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Opinion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41초

How Facebook Functions in a Social Movement: An Examination Using the Web Mining Approach

  • Cao, Wenny;Cheong, Angus;Li, Ziz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4호
    • /
    • pp.268-291
    • /
    • 2014
  • Social media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social movements. This study, adopting the web mining approach, attempts to investigate how social media, Facebook in particular, functioned in the "May 25 Protest" and the "May 27 Protest", two movements which broke out in Macao on 25 and 27 May 2014, respectively, against the Retirement Package Bill. In the two protests, Macao residents deployed Facebook to share information and motivated people's participation. Twelve events (181,106 people invited) and 36 groups/pages (41,266 members) related on Facebook were examined. Results showed that the information flow on Facebook fluctuated in accordance with the event development in reality. Multiple patterns of manifestation, such as video of adopted news or songs, designed profile (protest icon), original ironic pictures, self-organized clubs by undergraduates and white T-shirts as a symbol, among others, appeared online and interacted with offline ac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ocial media assisted the information diffusion and provided persuasive reasons for netizens to join the movement. Social media helped to expand movement influence in providing a platform for diversified performances for actions taken in a protest, which could express and develop core and consistent movement repertoire.

Perception of Inequality and Societal Health: Analysis on Social Trust and Social Mobility

  • Hwang, Sun-Jae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1-17
    • /
    • 2018
  • As societal interest in inequality increases in Korea, both public and academic discussion on inequality is also on the ris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discuss the problems of rising inequality, however,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of inequality. This study examines one of the consequences of inequality, particularly on individuals -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inequality and his/her evaluation of societal health, such as social trust and social mobility. According to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Korean Academic Multimode Open Survey for Social Sciences (KAMOS), those who perceive the level of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in Korea as more unequal tend to have a lower level of trust toward Korean society and Korean people, as well as a lower expectation for both intra- and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This study, which shows that rising inequality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at the individual level, not only extends the scope of the consequence-of-inequality studies from the society-oriented toward the individual-oriented, but it also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ield, suggesting a new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Social Support and COVID-19 Stress Among Immigrants in South Korea

  • Souhyun Jang;Paul Youngbin Kim;Min-Sun Kim;Hoyoun Koh;Kyungmin Baek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63-178
    • /
    • 2023
  • Individuals have been under more stress since the COVID-19 pandemic began than they were before the pandemic. While social support is a known stress buffer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ts impact on stress among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immigrants and those living in rural areas,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Accordingl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and COVID-19 stress among young adult immigrants based on where they live (rural vs. urban). We conducted a survey of 300 young adult immigrants aged 25-34 year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dependent variable was COVID-19 stres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appraisal, instrumental, and informational. We discovered that young adult immigrants in rural areas perceived higher-level social supportin all aspects compared with those in urban areas. Furthermore, social support was not related to COVID-19 stress in urban areas, while appraisal support was positively and informational support was negatively related to COVID-19 stress in rural areas. Our findings suggest that a contextualized understanding of social support is critical to understanding COVID-related stres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농어촌 독거노인의 공동주거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 농어촌 독거노인을 위한 친환경 공동주거의 모형개발 연구(1) -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trends about co-housing of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 A study on the Model of Co-Housing for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in the rural and fishing village (I) -)

  • 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07-114
    • /
    • 2011
  • According to the aging society, the housing environments of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are faced with social various problems. On the dwelling welfare, development of model for the silver house is necessary at the reducing of social expense. Particularly, the silver housing conditions of rural and fishing villages are poor than urban reg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looked to an negative opinion about cohabitation of the aged, but the senior citizens who don't live alone and preliminary old man group showed a positive opinion to the regarding cohabitation. Second, Most of the aged was in poor health, On this account they expressed an opinion that they were opposite to the cohabitation opinion. Although considering health, simultaneous design of both private life and community life shall be reflected to the preferential design element in co-housing of the aged. Through these co-housing for the aged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the senior citizens who lives alone have prevented poor housing surroundings, loneliness, loss of role, uneasiness, gloomy, chronic disease.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Opinion Research in Japan

  • Kubota, Yuich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42-60
    • /
    • 2013
  • This article introduces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opinion research in Japan by reviewing the development of polling organization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surveys. In Japan, the polling infrastructure developed through the direction and encouragement of the U.S. occupation authorities. In the early 1969s, however, survey researchers began to conduct their own original polls in not only domestic but also cross-national contexts. An exploration of recent survey trends reveals that polling organizations tended to conduct more surveys during summer, in the mid-range of sample size (1,000-2,999), based on random sampling (response rates of 40-50%), and through the mail between April 2011 and March 2012. The media was the most active polling sector.

