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isaster

검색결과 688건 처리시간 0.027초

Estimation of the National Burden of Disease and Vulnerable Population Associated with Natural Disasters in Korea: Heavy Precipitation and Typhoon

  • Han, Hyun-Jin;Kim, Jong-Hun;Chung, Soo-Eun;Park, Jae-Hyun;Cheong, Hae-Kwan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9호
    • /
    • pp.314.1-314.15
    • /
    • 2018
  • Background: Despite its growing significance, studies on the burden of disease associated with natural disaster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health were few. This study aimed at estimating the national burden of disease associated with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in Korea. Methods: During the period of 2002-2012, 11 typhoons and five torrential rains were selected. Mortality and morbidities were defined as accentual death, injury and injury-related infection, and mental health. Their incidences were estimated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ase-crossover design was used to define the disaster-related excess mortality and morbidity.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DALYs) were directly assessed from excess mortality and morbidity. Results: The burden of disease from typhoons increased with the intensity, with 107.7, 30.6, and 36.6 DALYs per 100,000 per event for strong, moderate, and weak typhoons, respectively. Burden of disease from torrential rains were 56.9, 52.8, and 26.4 DALYs per 100,000 per event for strong, moderate, and weak episodes, respectively. Mental disorders contributed more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than did injuries in most cases, but the injury-induced YLDs associated with strong typhoon and torrential rain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er-intensity. The elderly was the most vulnerable to most types of disaster and storm intensities, and males younger than 65 years were more vulnerable to a strong torrential rain event. Conclusion: The intensity of torrential rain or typhoon was the strongest determinant of the burden of disease from natural disasters in Korea. Population vulnerable may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and strength of the disasters.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관한 학술연구의 비판적 검토와 다양한 관점의 이해 (Critical Reviews of Academic Research and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 김지원;방예원;박문영;조경이;최예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40-35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develo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disaster from diverse perspectives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relevant academic research papers published so far in the fields of both natural and social science. The authors reviewed pertinent articles in the six academic areas of law, social science, humanities, medicine,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issue of humidifier disinfectant is a challenging task because diverse aspects of it have become related over the more than two decades since such products were first released to the market in 1994. Technical and esoteric issues such as the complex system for relief and compensation for health damages and the approval of chemical toxicity are known to be major impediments to viewing the bigger picture regarding this tragedy. The authors believe that experts need to consider a comprehensive perspective going beyond their individual research arena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issue, especially since it was an alarm signal on ethics and the role of experts and scholars in Korean society. Besides the two professors arrested by the prosecutor's office,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medical doctors recommended patients use humidifiers and disinfectants, and the media was inactive in reporting on this issue. Furthermore, the current paucity of examination of the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tragedy calls for more active engagement by researche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a work of self-examination and self-criticism by the authors that could resonate with the overall academic community.

성인기이전의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이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부적응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in pre-adulthood on adulthood depression: Mediator effect of interpersonal maladjustment)

  • 정주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99-10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pression in adulthood caused by the influence of negative life events (disaster accident, physical violence and emotional abuse) in pre-adulthood and explore the mediator effect of interpersonal maladjustment. To carry out such task, 974 people who have had negative life event experiences before the age of 18 were chosen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and Stata 10.0 was used to do th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life events in pre-adulthood and depression in adulthood. Specifically, experiences from an accident or disaster had a direct impact on depression. Moreover, experiences of physical violence and emotional abuse not only had a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but also through maladjustment, it had an indirectly partial mediator effect that increases the chances of depression. Through this result, it was evident that negative life events from pre-adulthood had a negative effect on continuous interpersonal maladjustment as well as psychological welfare throughout the adulthood. Therefore, there needs to be thorough prevention measures on negative life events in pre-adulthood and strongly take post treatment into consideration. Through building a safe life environment, great deal of social support from social organizations should be prepared systematically.

