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cial Movement

검색결과 763건 처리시간 0.03초

액티비즘 아카이브로서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 (A Sample Paper for Activism Archives)

  • 이윤희;이영학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49
    • /
    • 2017
  • 최근 동물권 운동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사회운동 중 하나로서 인정받기 시작하였으며, 우리 사회의 새로운 사회적 정치적 관점을 형성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액티비즘 아카이브의 관점에서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를 탐구한다. 동물권 운동 아카이브에 적용할 수 있는 공동체 아카이브의 원리를 네 가지로 정리하여, 아카이브의 유형에 따라 그 원리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검토하였다. 그 유형들 중 액티비즘 아카이브를 선택하여, 동물권 아카이브가 갖는 사회적 의미와 쟁점을 검토하였다. (사)동물보호시민단체카라의 사례에서 액티비즘 아카이브의 쟁점을 살펴보았다.

1980년대 영화의 정당화 과정으로서의 기회구조 분석 -민중 문화 운동과 영화시장 개방을 중심으로- (Opportunity Structure Analysis as Cultural Legitimation of Film World after the 1980s -the case of Popular Culture Movement & the Opening of Film Industry-)

  • 김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25-136
    • /
    • 2013
  • 이 논문은 1980년대 이후 한국에서 영화의 사회적 위상이 올라가는 과정을 사회학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영화의 위상 변화는 사회에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는 정당화 과정으로 인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동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운동 이론에서 다루는 기회구조 개념을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기회구조는 동원집단(=영화계) 외부에 존재하는 변수를 의미하며, 본론에서 기회와 위협요인으로 제시된다. 영화의 정당화 과정에 기회로 작용한 요소는 80년대 민중문화운동을 통한 영화 신진 인력의 투입이다. 반면, 위협요소는 미국 영화계의 산업적인 침투와 이에 대한 영화시장의 개방이다. 각각의 요소는 영화계 외부의 변수로 작용하였고, 영화의 정당화 과정에 있어 보완재와 경쟁재로 작용하였다. 1980년대 이후 민중문화 운동은 영화를 의미 있는 문화적 산물로 정당화 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미국 영화계의 위협은 한국 영화계 내부의 합리성과 경쟁구도를 역동적으로 변화시켰다.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Archival Activism : Focusing on the Documentation Case of Occupy Wall Street Movement)

  • 이현정
    • 기록학연구
    • /
    • 제42호
    • /
    • pp.213-243
    • /
    • 2014
  • 최근 기록학계에는 배제된 소수의 기록화와 사회정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공동체, 일상, 정치사회적 운동, 인권 등에 대한 다양한 기록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학 실천주의는 근래 들어 새로이 형성되었다기보다 이미 1960년대 후반부터 학문적 사회적 영향에 따라 변모되어왔다. 최근의 기록학 실천주의는 디지털 환경과 맞물려 기관, 지역을 넘어서 전세계적, 주류/비주류를 아우르는 모양새로 다방면에서 진행중이다.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4.16참사는 우리나라 기록공동체에게도 여러 과제를 안겨주었다. 증거, 치유의 기록에 대한 성찰적 접근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 글은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사례를 통해 동시대 기록화에 대한 과제에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록학 실천주의의 개념, 그 기원과 의미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활동 사례를 통해 기록학 실천주의를 수행하는 기록전문직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생협과 생산자 조직간의 연계 활성화 방안 (The Promotive Schemes of Linkage Between Consumer Cooperatives and Farmer' Organization)

  • 김대희;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6권1호
    • /
    • pp.75-9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promotive schemes of linkage between consumer cooperatives and farmers' organization as an active mean of consumer cooperative movement. The consumer cooperative movement has a role of sovli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social problems in Korea. According to the questioners and interview involed with consumer, farmers and specialists of consumer cooperative movemen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resulted. 1. The effective linkage form is the linkage programs controled by leaders of the consumer cooperatives and the farmers' orranization. That's the foundation for effective linkage between the two organization. 2. Enacting the consumer cooperative act and supporting from government and social groups are needed for the linkage form and activating of consumer cooperative movement. 3. The education and the public relation(P.R.) about the perspectives of consumer cooperative movement are needed. 4. The various exchange activities between consumer and farmers are programed and cried out.