사회여론에 대한 법관의 인식: 법관 대상 FGI에 대한 근거이론 분석과 토픽 모델링 비교 (Judges'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Comparing Grounded Theory and Topic Modeling in Analyzing Focused Group Interview with Judges)

  • 강태경
    • 한국심리학회지:법
    • /
    • 제13권1호
    • /
    • pp.23-5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현직 법관 24명을 대상으로 법관들이 재판과 관련하여 사회여론을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와 사회여론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에 대한 초점 집단 면접(FGI)을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과 구조적 토픽 모델링(STM)을 수행하였다. 근거이론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상규, 사회통념, 법감정, 국민정서를 여론과 개념적으로 구분하였고, 여론을 특정한 법적 쟁점이나 사건에 대한 일시적이고 감정적인 반응과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의견으로 구분하여 이해하였다. 그리고 사건의 종류나 법적 쟁점에 따라 여론이나 사회통념에 대해 다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 모델링 결과는 근거이론적 분석 결과와 상당한 유사성을 보였고, 특정 토픽의 발현 가능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담당 사건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소셜 미디어(SNS) 데이터 증강을 활용한 효과적인 여론조사 예측 모델 분석 (Analyzing Effective Poll Prediction Model Using Social Media (SNS) Data Augmentation)

  • 황선익;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800-1808
    • /
    • 2022
  • 선거기간이 되면 많은 여론조사 기관에서 후보자별 지지율을 조사하여 배포한다. 과거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의존하여 지지율을 조사할 수밖에 없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SNS나 커뮤니티를 통해 국민 여론이 표출된다. 따라서 인터넷상에 표출된 국민 여론을 자연어 분석을 통해서 파악하면 여론조사 결과만큼 정확한 후보자 지지율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 데이터를 통해 유저들의 정치 관련 언급을 종합하여 선거기간 후보자의 지지율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게시글에서 지지율을 분석하기 위해 KoBert, KcBert, KoELECTRA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여론조사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모델 생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사회 이슈 찬반 분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ocial issue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text mining)

  • 강선아;김유신;최상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5호
    • /
    • pp.1167-1173
    • /
    • 2015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SNS, 블로그, 게시판 등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표출할 수 있는 장소의 다양성을 제공하였고 이는 빅데이터 성장을 가능케 하였다. 특히 매순간마다 엄청난 수의 사용자가 이용가능하고 다양한 이슈에 대한 의견을 작성할 수 있는 SNS의 특징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트위터 등에 사회적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드러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에서 작성되는 사회 이슈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여 사회이슈를 주제로 하는 감성사전을 구축하고 구축된 감성사전을 통해 감성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사용된 데이터는 '비키니', '나꼼수'를 포함하는 트윗 글이다. 사회이슈에 특화된 주제지향 감성사전을 구축하고 구축된 감성사전을 통해 긍부정 의견을 분석한 결과 Precision은 61%로 나타났으며 F1-score는 74%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정치적 색을 띄고 있는 특정 사회 이슈에 대한 트윗 작성자의 의견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사전 구축의 하나의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 기대한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단문 오피니언 문서의 효율적 검색 기법 (Efficient Retrieval of Short Opinion Documents Using Learning to Rank)

  • 장재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17-126
    • /
    • 2013
  • 최근 들어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가 대중화되면서, 오피니언 마이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오피니언 마이닝 연구는 대부분 감성분류나 특징선택 방법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오피니언 문서의 검색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문으로 구성된 오피니언 문서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들을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기존의 감성분류 방법을 활용함과 동시에 문서의 질적 평가를 위해 여러 가지 특징들을 적용한다. 검색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 랭킹 기법을 활용하며, 감성 분류 모델을 기계학습 랭킹 모델에 통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오피니언 검색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넷의 양방향.공개 커뮤니케이션 장을 창출한 적극적 발신행위자의 속성에 관한 연구: 오피니언 리더의 속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Information and Opinion Giver in the Interactive-Public Communication Space of Internet: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Opinion Leader)

  • 김관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1권
    • /
    • pp.51-84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의 양방향 공개 커뮤니케이션 장에서 정보와 의견을 적극적으로 발신하는 이용자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오피니언 리더의 속성으로 알려진 주제에 대한 관여도, 개인화성향, 사회적 활동성, 정보원과 영향원, 인구 통계학적 특성 측면에서 적극적 발신자와 소극적 발신자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인터넷 카페의 게시판을 통해 모집한 응답자에게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75명으로부터 회신을 받았다. 분석결과는 정보와 의견을 적극적으로 발신하는 정도는 오피니언 리더의 특성과 관련성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먼저, 적극적 발신집단은 주제에 대한 관여도와 개인화 성향이 소극적 발신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적극적 발신집단은 사회적 활동성에서도 소극적 발신 집단보다 높은 적극성을 나타냈다. 셋째, 적극적 발신집단은 대인채널을 통해 정보와 의견을 더 많이 발신하고, 더 많이 수신하였으며, 전문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는 잡지를 이용하는 정도도 높았다. 그러나 성별을 제외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