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economy enterpris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초

충청남도 사회적경제의 발전과 제도적 동형화 (The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Isomorphism of Social Economy in Chungnam Province)

  • 이홍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2-69
    • /
    • 2019
  • 이 논문의 목적은 충청남도 사회적경제의 발전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제도적 동형화의 실제를 고찰하는 데 있다. 충청남도의 사회적경제 기업은 급격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공공주도의 정책 추진과 제도적 틀로 인해 제도적 동형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제도적 동형화란 조직이 제도적 환경에서 요구하는 규범이나 틀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모든 조직의 형태나 활동이 유사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동형화 현상은 사회적경제 기업의 사회적가치 지향성과 혁신성을 저해하고 있다. 이에 실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가치 지향성을 유지 강화시킬 수 있는 지역생태계가 구축되지 않을 경우 제도적 동형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었다. 사회적가치 창출은 제도를 충족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가치 지향성도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경제에 관한 경제지리학의 연구 주제 (Economic Geographical Research Agenda for Social Economy)

  • 주성재;노경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3-191
    • /
    • 2018
  • 이 연구는 사회적 경제에 관한 학술적 관심과 정책적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주목하여 사회적 경제를 공간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지리학의 연구 주제를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사회적 경제가 갖는 사회적 가치의 추구라는 지향성은 독특한 공간 특성을 나타낼 것이라 보았고, 이를 위해 사회혁신, 사회적 경제조직, 사회적 기업 등 관련 개념을 통해 공간적 의미를 갖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회적 경제의 공간적 맥락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발현되는 공간의 성격, 사회적 경제조직의 의사결정이 갖는 장소기반의 맥락, 사회적 문제 해결이라는 수요와 사회적 경제조직의 활동을 지원하는 공급의 특성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가는 공간의 특성에 주목할 것이 제안된다. 사회혁신클러스터에 대해서는 기존의 산업클러스터와 차별화되는 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지역사회와 갖는 밀착의 본질, 당위성, 요소에 대해서는 착근성 개념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사회적 경제의 '반사회적(antisocial)'인 것에 대한 시론 (The Theory on 'antisocial' of Social Economy)

  • 홍성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1-50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의 사회영역에서는 주류 경제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경제라는 개념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주목할 부분은 사회적 경제가 시민사회의 실천 영역이라는 본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일자리 창출이라는 가시적 성과를 얻는 수단으로 적극 지원육성하려는 의지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경제는 정부 주도로 육성되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 및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이라는 매우 한정된 정책목표 속에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경제 조직들의 정책적 위상이 높아지는 동시에 정부의 재원에 의존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사회적 경제가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와 공동체적 함의도 사라지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견지하면서 사회적 경제에 대한 담론을 재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사회적경제기업의 마케팅역량이 시장지향성을 통해 사회적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arketing capabilities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on social performance through market orientation)

  • 이은경;서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1-11
    • /
    • 2024
  •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기업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역량이 시장지향성을 통해 사회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회적경제기업들의 마케팅역량을 가격경쟁력능력, 유통경쟁력능력으로 분류하고, 시장지향성을 고객지향성, 부서간협력, 경쟁자지향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사회적경제기업들의 특성에 맞춰 성과검증은 사회적성과로 구성하였다. 총 216명의 사회적경제기업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마케팅역량은 시장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시장지향성은 사회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지향성은 마케팅역량에 있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경제기업의 마케팅역량 강화가 사회적성과 창출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사회적경제기업은 마케팅역량 강화를 통해 시장지향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활기업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Self-Support Enterprise)

  • 조준용;박송이;김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7-45
    • /
    • 2022
  • 본 연구의 목표는 사회적 경제의 모태로 알려진 자활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질적연구를 통해 도출하는 것이다. 총 네 차례에 걸친 FGI와 주제분석을 통해 본 연구가 범주화한 자활기업의 사회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기업은 시장지향성을 가진 기업이자 동시에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복지를 제공하는 '사회안전망'의 가치를 갖고 있었다. 또한, 자활기업이 추구하는 '공동체성'은, 자활기업과 그에 속한 참여자들이 비영리적 가치와 호혜성, 그리고 나눔의 가치를 실현하는 가치였다. 끝으로, 자활기업이 갖고 있는 존재론적, 통시적, 그리고 생태계적 '지속가능성'은 자활기업이 지속적으로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제공할 수 있는 근거가 되고 있었다. 이러한 발견들은 사회적 경제 생태계의 유지와 발전을 위한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 선행연구로서의 가치를 갖고 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사회적 경제 전반에 대한 통합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R&D 효율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Community Problem-solving Type R&D and Influencing Factors)

  • 민현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61-175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and influence factors according to the main research institute type of R&D Program for the local community problem-solving. This study applied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ethod and Tobit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20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R&D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institute type of R&D project, Efficient DMUs showed more regional innovation institutions than social economy enterprises. But regional innovation institutions were the lowest in the CCR and BCC model. However, efficiency dose not differ between regional innovation institutions and social economy enterprise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lation between efficiency and allocation characteristics of R&D input, the participation of regional innovation organizations as participating organizations has a negative effect on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government subsidies and the higher the employment rate of the vulnerable, which is a social achievement, the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articipation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as the main R&D institution and government R&D support can provide social economy enterprises with opportunities to accumulate R&D capabilities and experience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진성리더십과 그릿이 사회적기업 구성원의 행복과 직무재창조에 미치는 영향 - 충청북도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and Grit on the Happiness and Job Crafting of Social Enterprise Employee - Focused on Social Enterprise in Chungbuk -)

