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Pressure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22초

고립파 작용하 직립호안 주변에서 지반의 동적응답에 관한 수치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Solitary Wave-Induced Dynamic Responses of Soil Foundation Around Vertical Revetment)

  • 이광호;육승민;김도삼;김태형;이윤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367-380
    • /
    • 2014
  • 지진해일파(tsunami)에 의한 피해로 소중한 인명손실뿐만 아니라 침수 범람에 의한 가옥과 같은 건물의 유실 및 방파제, 교량 및 항만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의 심각한 파괴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연안구조물에서 피해원인으로 먼저 큰 지진해일파력을 고려할 수 있지만, 더불어 기초지반에서 세굴과 액상화와 같은 지반파괴를 고려할 수 있다. 진동성분과 잔류성분으로 구성되는 과잉간극수압의 증가에 따른 유효응력의 감소로 해저지반내에 액상화의 가능성이 나타나고, 액상화가 발생되면 그의 진행에 따라 구조물의 침하 혹은 전도에 의해 종국적으로 구조물이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D-NIT(Two-Dimensional Numerical Irregular wave Tank)모델로 부터 고립파를 조파시켜 직립호안 및 해저지반상에서 시간변동의 동파압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지반의 동적응답과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정밀하게 재현할 수 있는 유한요소법에 기초한 탄 소성해저지반응답의 수치해석프로그램인 FLIP(Finite element analysis LIquefaction Program)모델에 입력치로 적용하여 해저지반 및 직립호안의 주변에서 과잉간극수압 및 유효응력의 시 공간변화, 지반변형, 구조물의 변위 및 지반액상화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직립호안의 안정성을 평가한다.

무엇이 아픈 노동자들을 출근하도록 만드는가? 직업환경과 프리젠티즘(presenteeism)에 대한 연구 (What Makes Sick Workers Go To Work? A Study of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Presenteeism)

  • 신희주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3호
    • /
    • pp.35-71
    • /
    • 2018
  • 본 논문은 몸이 아픈데도 불구하고 출근을 하는 행위를 뜻하는 프리젠티즘(presenteeism) 과 연관되어 있는 직업 환경적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리젠티즘은 학술연구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개념이지만, 노동자들의 미래의 직업적 전망과 삶의 질에 위협을 가하는 중요한 요인이자, 노동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된다. 이 연구를 위해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하는 근로환경조사 2014년 자료가 사용되었고, 분석에는 15세 이상의 임금근로자 24,571 명이 포함되었다. 프리젠티즘의 경험 여부에 대한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여 노동시간과 개인생활, 노동환경과 직장환경, 고용불안정, 보상과 복지 네 가지 측면에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1) 근무시간으로 인해 가족/사회생활의 어려움이 크다고 느낄수록, 2) 노동시간압박이 크고, 직장만족도가 낮을수록, 3) 직업불안정성이 클수록, 4) 복지 수준이 낮을수록 프리젠티즘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는 직장의 업무요구나 직업적 환경이 개인의 주관적 기대수준과 부조화가 나타나 개인적 자원의 손실이 예상될 경우,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출근을 하여 그 손실을 메우고자 한다는 본 논문의 이론적 논의와 일관된 결과라 볼 수 있다. 프리젠티즘은 노동자 개인의 삶의 질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도 발생시키는 관행인 만큼, 조직적인 측면에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ty Development between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s and Mental Health)

  • 윤가영;이준배;박선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4호
    • /
    • pp.529-553
    • /
    • 2022
  •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가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어느 측면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체성 발달, 웰빙, 우울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참여자의 웰빙과는 부적, 우울과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다음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정체성 발달의 부정적 측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한 참여자의 정체성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낮은 정신건강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매개변인으로 정체성 발달을 제시하며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부정적 측면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시 경쟁이 치열한 한국사회에서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개입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서두름 행동이 운전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steful Behavior on Aberrant Driving Behavior)

