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Networking Analysis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31초

사회적 농업의 사회적 경제 특성에 관한 연구 - 사회혁신 가능성의 탐색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in Social Farming - Searching for social innovation possibilities -)

  • 유리나;황수철
    • 농촌계획
    • /
    • 제25권4호
    • /
    • pp.151-159
    • /
    • 2019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in social farming practices, and to explore three core factors of experiment, openness and locality, whic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working-mechanism of social innovation. Though a few social farming practice appear nowadays in Korea, it can be witnessed social economic factors such as cooperation between networks and solidarity actors, pursuing social values in social farming. On the basis of the conceptual framework on the social economy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s case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ies as a social innovation of the social farming. Three farms perform multiple functions of care, labour integration, training in farming area, and sometimes make collaboration work with artists and local residents. Social farming can be social innovation practices in the view of the interaction of experiments, openness and locality within the context of an innovation process, networking, enhancing social capital.

Impact of Social Networks in Educational Media

  • Al-Said, Khaleel M.;Al Said, Nidal;Hattab, Ezz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4호
    • /
    • pp.230-23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student participation on Twitter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The key goals of the training course were to acquire social networking knowledge and skills and to learn how to share information, be productive in discussions, and create an interest-based community. The initial sample comprised 286 students from Jordan universities, 68.4% of whom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Undergraduate students accounted for 73.9%, and graduate students accounted for 26.1%. Only 14.3% of the students chose the Twitter-based learning model. This is a mixed-methods study that integrat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found to tweet more and have more likes, while graduate students had more followers and were following more accounts. Moreover, 21% of the participants were the most active.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connec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social media and student performan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educational professionals and education managers.

전자상거래에서 단골관계 형성을 위한 SNS의 기능 분석 및 활용 (Analysis of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functions applicable to electronic commerce for building regular relationship with customers)

  • 김미수;우원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31-138
    • /
    • 2015
  • 구매자와의 관계지속을 위한 관계 확산형 비즈니스 모델의 가장 큰 특징은 한번이라도 물품을 구매한 고객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의 팔로우(Follow)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단골고객으로 등록하여, 구매자와 생산자와의 관계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향후에도 지속될 수 있게 하여 잠재고객이 되고, 장기적으로 재구매가 이루어지게 한다. 단골이 된 고객에게 생산자는 신상품 출하 시 객관적인 물품정보 외에 재배하는 동안의 농장 모습이나 농작물의 성장과정 등 생생한 근황과, 파종에서 수확까지의 숨겨진 이야기를 통해 자신이 농사지으며 전원생활을 하는듯한 감성을 자극한다. 또한, 생산자는 저장법이나 요리법 등의 다양한 사용법을 안내하며 새로운 물품을 추천하거나 홍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기존의 전자상거래에서 상품의 판매와 홍보가 분리되어 링크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어야 하는 문제에서 벗어나 판매와 홍보가 하나의 계정 안에서 수행하도록 하여 사이트 접근성을 높여준다. 또한 구매자간에도 상품을 추천하고 소식을 확산하게 하여 구매자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구매경험을 공유하고, 추천, 구매후기 작성 및 기존 구매후기를 재배포하여 서로 알지 못하던 구매자 사이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Factors affecting millennials' intentions to use social commerce in fashion shopping

  • Bounkhong, Tiffany;Cho, Eunjoo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6호
    • /
    • pp.928-942
    • /
    • 2017
  • Social media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consumers' daily lives. Individuals connect with one another on social networking sites to like, share, and post information and experiences. As social media become popular among millennials, a growing number of fashion retailers use social media networks in the context of online commerce transactions. Accordingly, an increased number of fashion retailers has been using social media as an advertising tool and a retail channel. Despite the popularity of social media among millennials, empirical findings are limited to reveal factors associated with young consumers' intentions to use social commerce in fashion shopping.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millennials' intentions to use social commerce in fashion shopping by adop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 total of 524 college studen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in the U.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ed that perceived ease of use, usefulness, and enjoy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millennials' attitudes and intentions toward fashion shopping in social commerce. While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positively influenced enjoyment, usefulness had a stronger impact than ease of use. Compared to usefulness, enjoyment had much stronger impact on attitudes. Further structural model analysis reveale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of social commerce on perceived enjoyment of social commerce, which has not been explored in prior studies. Thes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대학생의 사회자본이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Occupational Aspi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 안관수;황재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37-247
    • /
    • 2017
  • 이 연구는 콜맨(Coleman)의 사회자본을 근거로 대학생의 사회자본(부모-자녀관계, 인적 네트워크, SNS 활용)이 진로포부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자본의 하위변인 부모의 직업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은 진로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다중회귀 모형으로 확인한 결과 사회자본인 부모와 자녀의 관계, 사회활동을 통해 얻은 인적네트워크, 사회관계망 서비스의 활용 및 정보의 도움 정도는 직업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사회계층 이동에 대학생의 사회자본의 소유 및 획득 과정이 중요한 성취지향가치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미지와 해시태그를 이용한 인스타그램의 감정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 Analysis of Instagram Using Images and Hashtags)

