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orker

검색결과 705건 처리시간 0.035초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의 스트레스 경험 (Stress Experiences by Trainee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 심경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11-321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생이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수련스트레스를 수련생의 입장에서 기술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임상교육의 실천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정신보건수련기관에서 수련을 하고 있는 수련생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포커스그룹으로 1-2회 이루어졌으며, 소요시간은 2시간내외였다. 연구참여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의미있는 진술은 85개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연구자가 구성한 의미는 32개로 도출되었다. 이들 구성된 의미들을 유사한 내용으로 묶고 분류한 결과 9개의 주제가 형성되었으며 4개의 주제묶음으로 범주화되었다. 수련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경험으로는 '대인관계가 어렵다', '수련일정이 빡빡하다', '기관에서 수련생에 대한 배려가 없다', '수련교육에 대한 체계성이 없다'로 4개의 주제묶음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이 아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Job Crafting by a Community Children's Center Social Worker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 김요섭;김도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39-145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이 이용 아동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31개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는 생활복지사 31명과 이용 아동 216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아동 요인(level 1)과 생활복지사 요인(level 2)을 산정한 다층분석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만족도 전체 변량의 34.3%가 지역아동센터 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요인(level 1)에서는 하루 이용시간이, 생활복지사 요인(level 2)에서는 성별, 나이, 잡 크래프팅이 아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만족도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스마트워커의 역량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tence Model of Smart Worker)

  • 노규성;김귀곤;변종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5호
    • /
    • pp.215-22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워크 2.0 환경에 가장 필요한 스마트워커의 필요역량을 파악하고 가장 핵심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워커의 역량모델을 정의하는데 있다. 스마트워커의 핵심적 역량모델로 창의혁신역량, 소셜역량, 디지털역량은 매우 필요수적이며, 각각의 역량은 서로 유기적인 연결관계가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와 같은 스마트워커의 3가지 필요 역량을 강화하고 관련된 스마트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스마트워크를 정착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복지 교육과 사회복지 가치 및 옹호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work educations, values and advocacy)

  • 전선영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 /
    • pp.677-70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social workers' level of social work values, advocacy attitude and advocacy intervention, and to verify the relations among social work education, social work advocacy and social work values by examining whether social work education influences social work advocacy and social work values, and whether social work values affect social work advocacy. Further, this study wishes to confirm not only the direct effect that social work education has on social work advocacy, but also how social work education indirectly influences social work advocacy through social work values on the social level as a mediator. 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61 social work practitioners who have obtained either social worker licenses 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 licenses and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As survey tools, this study utilized social work advocacy attitude, social work advocacy intervention, outcomes of social work education, social work values,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 11.5 for one-way ANOVA and t-test, Pearson's correlation,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 of the testing mediation of Baron & Kenny (1986)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ocial work values on the social level intervene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social work advocacy.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confirm that social work values on the social level serve as a mediator variable.

  • PDF

정보기술 수용에 있어서 사용자 특성과 정보기술 특성에 따른 사회적 영향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ocial Influ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by Knowledge Work and IT Maturity)

  • 양희동;문윤지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5권2호
    • /
    • pp.97-120
    • /
    • 2005
  • As information systems are introduced in organizations, user attitudes toward IS are crucial factors for the success of such systems. Hence, understanding what affects user attitudes should be a major concern in M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ocial influence on IS adoption. Social influence construct is stretched to include four items: subject norm, image, visibility, and voluntariness. Also, this paper examines the roles of two moderators regarding social influence: user characteristics and IT maturity. We could find that 1) social influen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PU), perceived ease of use(PEU), and intention, 2) the social influence on PU is more noticeable for knowledge worker than for undergraduate student, and 3) social influence on knowledge worker's PU is stronger for emerging IT(e.g., wireless internet services) than for mature IT(e.g., spreadsheet software).

