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iscourse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8초

인공지능 윤리 인식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연구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이루다'를 중심으로- (A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AI Ethics -Focusing on the interactive AI service 'Lee Luda'-)

  • 이수련;최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69-275
    • /
    • 2022
  •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인공지능에서도 윤리적 토대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정부와 기업에서는 인공지능 윤리와 관련된 정책, 규범 등을 마련하고 있다. 합리적인 정책, 규범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대중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과 윤리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소셜데이터와 뉴스 댓글을 수집하고 관심도 분석, 감성 분석, 담론 분석 수행 후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관심도와 '인공지능" 호감도는 반비례하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담론분석 결과로, 가장 큰 이슈가 "개인정보 유출"이었고 학습 데이터의 오염 및 편향 문제와 컴퓨터로 만들어진 인공지능에게 법인격을 부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담론도 보여주었다. 본 연구가 인공지능 윤리 규범, 정책을 마련할 때 대중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일여성동인지 『봉선화』 연구 II -재일여성 계층에 나타난 소외담론 분석을 중심으로(2001~2013)- (A Research regarding 'Bong Seon Hwa' II; Coterie magazine of Korean Women living in japa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minority discourse in the class of women in Japan-)

  • 최순애
    • 한일민족문제연구
    • /
    • 제32호
    • /
    • pp.215-275
    • /
    • 2017
  • In the absence of the alternative public space of women in Japan, the experience of the "Bongseonhwa" was interpreted as the public domain of Japanese society as a public domain, a confession that focused on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patriarchal system of Japan, Most of the enemy discourse is. These alienated discourses are the product of the efforts of women in Japan who do not want to forget about the traces and memories that can not be incorporated into the big narrative. It can not be denied that the women in the society of Japan have been excessively excluded and alienated by national ideology and patriarchal ideology. The meaning of presenting them through "Bongsinghwa" is the resistance of the minority, and it is the expression way of reconstructing and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women, and it is said to be a space of symbolic meaning. It is further clarified that it is based on a narrative that creates a new life area for coexistence with Japanese society, on the other hand, by constantly searching for the linkage with the motherland, held by women in Japan. As a result, between public social phenomena and private living space, confirmed that it conflicts with repetitive internal contradiction of controlling power and confirmed that complicated and detailed material of women living in Japan who undergo double discrimination What has been expressed over a period is considered to be a resistance expression and a will of expression of reconciliation to coexist with Japanese society. I have attempted to analyze the confessed alienated discourse of "Bongsinghwa" by classifying it as .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public social phenomenon and the private life space are confronted with the repetitive internal contradictions of the power of domina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complex and detailed material of the discriminated women in Japan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a resistance to symbiosis with Japanese society And the will of the conversation.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담론분석의 응용 (Discourse Analysi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69-288
    • /
    • 2001
  • 문헌정보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문헌정보학 연구가 사회과학의 전반적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다른 사회과학분야의 다양한 방법론적 실험에 대하여, 우리 분야에서는 여전히 실증주의적 연구경향이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 글은 문헌정보학 연구가 우리사회에서 문헌정보학적 설명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여러 가지 키워들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여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그 한 예로 최근에 우리 분야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담론분석의 응용가능성과 유용성을 논증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 분야에 있어서 연구의 성격을 결정지은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담론분석의 간략한 전개양상과 담론분석의 일반적인 원칙들을 살펴본 후, 문헌정보학에 있어서 이러한 관점의 적용가능성을 가늠한다

  • PDF

주체, 구조, 담론, 그리고 수학 학습 (Subject, Structure, Discourse, and the Learning of Mathematics)

  • 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459-475
    • /
    • 2012
  • 인식의 주체와 대상만을 고려하는 인식론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역할에 대해 만족할 만한 설명을 주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식의 주체를 가능하게 하는 언어적, 사회적 조건을 논의하는 구조주의와 기호학적 인식론의 철학적 기초를, 주체, 구조, 담론이라는 세 가지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한다. 기호의 의미란 인식의 대상으로부터 비롯되거나 주체가 스스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호들의 망 속에서 기호들 사이의 관계에 의한 의미작용으로부터 주어지는 것이다. 그 구조는 주체 이전에 존재하는 것이며, 오히려 그러한 구조적 질서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주체는 형성된다. 수학 학습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관점은 주체에 의한 지식의 구성 이외의 다른 많은 논점들을 생각하게 하는 출발점이 된다.

  • PDF

언론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명박 정권 이후 대학 정책에 대한 주요 신문의 보도를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f Media Discourses on 'University Reform' Focused on Major Newspapers' Reports on University Policies of Administrations from 2008 to 2015)

  • 이오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2권
    • /
    • pp.29-72
    • /
    • 2017
  • 이 연구는 언론이 정권들에 의해 주도된 '대학 개혁' 정책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보도하였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명박 정권 이후 8년 동안의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의 사설과 사내 칼럼을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다양한 담론 전략들을 활용하여 '대학 위기'를 기정사실화하고 국가 위기로까지 확대 해석하여 대학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매우 중대하고 시급히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라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둘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대학 위기를 불러일으킨 주범으로 기존 대학 체계를 지목하고 이를 개혁하기 위해 신자유주의 대학 체계를 도입해야한다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셋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는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과 이에 대한 자신들의 보도가 이념적이기보다는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그리고 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구현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상식화하고 자연화하는 담론을 생산하였다. 넷째,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에 대한 대항 담론을 생산하였으나 양적 질적 한계를 지녔다. 이러한 언론의 불균형한 담론 지형과 아울러 이 시기에 신자유주의에 압도적으로 편향된 사회와 언론계의 구조를 고려할 때, 한국 사회에서 대학 개혁을 둘러싼 헤게모니 담론 투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신자유주의 대학 개혁 담론이 독주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 동안 시장과 기업의 논리는 대학 운영의 모든 부분에서 지배적 작동원리로서 확고히 자리 잡았다.