  • PDF

사회적 디자인(Social Design)의 등장 배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Social Design Appearance)

  • 강현대;홍선기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5-434
    • /
    • 2012
  • The concept of humanity is considered as the common issue of various areas in the $21^{st}$ century. The diverse issues such as social design, social enterprise, and ethical consumption, etc., actually involves in the humanity. The unique aspect is that they focus on the disadvantaged group and want to do something for their severe situation in spite of the economic recession all the world faced. This paper shows how the social design appeared as a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design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tries to prove that the social design is not a new trend but the subtle movement that begun from $19^{th}$ century.

  • PDF

근대 사회사업의 성립과 발달사적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Work and historical division during the Korean Modern Times)

  • 홍금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0권
    • /
    • pp.226-269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social work and divide it historically during the Korean Modern Times. At first, I investigated this period's "societal" situation (political, economical, social situ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work and made a historical division. And I wrote down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social services concretely and I interpreted this period's historical meaning.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although a modern social work movement had come about naturally i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nearly destroyed by the Japanese aggression. However, it could have expanded consistently and come to maturity because of a national self-awakening and peoples' vigorous participation after the 3 1 national movement. But unfortunately, as the social work come to be exploit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 powers, it lost its purity its essential purpose and was changed. After World War II, no one was mad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ose historical facts, and under the name of Social Welfare many ordinary citizens became scapegoats, and passed silently over to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occupation which was another time of transition in the Korean peninsula. There have been few studies undertaken concerning social welfar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se studies will help to indicate what influence the Japanese had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welfare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I anticipate many studies on this subject will follow.

  • PDF

Reconceptualizing Online Free Spaces: A Case Study of the Sunflower Movement

  • Au, Anson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5권2호
    • /
    • pp.145-161
    • /
    • 2016
  • Using the Sunflower movement as a case study, this article seeks to articulate a theoretical framework to evaluate online "free spaces" as tools for political mobilization. To this end, this article conducts a thematic and content analysis of 151 posts on the official Facebook page of the Sunflower movement. Key results uncover four thematic functions among posts - expressive, informative, informative-support, and promotional - that overlap, in which the expressive theme prevails, and two thematic topics discussed by posts - damages by protesters and their ideology of freedom. I conclude that: (1) combining the logistic and thematic dimensions of posts enables a specific understanding of an online free space's political viability and anticipates the campaigns it will connect itself to; (2) the networked nature of the Sunflower movement page prompts the reconceptualization of (i) online free spaces as nodes through which various political campaigns and struggles are thematically connected by a political ideology; (ii) inactivity as a strategy where protest capital and followers accumulate to prepare and empower future mobilizations.

Hizb Ut-Tahrir's Adaptation Strategies against the State Repression in Indonesia: A Social Movement Perspective

  • Aswar, Hasbi
    • 수완나부미
    • /
    • 제14권2호
    • /
    • pp.233-249
    • /
    • 2022
  • Hizb ut-Tahrir (HT) is an Islamic social movement that struggles to change the existing political system to the Islamic system. HT argues that all problems in the Muslim world are rooted in adopting secular thought and ideology and the separation between Islam and the state. Hence, HT works to persuade Muslims to abandon that way of life and only apply Islam as the country's only ideology and constitution. HT has spread this narrative since it started in 1953 in Jordan. With this ideological and political attitude, many countries consider HT a threat to their political and community life, suppressing this movement by arresting members and banning the group to reduce or end HT activities in these countries. The Indonesian government has also carried out this repressive policy to limit the influence of Indonesian HTI since 2017.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trategy of Hizb ut-Tahrir to continue its political activities Indonesia after being dissolved by the Indonesian government in 2017. This article used content analysis method to interpret the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 and documents from Hizb ut-Tahrir. Responding to state repression, HTI sought other methods of action by changing the place of resistance or activities, and by changing its identity.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The Discursive Topography in Maker Culture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aker Movement')

