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hange Relationship

검색결과 535건 처리시간 0.033초

빈곤원인 인식, 정부신뢰, 복지의식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Poverty Cause, Trust in Government, and Welfare Perception :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 이진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71-280
    • /
    • 202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빈곤원인 인식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빈곤원인 인식과 복지의식간의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부가조사를 최종 완료한 만 20세 이상 가구원 2,0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설명력(R2)의 변화량을 확인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원인 인식의 하위요인 중 개인책임론은 복지의식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인 반면, 사회구조책임론과 운명론은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정부신뢰는 복지의식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는 일부 검증되었다. 즉, 빈곤원인 인식의 하위 요인 중 개인책임론과 복지의식 간, 그리고 사회구조책임론과 복지인식 간의 영향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결과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의식 향상을 위해 빈곤원인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정부신뢰 등 사회적 자본의 강화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점 및 의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인인식 및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ale elderly's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n their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attitude toward the old age life -Examination of mediation effects of family function and peer relations-)

  • 남석인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297-1315
    • /
    • 2008
  • 은퇴 후 사회적 지위와 가족 내 역할에 변화를 겪는 남성노인은 차별경험으로 인해 부정적 노인인식과 노년기 태도를 갖게 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인인식과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찾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서울지역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남성노인 215명이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은 노인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인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성노인의 차별경험이 노년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근본적으로 노인차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과 가족기능과 동년배관계의 강화는 긍정적인 노인인식과 노년기 태도를 갖게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차별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접근,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가족상담 프로그램 및 대안가족 제시, 동년배관계 강화를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노인활동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사회환경 교육과정의 표준화 모형 및 통합 프로그램의 평가 (Evaluation of the Standardized Curriculum Module and Integrated Program for Social-Environmental Education)

  • 이숙임;강명희;남상준;박석순;성효현;최돈형;허명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2호
    • /
    • pp.76-94
    • /
    • 2001
  • Promoting positive values, attitudes, participation and personal actions on the basis of the acquisition of one's knowledge and skills is emphasized on teaching environmental education. To complete this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necessary not only to use various and practical educational resources, but also to develop information system, with multimedia and internet, which are effective for learning. This research attempts to assess the consistency of planning,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integrated program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for the necessities mentioned above. We surveyed about the accuracy of contents, usefulness, convenience and easiness of Integrated program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Also, we used a questionnaire to clarify the values and attitudes of respondents after they took environmental education. Then, technically,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Finally, we conduct an examination of the distribution of chi-square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experience of using computer and one's concern about environmental issues. The results of this program, developed by research team, can be assessed by following five basic elements: usefulness, practicality, appropriation,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More than 90% of respondents said that this program is convenient and easy to loam. Also, more than 85% of whole respondents identified that after teaming this program they recognized more clearly what the main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In addition, we got positive response from 93% of respondents that they could understand environmental problems. On the other hand, values and attitudes of respondents have not improved a lot afte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mpared with the remarkable change in their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issues; only 34%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changed their life style for making better environment after teaming this program. But it is clear that they understand much better about the environmental policy after they are educated. Developed by using information system, this integrated program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may get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a respondent's experience of using computer. Therefore, the more a respondent got a chance to use compute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more he/she gave positive evaluation on the convenience and easiness of this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e of using computer and one's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issues. Futhermore, a person who has constant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against th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integrated program for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characterized by integrated, specialized and efficient educational system, can also be used as a curriculum or teach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for adults; especially, it would be appropriate for teaching learners at all levels, who have different personal characteristics, to let them acquire virtual education by using information system.

  • PDF

GKMC하 지식공유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Knowledge Sharing at GKMC)

  • 송충근
    • 정보화정책
    • /
    • 제21권3호
    • /
    • pp.85-1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GKMC(정부지식행정시스템)가 그 이용자들이 필요한 지식을 공유하는 데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가 함의하고 있는 정책적 의미들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CMC품질수준, 공동체일체감, 구조적 사회자본, 관계적 사회자본, 인지적 사회자본 등 총 5개의 지식공유영향요인을 선정하고 분석모형구축, 가설설정, 회귀분석실시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위의 5개요인 모두가 GKMC를 통한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공통체일체감이며, CMC품질수준, 사회자본 순이었다. 해당조직의 관리자들은 성공적인 지식공유를 위해 공동체적인 유대감을 형성시키고 사용자들이 GKMC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불만을 제거함은 물론이고 발생 가능한 불만들을 예측,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사회자본들 간의 관계변화추이를 면밀히 살피면서 자유롭고 행복한 조직분위기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이타주의적 가치관과 자기중심적 가치관이 사회적 책임의식과 윤리적 패션제품에 대한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sumers' Altruistic and Egocentric Values on Social Responsibility and Willingness-to-pay a Price Premium for Ethical Fashion Products)

  • 최영현;안가영;김은혜;이규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70-583
    • /
    • 2020
  • The fashion industry is accountable for labor and environment-related issues. With such issues raised,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and labor issue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that shapes the perception of compan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values, concerns regarding social issues, and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for ethical fashion products. This study included two exogenous variables of altruistic value and egocentric value. In the conceptual model,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was conceptualized as two construct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labor-issue consciousness. It was then analyzed as mediating variables.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for ethical fashion products was the endogenous variabl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with PLS-SEM from 600 consumers. The assessment of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using CFA were conducted before analyzing th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revealed that altruistic value directly influence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labor-issue consciousness. However, egocentric value was direct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labor-issue consciousness. Both environmental and labor issue consciousness directly influenced customers'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but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their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Two-stage serial media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truc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exogenous variables (altruistic value and egocentric value) and the endogenous variable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for ethical fashion products. This study found the influence of consumer's personal values on their willingness to pay a higher price for ethical fashion products.