  • PDF

Adolescent Perceptions of Social Media in a Pacific Rim Community

  • Holmes, Robyn M.;Liden, Sharon;Shin, Lisa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3권2호
    • /
    • pp.81-103
    • /
    • 2013
  • This study explored social media use among 50 adolescents attending a public high school in a non-Western community. Adolescent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mpleted a written self-report survey. Findings revealed that these teenagers use electronic communication forms such as phone texting and social networking sites to connect with friends and family. They show a preference for Facebook, YouTube, and Instagram, do not engage in risky Internet behavior, and acknowledg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electronic communication forms. In addition, their selection of electronic communication forms is dependent upon several factors that include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and type of discourse exchange. For example, they reserve phone texting and cell use, which are more private communication mediums for family and friends. Electronic communication did not replace face-to-face interactions; rather it complemented and extended those interactions. Findings support existing literature on adolescent social media use and those shared with other collectivist cultural groups.

社會科에서 地城學習 內容構成의 寶際에 관한 脚究 -連山地方을 사례로 한 내용구성의 scope와 sequence - (A Study on the Content Development of Regional Learning in Social Studies)

  • 全 情 漢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7-190
    • /
    • 2002
  • 이 논문은 사회과교육에 있어 지역학습을 위한 내용구성의 실제를 검토한 것이다. 지역학습의 이상을 실현해나가기 위해서는 이론적 측면. 제도적 측면, 그리고 실천과정이 요구된다고 할 때, 현 시점에서 가장 요구되면서도 연구가 미약한 부분이 실천과정에 관한 부분에 있다고 보았다. 지역학습 내용선정의 준거는 해당 지역에 적합하도록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해야함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의 사례의 경우에는 '역사지리적 경관'과 '지역관련 담론'을 준거로서 거론하였다. 그 다음, 사례 지역에 관한 학문적 연구성과에 바탕하여 그 공간적 누층성을 '삶의 공간' [생태적 공간], '사회적 공간', '권력공간'으로 간주한 후, 지역학습을 위한 실제 내용구성의 스코프(scope)와 시퀀스(sequence)를 구성하여 보았다. 이러한 스코프와 시퀀스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이트(site)$\longrightarrow$상징경관$\longrightarrow$영역성'이라는 하위 개념들을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전개할 수 있었고, 이들에 상응하면서 공간적 스케일은 'local$\longrightarrow$inter-local$\longrightarrow$regional'로 확대하였다.

Political Discourse Among Key Twitter Users: The Case Of Sejong City In South Korea

  • Hsu, Chien-leng;Park, Se Jung;Park, Han Woo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2권1호
    • /
    • pp.65-79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communication patterns of key Twitter users by considering the socially and politically controversial Sejong City issue in South Korea. The network and message data were drawn from twtkr.com. Social network-based indicators and visualization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political discourse among key Twitter users over time and illustrate various types of Tweets by these users an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se key user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general Twitter users' participation in the discussion on the issue. The results indicate that some Twitter profiles of media outlets tend to be very dominant in terms of their message output, whereas their Tweets are not likely to be circulated by other users. Noteworthy is that Twitter profiles of individuals who are geographically affiliated with the issue are likely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low of communication.

Class Struggles in Sons and Lovers

  • Kim, Tag-Jung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2호
    • /
    • pp.39-54
    • /
    • 2003
  • This paper looks into the ideological discourse embedded in D. H. Lawrence's Sons and Lovers. Sons and Lovers is an autobiographical novel which necessarily carries the author's own experiences. For this reason, it reflects the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upon which the narrative is displayed. Sons and Lovers is full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te-nineteenth- and early-twentieth-century England. This essay closely reads the class struggles of the time in Sons and Lovers. In most of Lawrence's novels, the class struggles appear in the form of the marriage of two people from different classes. In Sons and Lovers, the hegemonic conflicts between Walter Morel and Gertrude Morel clearly show the class struggles of the time. Also, this paper disentangles the complicated stories of William and Paul and shows the general tragedy of English young men of the time. In the end, it will show that Sons and Lovers is a fully loaded ideological discourse.

  • PDF

가상공간에서의 권력형성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An Case-Study on the Constructing Process of Power in Cyberspace)

  • 이오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3권
    • /
    • pp.79-112
    • /
    • 2003
  • 본 논문은 가상공간에서 권력이 어떻게 형성되고 작동되는지 그리고 권력의 형성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보고 또 보고> 시청자 게시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게시판은 참여자들이 다양한 담론들을 제기하고 끊임없이 상호 경쟁하는 공간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 속에서 특정의 담론을 생산하는 참여자들이 양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면서 타 담론들을 배제하(려 하)고 이에 대해 타 담론들을 생산하는 참여자들은 저항도 했지만 지배적 담론의 계속되는 공격 속에 게시판에 참여를 꺼리는 경향을 보였다. 게시판의 후반부로 갈수록 이러한 경향들이 더욱 강화되었고 지배적인 담론을 포함한 편지들이 게시판에서 점점 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였다. <보고 또 보고> 시청자 게시판에서 지배적인 담론은 유교적 가부장적 담론이었는데, 이는 물리적 사회공간에서의 참여자들의 경험과 지배문화, 드라마의 저자성, 그리고 게시판의 팬덤적 성격 등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