  • 최혁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2권
    • /
    • pp.73-103
    • /
    • 2017
  •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단행본, 정책 보고서, 기사 및 칼럼 등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관점에서 살펴보며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과 사회적 실천을 분석한다. 정부 주도의 메이커 운동은 제작 문화를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창조 경제'의 원동력으로 의미화하고, 디지털 제조업의 창업을 정책적으로 진흥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정부 주도의 경제주의적 메이커 운동을 비판하면서, 기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디지털 사회 혁신'으로 메이커 운동을 제도화한다. 문화 예술계에서는 메이커를 장인 노동이나 손노동과 같은 '창조적 장인'으로 간주한다. 또한 지배적인 기술 구조에 대한 대항으로서 '비판적 제작 활동'을 구축하고자 하는 저항의 움직임도 있다. 하지만 지배적 담론이 현실적인 차원에 미치는 권력 효과와, 대항적 담론 투쟁으로 인한 지배 구조의 균열을 섣불리 확신할 수 없다. 현재 진행 중인 메이커 운동은 지배적인 권력 구조와 접합되어 제작 문화를 사회적 경제적 가치로 이끌어 내고자 하는 담론 전략과, 이에 대한 문화적 기술 정치적 가능성을 중시하는 대안적인, 혹은 대항적인 의미화 실천이 경합하는 갈등과 투쟁의 장이다.

  • PDF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SNS: Save Jeju Island (SJI) 운동 사례 (Understanding the Roles and Limitations of SNS for Network Social Movements: A Case Study of "Save Jeju Island" Movement in South Korea)

  • 채영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9-102
    • /
    • 2014
  • 2010년 '아랍의 봄' 시기 연쇄적으로 발생한 북아프리카 전역의 민주화운동은 SNS가 사회운동을 조직화하는 데 있어서의 가능성과 역할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촉발시켰다. 실제 모바일과 SNS 기술은 첫째, 온/오프 운동을 활성화 시키고, 둘째, 새로운 형태의 운동 양식을 만들면서 셋째, 집단 정체성의 권능화 (Empowerment)를 촉진하고, 넷째 지구적 차원의 사회적 정의를 실천하려는 운동을 조직화 하는데 효과적인 미디어 플랫폼을 제공한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이러한 가상공간에서의 사회운동 조직은 지속성과 헌신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한계로 인해 조직적인 변화를 유발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군다나 온라인 사회운동은 디지털 기술을 보유하거나 이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하는 사람들간의 간극을 더욱 심화시킬 뿐이며 이로 인해 사회 전반적 운동을 조직화하는데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디지털 사회운동에 대한 상반된 논의와 이론들을 바탕으로 SNS에 기반한 사회운동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제주도 살리기 (Save the Jeju Island: 이하 SJI)' 운동을 사례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SJI라는 영문 Facebook 계정을 통해 제주도라는 지역적 운동을 지구적 차원으로 확대하여 글로벌한 연대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SNS가 사회운동을 지역을 넘어 지구적 차원으로 확산하는 데 있어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기에 적절한 사례를 제공해 준다. 또한 SJI 사례는 모바일과 인터넷 보급과 이용 환경에서 세계적으로 앞서 있는 한국이라는 지역에서 조직된 운동이라는 점에서도 뉴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운동에 대한 논의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이 연구는 SJI 운동이 가장 활발하던 2012년 1월에서 7월까지 7개월 동안 SJI 영문 페이스북의 내용분석을 통해 SJI 운동의 SNS에서 소통되는 메세지와 이용자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