의용소방대원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만족이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sast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Continuity of Volunteering in Volunteer Fire-fighters)

  • Lim, Seyoung;Lee, Hyeonji;Choi, Miyoung;Hwang, Jeonghyeon;Kim, Munui;Moon, Taeyou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91-20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용소방대원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이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시 군에 거주하고 의용소방대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의용소방대원 남녀 16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유의수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용소방대원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 만족, 자원봉사활동 지속성 간의 상관관계는 재난대책과 만족 및 참여정도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재난훈련, 재난준비, 지역재난, 지속시간, 지속의지 등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둘째, 의용소방대원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재난대책을 부분적으로 알고 있다고 가장 많이 답했으며, 재난훈련 교육경험 및 중증도 분류에 질문에 대체적으로 있었음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재난 시 비상연락체계 및 비상근무시간표에 대한 질문에 대체적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적 재난발생에 대한 질문에 대체적으로 보통이 가장 높았다. 셋째, 의용소방대들의 만족도가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중 경험욕구, 사회접촉, 사회인정이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의지에는 사회접촉, 성취욕구, 지속정도에는 경험욕구 및 성취욕구만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재난관리 시스템과 민간 방재IT기술의 지능정보기술 적용 사례고찰을 통한 상호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connection betwee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Private Disaster Prevention IT Technology through Application)

  • 김재표;김승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5-22
    • /
    • 2020
  • 재난예방단계와 사회재난분야의 관리강화를 위해 지능정보기술(ICBMA, IoT, Cloud, Big Data, Mobile, AI) 활용하여 상호 연계한 To-Be 재난관리시스템 제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민간Moble, IoT등에서 생성되는 재난발생 전후시기에 재난징후의 Big Data와 분석 결과로 초지능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현재 재난관리 시스템을 고도화할 수가 있다. 재난징후의 Big Data를 AI의 지도, 비지도 강화훈련 학습으로 사용자에게 적시에 맞춤식 제공이 가능하고 장기적으로 재난대처 능력이 향상될 뿐 만 아니라 예방단계 중심의 관리 능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재해현장에서의 응급의료체계에 대한 분석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method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s in Disaster Areas)

  • 최근명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5-80
    • /
    • 2003
  • Various disasters have been continuously occurred in Korea from 1990s to now. However, there is no substantial improvement against damages as compared with the past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lack of fundamental recognition, ineffective response systems and widespread insensitivity to safety. More worse, new types of disasters have been frequently generated due to rapid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and industrial development, unusual changes in weather and changes of international situations. These disasters request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In particular, while material damages by disasters can be recovered, the losses of precious lives cannot be recuperated in any ways. Thus, it is critical to set effective disaster medical plans. The first way to minimize damages by disasters is the prevention and the next is to set the disaster medical plans focusing on preliminarily activating the emergency medical system to rapidly rescue and take appropriate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casualties in the early stage when any disaster occurs. Nevertheless, no sufficient researches or references do not exist up to now. Even worse, effective emergency medical systems that play critical roles in increasing survival rates of casualties in actual disaster areas is not deployed. For the United States, the consistent countermeasure system is established in FEMA through a close cooperative system with relevant organizations for serious accidents including terrorists' attacks or natural disasters. For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disasters, the disaster medical plan is set to cope with any disasters in perfect order by special area as operating the National Disaster Medical SystemESF#8 Role by FEMA. Accordingly, we need to set the extensive and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rapid and flexible operation against various kinds of serious accidents. This study identified overall problems in disaster control plans in Korea and suggested how to improve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in disaster areas. Furthermore, it aims to prepare the basic data to set the effective emergency medical service plans when substantial casualties break out and more reasonable and systematic disaster control plans to cope with the future occurrence of serious disasters.