20세기 서구 남성 수염 스타일의 상징적 가치 (The Symbolistic Values of Western Beards' Style in the Twentieth Century)

  • 장미숙;이화순;이연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3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ymbolistic values of western beards' style in the twentieth century. Namely, it i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cultural factors and aesthetic meanings of western beards' style. The contents are, firstly, studying the conception and the types of beard. A beard is the hair that grows on a person's chin, cheeks, neck, and the area above the upper lip. At the World Beard & Moustache Championships, there are moustache category (natural, english, hungarian, dali, fu manchu, freestyle), beard category (natural, musketeer, goatee, sideburns, freestyle), and full beard category (natural, garibaldi, verdi, van dyck, freestyle), Secondly, this paper is continued by researching the history of beard from the ancient to the present day, and thirdly, analyzing political dictatorship, social resistance and expression of personality, religious dignity, related with the change of world situation, the formation of postmodern anti-culture and pop-culture, and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culture. There are long and bushy full beards in some religions like Hinduism, Judaism and Islam. The meanings of their beards are purity, life and holiness. The beards of some politicians symbolize dictatorship. Namely, the chaplin of Hitler, the moustache of Hussein and the musketeer of Castro express strong power and charisma. In 1950s'-70s' subcultures, Hipsters' goatee, Bikers' horseshoe, Beat generations' goatee and Hippies' natural represent the lack of adaptability and social resistance. Also, the celebrities and artists like Ronald Colman, Clark Gable, Don Johnson, George Clooney, and Salvador Dali express freedom, personality, and taste with beards. For that matter, the symbolistic values of beards' style in the twentieth century are the religious dignity, the political dictatorship, the social resistance and the expression of personality. Today the beards' style is one of fashion items as well as a symbol of masculinity, customs and classes.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사회인지 능력에 대한 인지자극순환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Cognitive Stimulation Circulative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Social Cognitive Ability of Stroke Patients)

  • 도지혜;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439-44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후 발생가능한 정서적, 사회인지 문제의 중재를 위해 작업 치료에 기초한 인지자극순환프로그램(CSCP ; Cognitive Stimulation Circulative Program)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12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고 CSCP는 인지과정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조직화되었으며 총 16회기의 순환 프로그램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울증 척도와 관계 변화 척도, 삶의 질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피험자의 우울증 척도와 역할의 물리적 및 사회적 인지 기능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 관계 변화 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p<.05). 또한, 삶의 질 영역 중에서 신체적 역할, 사회적 기능의 항목에서 의미있는 향상이 있었다. CSCP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사회인지 기능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중재 프로그램으로 사용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중년여성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및 자기효능감 (Proces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Self Efficacy Corresponding to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s in Middle Aged Women)

  • 이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62-371
    • /
    • 2004
  • Purpose: The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ces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correspon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based on a Transtheoretical Model in middle aged women.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317 women by convenience sampling residing in city B.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by SPSS/WIN program. Result: The subjects were distributed in each stage of change of exercise behaviors: 53 subjects (16.7%)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86 subjects (27.1%) in the contemplation stage, 88 subjects (27.8%) in the preparation stage, 51 subjects (16.1%) in the action stage and 39 subjects(12.3%) in the maintenance stage.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consciousness raising (F=24.96, p=.00), environmental reevaluation (F=7.l3, p=.00), self reevaluation (F=19.47, p=.00), dramatic relief (F=15.22, p=.00), social liberation (F=4.26, p=.00), counter conditioning (F=26.44, p=.00), a helping relationship (F=13.l7, p=.00), reinforcement management (F=21.25, p=.00), self liberation (F=27.70, p=.00), stimulus control (F=13.49, p=.00), pros (F=14.40, p=.00) and self-efficacy (F=39.9l, p=.00)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behaviors.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stimulus control’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discriminating the five stages of change. Conclusion: This study can provide the basis of a staged matching exercise program using TTM for more effective and useful intervention.

청소년의 게임이용시간과 자기통제의 관계에서 적응적 게임활용의 종단적 매개효과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Adaptive Game Use on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Game Usage and Self-control)

  • 진병준;이지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331-352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이용시간과 자기통제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적응적 게임활용이 지니는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적응적 게임활용의 종단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주최한 2019 게임이용자패널연구 학술대회 참여를 통해 제공받은 청소년 863명의 게임이용자패널조사 4개년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과 Mplus 6.12를 활용하여, 각 변인의 시점별 정규성을 확인 후 상관분석, 종단적 매개분석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성장모형을 분석한 결과, 게임이용시간과 적응적 게임활용, 자기통제는 모두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성장하였다. 둘째, 측정된 변인들의 초기치와 변화율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게임이용시간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적응적 게임활용을 통해 자기통제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적응적 게임활용은 자기통제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Sobel 검증 결과, 적응적 게임활용의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종단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통제 수준이 게임이용시간과 적응적 게임활용의 변화양상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 종단적 과정을 통해 적응적 게임활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실업 이후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관한 연구: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Marital Satisfaction since Unemployment - Difference in Self-esteem by Patterns -)

  • 남석인;김준표;이수진;윤희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8호
    • /
    • pp.97-1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및 실업을 경험한 부부의 관계만족에 대한 종단적 변화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의 특징, 영향요인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2차 년도부터 11차 년도의 자료 중 취업상태에 있다가 이후 5년 간 실업을 경험한 443 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업 후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 유형은 저수준 유지형, 중수준 유지형, 지속적 감소형, 감소 후 증가형, 고수준 유지형의 다섯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관계 만족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집단은 부부관계에 긍정 혹은 부정적 변화가 일어나는 집단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자아존중감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실업 후 부부관계 만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