Relationship among Job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ocial Worke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Kang, J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3호
    • /
    • pp.57-63
    • /
    • 2012
  • Burnout is a sever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ndrome that occurs in response to prolonged stress at work. It brings enormous costs to both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ecause it negatively impacts employees' job attitudes and leads to undesirable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burnou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ocial work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re efforts by employees above and beyond what is expected. For the research, burnout was consisted of emotional exhaustion(EE), depersonalization(PA)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DP) by Maslach and Jackson's MBI. This study analyzed 342 social workers in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Social Workers had negative correlation to burnou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specially, EE, PA and DP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PA and DP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burnout strategies on the results.

FSM을 이용한 노인학대 발생요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의식구조 분석 (Analysis of Consciousness Structure of Social Workers for the Casual Factors of Elderly Abuse Using FSM)

  • 장윤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458-46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노인학대 발생요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의식구조에 관해 퍼지구조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최상층의 노인학대행위는 중간층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업무과중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간층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업무과중은 하층의 사회복지사의 성격,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 클라이언트의 성격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층의 사회복지사의 성격, 노인에 대한 지식, 클라이언트의 성격,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정신적 의존성은 중간층을 거치지 않고 최상층의 노인학대행위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업무과중과 노인에 대한 태도는 같은 중간층에 위치하지만 업무과중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의 연령, 직업이미지, 교육, 처벌규정은 독립층으로 존재하여 노인학대행위 및 관련요인 간에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소진, 사회적 지원과 지식창출, 공유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Social Support and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 조윤형;문명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1호
    • /
    • pp.21-43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social suppor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also, social support are mode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exhaustion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have negative effects on knowledge creation, but haven'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econd, social support significant positively impact on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third, both of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s support partial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knowledge creation, sharing. especially, emotional exhaustion reduce supervisor' support to knowledge creation, sharing and low personal accomplishment reduce co-worker' support to knowledge sharing, which means although job burnout preceded, if employees perceived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that have buffer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 PDF

사회복지 업무 종사자의 HIV/AIDS 감염인에 대한 신체적・사회적 거리감 (Social Worker's Physical・Social Distance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

  • 이영선;이인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77-188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eling of distance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for people living with HIV/AIDS(PLWHA) and to identify related factors. Methods: A total of 409 data were collected as convenience sampling from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demographic data, AIDS related knowledge, authoritarian personality, prejudice for minority(handicapped, women, foreigner, old aged), cultural competency.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significant variables from univariate analysis. Significant factors of physical distance were social prejudice against handicapped, knowledge about AIDS and critical awareness/knowledge about other culture. And significant factors of social distance were social prejudice against handicapped, knowledge about AIDS, authoritarian personality, critical awareness/knowledge about other culture. At last, we found that social prejudice against handicapped was the biggest factor for physical distance and authoritarian personality was the biggest factor for social distance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Conclusions: The area of social services for PLWHA have to be expanded. Physical and social distance of professionals to provide services to PLWHA and factors affecting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specific training programs is need to be developed.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이직의 맥락과 패턴 (The Context and Pattern of Turnover Social Workers Have Experienced)

  • 권지성;박애선;이미선;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195-220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이직의 맥락과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7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맥락-패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 연구결과는 사례별 맥락-패턴 분석과 전체 사례에 대한 통합 맥락-패턴 분석으로 구성되었다. 개별 사례에 대한 맥락-패턴 분석은 시간(이직 이전/이직 과정/이직 이후) 차원과 수준(경험된 현상/경험의 의미/현상과 의미들이 연결된 맥락) 차원을 교차하여 각 사례의 이직 이전 맥락과 이직 과정의 맥락, 이직 이후의 맥락을 분석하였으며, 전체 과정에서 나타난 패턴을 파악하여 유형화하였다. 또한 각 사례의 맥락과 패턴, 거기에 연결된 현상과 의미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맥락-패턴 구조를 구성하였다. 통합된 맥락-패턴 구조는 네 개의 영역들로 구성되었다. 즉, 첫째는 이직 전의 조직, 둘째는 이직 후의 조직, 셋째는 이직 당사자인 사회복지사, 넷째는 사회복지사의 관계망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이직과 관련하여 사회복지조직들이 고려해야 할 사회복지행정의 지침들을 구체적으로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