  • PDF

국내 재난 주관방송사의 재난보도 프레임 분석 : 지카 바이러스 보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Disaster News Frame of Host Broadcaster for Disaster Broadcasting Services : Focusing on Zika Virus News)

  • 최믿음;정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609-619
    • /
    • 2018
  • 국내 방송사업자는 재난 상황에서 국민을 보호하고 국민이 재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관련 재난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고 제공할 의무를 지닌다. 특히 한국공영방송 KBS는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40조의2에 의하여 '재난방송 등의 주관방송사'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방송사보다도 빠르고 정확하게 재난방송을 송출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재난주관방송사가 지카바이러스와 관련된 사회적 재난 보도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 재난 대응에 도움이 되는 프레임을 시의적절하게 활용하였는지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이 발생한 사실을 단순히 알리는 역할을 하는 '사실 전달 프레임'의 비중이 가장 많았다. 반면 지카 바이러스의 원인 및 예방법을 소개하거나 지카 바이러스 감염 시 목격되는 증상과 진단 및 검사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사, 즉 '정보성 프레임'을 활용한 기사와 대책 마련에 대한 '책임 프레임'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재난 보도의 효율성과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재해예방 중심의 자연형 하천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se-to-Nature River Management for the Disaster Prevention)

  • 서정표;조원철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9-27
    • /
    • 2013
  • 21세기 녹색성장 시대의 도래와 함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점차 안정화되면서 사람들은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완전한 해방을 기대함과 동시에 생활 터전의 일부로써 친수공간에서 생태적 교류를 갈망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하천관리 정책의 포커스도 기존의 단순한 수해방지를 탈피한 재해예방과 함께 자연의 환경적 생태적 관점을 고려한 종합적인 하천관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반영하여 하천이 재해예방과 함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정비 관리될 수 있는 해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유역종합치수계획에 의한 치수정책, 국가주도의 하천관리, 돌발홍수 대처능력 강화, 그리고 자연형 하천정비의 확대 등의 추진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본다.

사회적 재난에 투입된 군 병력들의 고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철도파견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sure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of military personnel in social disasters - Focusing on the case of a railway dispatch -)

  • 윤보연;남궁승필;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7-41
    • /
    • 2019
  • 본 연구는 국가재난 사태에서의 군의 역할이 포괄적 안보의 일환으로 그 중요성이 새삼 떠오르고 있고, 특히 포괄적 안보 측면에서 군의 역할 증대 방안으로 국가재난 유형별 지원 중 사회적 재난에 따른 여러 지원 요소가 있었으나,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미흡한 부분이 사실이다. 또한, 국가재난 사태 관련 군 지원 사례 중 가장 오랜기간 임무 수행 했던 2016년 한국철도공사 철도노조 파업 기간(72일)을 사례로 수도권 전동철(1 3 4호선) 대체기관사로 투입되었던 군 병력(상 원사급 부사관)에 대한 관찰과 면담 등을 통하여 임무 수행 간 애로사항 등 여러 제반 사항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차후 지원 임무 시 효과적인 임무 수행을 통한 국가위기 해소 및 대군 신뢰도 향상에 대한 기대가 그 목적이다.

공공도서관의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매뉴얼 및 임무 분석 (Analysis of Manuals and Missions for Responding to Disasters in the Public Library)

  • 배경재;정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31-249
    • /
    • 2021
  • 2020년 1월 국내에서 코로나 19가 확진된 이후 국내 공공도서관의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실제적인 매뉴얼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공공시설로서 도서관은 코로나 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사회적 기관이다. 따라서 합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재난 대응 매뉴얼을 개발하여 도서관 현장에서 재난 상황 대응에 대한 근거로 삼을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공공도서관 매뉴얼의 현황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요 재난을 경험한 해외 도서관의 대응 임무를 분석하여 현재 국내 상황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재난대응에 대한 사회적 기관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의 확장 가능성을 제고하여야 하며, 재난에 대한 지역사회 경험을 아카이브로 구현할 필요가 있다는 점, 도서관의 언택트 시스템과 오픈형 스페이스를 강화하여야 점이 제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