  • 정다혜;김장원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23-131
    • /
    • 2019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들은 게시글을 통해 사회적 이슈 및 관심 콘텐츠들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공유한다. 그 결과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개인 및 특정 집단의 감정 공유는 빠르게 확산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의 게시글에 대한 감정 분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감정이 포함된 게시글에 대한 감정 분석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시태그와 이미지를 이용한 인스타그램 게시글의 대표 감정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게시글에 포함된 다종의 리소스를 활용하여 다중의 감정으로부터 대표 감정을 추출할 수 있으며 66.4%의 정확도와 81.7%의 재현율로 기존 방법보다 감정 분류 성능 향상을 보인다.

The Contribution of Social Media Value to Company's Financial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from Indonesia

  • MIQDAD, Muhammad;OKTAVIANI, Siska Aprili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305-315
    • /
    • 2021
  •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ontribution of social media value to a company's financial performance in a digital environment economy since the awareness of companies and investors in the use of social media opens up new mechanisms for disseminating information. Quantitative method is used in this study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s the analysis tool. The data used is secondary data gathered from Indonesia Stock Exchange (IDX) using 308 companies as samples. In the multivariate test, four kinds of multivariate significance tests were carried out, namely Pillai Trace, Wilk Lambda, Hotelling's Trace, and Roy's Largest Root. It was found that social media value has a small contribution in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profitability and the value of the company in Indonesia, but it doesn't have a contribution to the difference of the level of liquidity. The contribution was an implication of online Word of Mouth (WOM) motives which are interrelated with signal theory and as additional information for investors in relation to single-person decision theory.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management considering that the world of digital economy will continue to develop, so companies in Indonesia need to take advantage of these opportunitie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만족도를 위한 연구 -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의 기능적 요소를 중심으로 - (Research for the satisfac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 Functional elements of Instagram and Facebook -)

  • 최슬아;홍미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423-442
    • /
    • 2015
  • 스마트폰과 태블릿 PC까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콘텐츠 환경 속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우리 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다른 사람과의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개인적인 영역보다는 다른 사람과 함께 공유하는 영역이 많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다양성과 경쟁의 흐름은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여 트렌드를 예상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만족도를 파악하여 더 나은 서비스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NS의 확대, 다양성 등의 변화가 있는 시점에서 앱스토어에 상위 링크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두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의 정보구조 설계자인 진스미스(GENE SMITH)가 제시한 소셜 소프트웨어의 7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이론적 기초로 설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기능적 요소를 분석하고 설문을 통한 장단점을 도출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동시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신원, 그룹에 대한 만족도는 평등하게 나타났다. 또한 인스타그램은, 존재, 평판에 대해, 페이스북은 공유, 관계에 대해 각각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페이스북은 공유의 기능에서 사용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나, 보기 싫은 광고 컨텐츠의 공유라는 기능에서 불편함이 나타났다. 이는 광고를 게재하지 않는 인스타그램과 비교 했을 때 향후 페이스북이 사용자 유지를 위해 보완해야 할 점이다. 또한, 인스타그램은 해시태그의 편리성으로 존재의 기능에서 사용도가 페이스북보다 월등히 높은데 비해 전체적인 만족도는 페이스북이 높다. 인스타그램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페이스북의 가장 큰 장점인 소통, 공유의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An Analysis on Online Social Network Security

  • Rathore, Shailendra;Singh, Saurabh;Moon, Seo Yeon;Park, Jong Hyuk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96-198
    • /
    • 2016
  •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MySpace, Facebook, Twitter are becoming very preeminent, and the quantities of their users are escalating very quickly. Due to the significant escalation of security vulnerabilities in social networks, user's confidentiality, authenticity, and privacy have been affected too. In this paper, a short study of online social network attacks is presented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impact of the attacks on World Wide Web (WWW).

소셜 서비스를 위한 시공간 모델링 방안 (Time and Space Modeling Method for Social Services)

  • 이승희;박영호;박화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71-578
    • /
    • 2010
  • 최근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수많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확산되고 보급되는 가운데, 위치와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장소와 시간, 이벤트에 대한 조합적인 질의를 해결하는 것이 주요한 문제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 서비스를 위한 시공간 모델링 방안으로 장소와 시간, 이벤트, 사용자의 소셜 액티비티를 통해 Human Activity Graph 모델링 방안과 Quad Relation Factors를 제안하고, 이를 위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위한 하부 구조를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