  • 하덕천;엄성준;리신호
    • 농촌계획
    • /
    • 제26권4호
    • /
    • pp.117-12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authentic leadership of social enterprise leaders on the happiness and job crafting of employees, the mediation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leader and the happiness of the employees, and the coordination effect by the Grit of the employees. For ver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job crafting, happiness and grit and seven research theories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47 questionnaires were drawn through prior research on happiness, authentic leadership, job crafting, and grit, and five executives and workers of social enterprises in Chungcheongbuk-do(Province) were survey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and AMOS for basic statistical analysis. The Macro Process of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regulated effects. This study has conduct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through the survey results and the analysis results verify the hypothesizes. The study found that authentic leadership affects the happiness and job crafting of employees, and that job crafting affects the happiness of employe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 and employees affects job crafting. It has also been shown that the Grit of its employees affects their job crafting and happiness and also has a mediation effect on job crafting and happiness. In the policy environment of the changing rural development project, the social economy establishment plan for the virtuous circle of resources in the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leaders.

일본과 우리나라 농촌 사회적 경제에 대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n the Rural Social Economy in Japan and Korea)

  • 김옥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405-4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일본과 우리나라의 농촌 지역의 사회적 경제에 관하여 사례연구를 하고, 농촌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일본("미래·꿈·쿤마")과 우리나라("나눔푸드")를 사회적 기업의 분석틀(사회적 목적, 경영의 자립성, 지역순환경제의 창출과 행정 역할)에 따라 사례연구한 결과, 주로 지역주민에 대한 사회적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는 사회적 기업이며, 농촌 지역순환경제를 창출하고,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이바지한다 라는 유사점이 나타났다. 차이점으로는 시민주도형 사회적 경제조직(NPO법인 "미래·꿈·쿤마")에 대한 부분적·한시적인 지원으로 그치는 일본 행정기관과는 다르게 우리 행정기관에서는 주도적으로 "나눔푸드"의 창립 이전부터 다양하게 지원해왔으며, 현재까지도 간접 지원해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례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 지역사회에 기반한 사회적 경제 공동체의 구축, 경영 자립성 향상을 위한 사회적 금융 지원의 강화, 농촌 사회적 기업의 역량 강화와 인너텟 쇼핑몰의 효율적 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공간경제 전환의 이론화 : 체제전환에 대한 조절이론적 접근 (Theorizing the Transformation of Space Economy: Regulationist Perspectives on the Post-Socialist System Transformation)

  • 김부헌;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44
    • /
    • 2008
  • 지금까지 조절이론은 주로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의 조절과정에 주목해 온 반면, 공간적 측면의 조절과정은 간과해 왔다. 특히 탈사회주의 체제전환 과정에 대한 조절이론적 접근은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논문은 탈사회주의 체제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경제의 전환을 조절이론의 관점에서 이론화하고자 한다. 공간경제는 경제체제에 따른 사회적 관계를 반영하고 이를 조건지우는 맥락으로서 사회적 재생산이 일어나는 배경이다. 따라서 국가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체제전환 과정이 일어나면, 이와 관련한 사회적 관계의 변동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구체적 수준의 기업 및 산업 네트워크의 변동이 초래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선 본 논문은 기업을 둘러싼 각종의 네트워크를 집합적 의미의'조절양식'으로 간주하는'기업 조절양식'개념 틀을 바탕으로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관련한 기업 내, 기업 간, 기업 외 관계의 구체적인 분석 내용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사회경제체계의 거버넌스와 관련한 제도 및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라서, 탈 착근적(단선적 성격의 체제이행), 착근적(연속적 성격의 체제전환), 과잉 착근적(과거 유산에 고착된 성격의 체제전환)인 공간경제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이론적 수준에서 설명하였다.

  • PDF

사회적경제 인터넷 쇼핑몰의 융합 특성이 고객 신뢰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Internet Shopping Malls on Customer Trust and Loyalty)

  • 김은정;유연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27-137
    • /
    • 2021
  • 한국의 사회적경제 육성정책은 관주도 정책이며, 이것은 얼마만큼 주민들에게 알려졌냐에 따라 성패가 좌우된다. 전남사회적경제 인터넷쇼핑몰도 관주도로 성립됐으나,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는 전국 최초 사회적경제 인터넷 쇼핑몰인 '전남사회적경제쇼핑몰'의 고객신뢰도와 충성도간의 영향을 알아보고, 대중적 홍보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사회적 경제 인터넷 쇼핑몰 회원 267개 표본을 활용하여 SPSS 22.0 프로그램으로 검증했다. 연구결과, 쇼핑몰 특성은 고객 신뢰도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신뢰도와 충성도간에 매개역할을 수행하였다. 거주지역, 구매목적은 쇼핑몰특성, 신뢰도, 충성도간에 조절효과를 가졌다. 전남 사회적경제 쇼핑몰만을 대상으로 했으므로, 타 쇼핑몰과의 비교연구가 부족하다는 연구한계가 있다. 향후 지역별 사회적경제 기업제품 연구와 관련하여 비교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