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8초

IPA 기법을 활용한 공학계열 여대생의 기업가정신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Entrepreneurship Perception and Needs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Female Engineering Students Using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김세영;윤성혜;임지영;장지은;강민정;박현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6호
    • /
    • pp.43-51
    • /
    • 2017
  • As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to create new values and innovate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s emerging, education for entrepreneurial is emerging in univers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o derive the priority of education based on actual indicators of importance-performance. For this study, we surveyed 227 female college students in E Woman's University by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for entrepreneurship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ans of importance of all factors and sub-factors of entrepreneurship were higher than the means of performance of them,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PA matrix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needed urgent improvement in self-confidence, future-orientation, active/innovative activities, and pro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field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practical basic information of curriculum design leading to the manifestation of entrepreneurship of women in engineering field by analyzing entrepreneurship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and deriving priority factors of educational treatment.

가족관여와 창업방식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국가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Family Involvement and The Entry Mode into Entrepreneurship: The Contingent Role of National Culture)

  • 이상윤;알빈 사하임;존 쿨런;삭디폰 쥬아스리쿨
    •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 /
    • 제20권2호
    • /
    • pp.17-34
    • /
    • 2017
  • 본 연구는 가족의 창업이력이 개인의 창업방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살펴보고 있고, 두 변수 사이의 관계는 국가의 문화속성들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창업방식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신생회사 설립과 관련된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이런 관점은 기존 회사를 인수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기업가가 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한편 창업과 관련된 교육 및 정부의 정책도 신생 회사의 설립에 대해서만 강조하고 있는 형편이다. 하지만, 저출산 고령화시대에 기존 기업들이 기업 승계시장에 매물로 많이 나올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인수를 통한 창업방식에 대한 연구도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관여와 기존 회사를 인수함으로서 기업가가 되는 관계가, 국가문화의 주요 속성들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EU의 Flash Eurobarometer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33개국 3,83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계층적 선형 모델링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모 중 창업경험이 있을 경우 이미 존재하고 있는 기업의 인수를 통해 창업자가 되는 방식을 선호하였으며, 이 관계는 개인주의성향이 높은 나라일수록, 미래지향성이 낮을수록, 그리고 권력격차가 작은 문화일수록 강해졌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경우 기업승계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을 문화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 권력격차가 커서 기존 기업들이 승계시장에 매물로 내놓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으며, 예비창업자들이 미래지향성이 강해서 다른 기업의 승계보다는 자신의 신생기업 설립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집단주의 문화는 신생기업의 설립만이 창업이라는 고정관념을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국가의 창업지원제도 및 여러 기관들의 창업과 관련된 교육과정 수립에 있어서 문화의 속성을 고려한 균형 잡힌 시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가 창업방식과 관련된 새롭고 다양한 연구관점을 제공해주고, 저출산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창업지원제도 및 창업교육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길 희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