라 사료섭취량과 증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혈중 포도당 농도는 대조구가 T1과 T2구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혈중 총지질농도는 셀레늄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낮아져, T2구와 T3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LDL-콜레스테롤은 셀레늄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혈중 중성지방 또한 T2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혈중 면역글로불린농도는 셀레늄의 급여로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고, 사료 내 같은 셀레늄수준에서 T3구보다는 T2구가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혈중 셀레늄농도는 셀레늄함유 청보리 급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였으나 (p<0.05), T3구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육성한우에 대한 셀레늄함유 청보리급여는 육성우의 당 및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혈중 총지질 및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무기셀레늄보다는 청보리 내 존재하는 셀레늄이 장관내에서 더 잘 흡수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육성기 및 어린 성장단계에 있는 거세한우의 면역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임신 중 수은을 섭취한 CD-1 마우스 태아의 성장발육과 기형발생에 미친 셀레늄의 효과 (The effects of selenium on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in CD-1 mice exposed with mercury for the gestation period)

  • 김진석;이상목;최석화;이원창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61-368
    • /
    • 1994
  • 기형발생을 나타내는 수은의 독성에 대하여는 이미 보고된 바 있으나 임신중에 폭로된 수은의 독작용을 완화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재들에 대하여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수은에 대한 셀레늄의 치료적인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이미 보고된바 있으나 태아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임신한 CD-1마우스에 20ppm 농도의 유기수은을 음수를 통하여 투여한후 동시에 sodium selenite(체중 kg당 0.1mg, 0.2mg, 0.3mg, 피하주사) 또는 BAL(체중 kg당 5.0mg, 피하주사)을 임신 6일째부터 15일 사이에 단독 또는 병용 투여한 후 임신 18일째에 제왕절개술을 실시하였다. 수은단독 투여군에서는 태아의 체중 및 두부-둔부의 길이 그리고 태반의 무게가 투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고 태아의 사망/재흡수 발생과 기형발생(특히 구개열)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셀레늄과 BAL의 단독 또는 병용투여는 수은에 의하여 발생된 태아에 대한 독작용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고 기형발생 역시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나 투여용량 그리고 투여계획과는 특이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모체의 수은중독 결과로 보이는 모체의 음수, 사료섭취량과 모체의 상대적 기관(간장, 신장, 비장) 무게의 감소도 셀레늄과 BAL의 투여로 증가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세레늄을 단독 또는 BAL과 같은 기존치료제와 함께 투여할 경우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이나 모체의 아급성 중독 증세를 감소시키거나 완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비타민E와 셀렌이 흰쥐의 혈청(血淸) 및 간장(肝臟)중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미치는 영향(影禦) (Effect of Vitamin E and Selenium on the Lipid Composition in Serum and Liver of Rats)

  • 김선영;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3-38
    • /
    • 1985
  • 지질(脂質)의 항산화제(抗酸化制)인 vitamin E와 selenium이 백서(白鼠)의 혈청(血淸) 및 간(肝)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고 이를 서로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vitamin E와 selenium이 결핍(缺乏)한 기본식이(基本食餌)에 dl-${\alpha}$-tocopheryl acetate 200 mg 과 sodium selenite 0.5 ppm 을 rkr(各) 군(群)에 따라 급여(給與)하고 6주간(週間) 사육(飼育)한 후(後) 백서(白鼠)의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 사료효율(飼料效率), 각종(各種) 장기(臟器) 중량(重量), 혈청(血淸) 및 간(肝)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측정(測定), 고안(考案)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았다. 1.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과 사료효율(飼料效率)은 vitamin E나 selenium을 공급(供給)한 군(群)이 결핍(缺乏)한 군(群)보다 높았고 함께 공급(供給)한 군(群)이 가장 높았다. 2. 각종(各種) 장기(臟器)의 중량(重量)에서 신장(腎臟), 심장(心臟), 폐장(肺臟)은 실험군간(實驗群間)에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고 간장(肝臟)의 중량(重量)은 vitamin E나 selenium을 공급(供給)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고 간장(肝臟)의 중량(重量)은 vitamin E의 공급(供給)에 의해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3. 혈청(血淸)중의 total lipid량(量)은 유의성(有意性)이 없으며 vitamin E의 공급(供給)에 의해 cholesterol량(量)은 감소(減少)하였고 triglyceride와 free fatty acid의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selenium의 공급(供給)은 아무런 변화(變化)가 없었다. 4. 간장(肝臟)중의 crude lipid, cholesterol,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e의 함량(含量)은 vitamin E나 selenium의 공급(供給)에 으ㅢ해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5. 간장(肝臟)중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과 oleic acid의 경우 유의성(有意性)이 없었고 oleic acid은 대체로 높은 비율(比率)이었으며 linoleic acid은 selenium공급(供給)에 의해, arachidonic acid은 vitamin E나 selenium의 공급(供給)에 의해 유의(有意)하게 감소(減少)하였다.