  • 김동우 ;박선진 ;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4호
    • /
    • pp.487-505
    • /
    • 2009
  • 본 연구는 서두름 행동의 확인생략행동 영역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선, 서두름 행동의 다양성을 확인하고, 서두름 행동의 확인생략행동 영역이 운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88명을 대상으로 서두름행동질문지, 운전일탈행동조사지(DBQ), 운전경험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결측치가 많은 자료를 제외한 3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서두름 행동은 시간압력, 불편함, 고립, 지루함, 보상기대라는 5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운전일탈행동은 위반, 오류, 착오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두름 행동의 구성성분은 2차 요인분석과 상관계수 차이 검증을 통해 확인생략행동 영역과 성취욕구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서두름 행동의 확인생략행동 영역은 운전일탈행동의 오류와 착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일탈행동의 위반에 대해 확인생략행동 영역의 고립 요인은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나 불편함 요인은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오류와 착오에 대해 확인생략행동 영역의 시간압력 요인은 부적인 영향력을 보이는데 비해, 고립 요인과 불편함 요인은 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장애인 라이프 로그의 분석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fe-log Analysis and Monitoring System for Disabled Person Using Smart Media)

  • 황명구;이상문;서정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99-106
    • /
    • 2012
  • 최근에 IT 기술을 이용한 장애인의 복지 증진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거리에 설치된 수많은 모바일 센서들을 활용하여 라이프 로그를 사용하는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획득한 자료를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라이프 로그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장애인이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위험에 노출되기 쉬우며 매번 보조자들이 함께 다녀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외출을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심리적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장애인의 라이프 로그를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셜데이터 및 ARIMA 분석을 활용한 소비자 관점의 헬스케어 기술수요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Demand Forecasting of Healthcare Technology from a Consumer Perspective : Using Social Data and ARIMA Model Approach)

  • 양동원;이준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9-61
    • /
    • 2020
  • Prior studies on technology predictions attempted to predict the emergence and spread of emerging technologies through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nd changes between data using objective data such as patents and research paper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predicted future technologies only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y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technical forecas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umer by using keyword search frequency of search portals such as NAVER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emerging technolog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healthcare technologies into three types : measurement technology, platform technology, and remote service technology. And for the keyword analysis on the healthcare, we converted the classification of technology perspective into the keyword classification of consumer perspective.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healthcare diagnosis, appointment and prescription, and remote diagnosis and prescription) Naver Trend is used to analyze keyword trends from a consumer perspective. We also used the ARIMA model as a technology prediction model. Analyzing the search frequency (Naver trend) over 44 months, the final ARIMA models that can predict three types of healthcare technology keyword trends were estimated as "ARIMA (1,2,1) (1,0,0)", "ARIMA (0,1,0) (1,0,0)", "ARIMA (1,1,0) (0,0,0)".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s predicted by the time series prediction model and the actual values for 44 months were moving in almost similar patterns in all intervals.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is time series prediction model for healthcare technology is very suitable.

워터젯을 이용한 노면표시 제거장비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Road Stripe Removing Equipment Using High Pressure Water-Jet)

  • 한재구;권순욱;김균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79-89
    • /
    • 2006
  • 종래의 깎기식 제거기에 의한 노면표시 제거작업은 인력에 의존하는 단순반복 작업으로 진행된다. 경제사회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수작업은 매우 불리한데, 장시간 교통통제로 인하여 교통체증을 야기 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통체증은 도로 이용자의 불편과 혼잡비용이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의 가능성도 가중시키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워터젯 기술을 이용한 노면표시 제거 장비를 개발하고, 개발장비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터젯을 이용한 노면표시 제거장비를 개발하여 현장실험한 결과, 기존방식과 비교하여 280.0%의 생산성 달성 비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편익/비용 비율을 분석한 결과, 편익/비용 비율이 1보다 큰 3.28이 산출되었다. 따라서 노면표시제거 자동화 장비를 도입하는 경우 추가 소요되는 비용보다 발생되는 편익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둘째, 개발장비로 기존 방식의 190일 작업물량을 작업할 경우, 장비 한대마다 연간 약 25.5억원의 교통혼잡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면표시제거 업체들이 본 연구의 개발장비를 도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사회적 편익은 막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ffects of Workplace Alcohol-related Environment on Drinking Behaviors among Female Employees)

  • 전현진;정슬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43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orkplace drinking environment on drinking behaviors among female employees and thereby attempt to lay a ground for future prevention of drinking problems triggered by workplace environment.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variables related to drinking behavior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female employees were explored. And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drinking behavior. Methods: The sample included 400 female and male employees in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explore workplace variables related to female drinking,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ariables and drinking behaviors (alcohol consumption, risky drinking, and binge drinking frequencie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function of drinking and drinking culture at workplace and the pressure to drink were derived from in-depth interviews. Second, 47.2% of female employees were current drinkers and 20.4% were risky drinkers. Third, drinking norms and attitude at workplace, influence of peer group, and drinking culture at workplace were found to be predictive factors of harmful drinking. Fourth, drinking expectancy and drinking norms and attitude at the workplace were found to influence drinking binge frequencies.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workplace environmental factors in female employee's drinking behavior, and addresses the need for interventions geared toward changing the workplace environment regarding alcohol use.

노인 영양개선 전략 연구 : 건강 관련 요인 및 영양위험지표 분석 (Strategies to Improve Nutrition in the Elderly : An Analysis of Health Related Factors and the Nutritional Risk Index of the Elderly)

  • 임경숙;민영희;이태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76-387
    • /
    • 1997
  • The elderly are the most rapidly growing segment of the population in Korea and the largest consumers of expensive medical care.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improving the nutritional status would be beneficial to reducing morbidity and to impro- v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health status and the Nutritional Risk Index of the elderly,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 at the Public Health Center. One hundred and forty seven(76 males. 71 females) aged 60 years and over living in Suwon, were assessed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ody fat analysis, blood pressure measurements, and a set of questionnaires about health and other related variables. Over half of them had less than a junior middle school education and were considered low income. The percentage of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was 33% by the BMI(Body Mass Index), an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28$\%$(males) and 31$\%$(females). They had a lot of self-recognized health problems, the male elderly complained about more than the female elderly. In the case of psychological health status, however, the female elderly showed a higher proportions of depression than the male elderly(p$\ll$0.05). In social health status, the elderly had goo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collegues, whereas they had poo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ies. They had many nutritional risk factors, and smoking was the most prevalent risk factor for the male elderly and anemia was for the femal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lderly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s should be planned that can be easily followed. It would be helpful to design a program focusing on individual ph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status, this w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 PDF

임부들을 대상으로 한 산전교육의 효과 (Effect of Antenatal Education on Pregnant Women)

  • 박춘화;이채언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4-5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of pregnant women relating to antepartum, delivery, puerperium period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d their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 The study subjects were 77 antepartum women who had antenatal educations and 106 antepartum women who did not have antenatal education. Number of total antepartum women were 183. Data were collected from women who visited for antenatal care at general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enters in Pusan and Kyungnam area using qestionnaires from Feb. 1. 1998 to Apr. 20. 1998. SAS/PC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 Chi-square tes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Duncan procedure) and M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Relating to the antepartum period between two groups, the knowledge about the number of antenatal care was low, relating to labor the knowledge about the time fix the fetal position and relating to postpartum, the knowledge about the change of blood pressure and body temperature was low. 2. The comparision means of knowledge were adjusted by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knowledg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mean score of knowledge about pregnancy, delivery and postpartum between two groups. In full marks 19, the mean scores of the educational group and non-educational group were 13.08 and 11.74 respectively (P=.000). In resultl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effectiveness of antenatal education group was very high and showed its importance. 3. The comparision means of educational need were adjusted by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educational need. The mean scores of educational ne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pregnancy, delivery and puerperium period. 4.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knowledge and educational level, duration of marriage and total numbers of pregnancy.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need and age, educational level, duration of marriage and total number of pregnancy. The above results showed the effects of antenatal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