  • PDF

항산화제가 bleomycin에 의해서 유발되는 랫트 폐장병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ntioxidant on pulmonary lesions induced by bleomycin in rats)

  • 이준섭;김대중;윤여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7-37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oxidants (vitamin E, selenium, and coenzyme $Q_{10}$) on the bleomycin-induced pulmonary lesions in male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 groups ($T_1$, $T_2$, $T_3$, $T_4$) and 4 control groups ($C_1$, $C_1$, $C_3$, $C_4$). The treatment groups of rats weie given a single intratracheal dose of bleomycin (1.5 units/rat) and control groups of rats were given a single intratracheal dose of normal saline (0.15ml/rat). The rats in the $T_1$ group and $C_1$, group were dosed with normal saline (0.5ml/kg/day), the rats in the $T_2$ group and $C_2$ group were dosed with vitamin E (50mg/kg/day), the rats in the $T_3$ group and $C_3$ group were dosed with sodium selenite (3mg/kg/day) and the rats in the $T_4$ gronp and $C_4$ group were dosed with coenzyme $Q_{10}$ (2.5mg/kg/day) intraperitoneally for 7 days or 14 days, respectively. Animals were killed at 7th and 14th day after dosing with bleomycin or salin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Lung wet weight of treatment groups of ra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body weight gain of them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ntrol groups of rats (p<0.01). 2. The ratio(%) of lung wet weight to final body weight of treatment groups of ra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ntrol groups of rats (p<0.01). 3. The main histopathological findings of lungs observed in rats at 7th day after dosing with bleomycin were proliferation of the type II alveolar epithelial cells and fibroblasts, increased invading of macrophages into lesions, round cell infiltration and perivascular edema. 4. Lung fibrous tissues were markedly increased in rats observed at 14th day after dosing with bleomycin. 5. Pumonary lesions observed in rats dosed with bleomycin and antioxidants(vitamin E, selenium, coenzyme $Q_{10}$)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rats given bleomycin alone.

  • PDF

Selenium 과 Vitamin E 投與가 젖소의 後産停滯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ium and Vitamin E on Incidence of Retained Placenta in Holstein Dairy Cows)

  • 정기화;박상문;전재원;곽대오;박충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2
    • /
    • 1991
  • 젖소에 있어서 selenium과 vitamin E투여가 後産停滯 예방에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코자 忠南地域에서 飼育하고 있는 젖소를 대조구, Se 單獨區, vit.E單獨區, vit.E 3회구, Se와 vit.E 1회 倂用區 및 Se와 vit.E 3회 倂用區의 6개로 나누어 50mg의 selenium과700IU의 vit.E를 分晩豫定日 21일전에 주사하였으며 vit.E 3회구는 14일과 7일전에 추가로 주사하였다. 12시간 이내에 후산이 만출되지 않는 개체는 後産停滯로 판단하였으며, 後産停滯 發生率, 繁殖效率 및 産乳量을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後産停滯의 발생율에 있어서 Se이나 vit.E의 단독구와 vit.E 3회구는 예방효과가 없었으나 Se과 vit.E 1회 倂用區는 7.1%로 나타나 대조구 25.6%보다 유의적(P<0.05)인 예방효과를 나타내었다. 2. 次期 繁殖效率에 있어서 분만후 첫 수정시까지의 기간, 공태기간 및 수태당 수정회수는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차기 産乳量도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가 비육기 거세한우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과 조직 내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eniferous Whole Crop Barley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issue Selenium Deposi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황보순;조익환;김국원;최창원;이성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81-289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와 무기셀레늄을 급여 시 비육기 거세한우의 생산성, 혈액 성상, 도체특성 및 조직 내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거세비육우 20두를 공시하였고, 처리구는 셀레늄 수준에 따라 0.1 ppm Se(대조구), 0.3 ppm Se (T1), 0.9 ppm Se (T2) 및 무기셀레늄 0.9 ppm Se (T3) 급여구로 4처리를 나누어 처리구 구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9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사료는 셀레늄 강화 및 셀레늄 무처리 관행 청보리 사일리지를 조합하여 건물기준 30%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실험사료 내에 셀레늄 강화수준은 사료섭취량과 증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혈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농도는 대조구보다 T2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중 면역글로불린은 셀레늄함유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나 T2와 T3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중 셀레늄농도는 유기태 셀레늄을 0.9 ppm 급여한 T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도체율, 배최장근,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육색 및 지방색은 셀레늄급여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료 내 셀레늄 수준 및 형태는 육질 및 육량등급 간에 관련성이 형성되지 않았다. 신장, 간장 및 후지 내 셀레늄 함량은 사료 내 셀레늄 강화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무기셀레늄급여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조직 내 셀레늄함량 증가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 내 존재하는 셀레늄은 조직 내 셀레늄함량을 증가시키기에 유효한 셀레늄급원인 것으로 나타났고, 셀레늄 강화 청보리 최고수준(0.9 ppm Se)으로 급여하여 생산된 한우 후지육 100 g에 함유되어 있는 셀레늄은 성인기준 1일 최소 셀레늄 권장량($40{\mu}g$)의 약 69%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