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hange

검색결과 3,973건 처리시간 0.033초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지방섭취제한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사회심리적 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Stages of Change in Fat Reducing Behavior and Social Psychological Correlates in adult Female)

  • 오세영;조미란;김진옥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15-623
    • /
    • 2000
  • Under the assumption that people go through stages in making dietary behavior chang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pply the stages of a change model for fat intake by examining the associations of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stages of change in dietary fat reduction. Derived from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10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on motivational beliefs(6), social influence(3) and self-efficacy(1) related specifically to selecting every day diets low in fat were constructed. Fat and energy intakes were assessed by a short form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associations of stages of change with motivational beliefs, social influence, and self-efficacy variables and energy and fat intakes were assessed in 333 female adults from large cities in Korea. Dietary stage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on most of the social psychological variables in ways predicted by theory. Motivational factors that lead to a psychological state of readiness to take action were important in the early stages of the dietary change process. Social influences were more important in the stages as people decide to take action. Self efficacy and motivational beliefs, particularly, reduction of perceived barriers were important in maintaining fat reduction behavior.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differences in stages of change in fat reduction behavior in terms of nutrient intakes and social psychological correlates and suggests that adding a time dimension to social psychological models increases our understanding of dietary change, which assist us in designing nutrition education interventions that are more appropriately targeted by stage of chang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4) 615∼623, 2000)

  • PDF

사회변동의 지각과 주관적 안녕감: 대처자원의 효과에 대한 국가 간 차이의 분석 (Perceptions of Social Changes and Subjective Well-Being: A Cross-National Analysis of the Coping Resource Effectiveness)

  • 김정식;김완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
    • /
    • pp.19-45
    • /
    • 2008
  •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변동의 대한 주관적 지각이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두 가지 대처자원인 개인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이 문화적으로 다른 효과를 갖는다는 가설을 한국과 미국표본을 비교함으로써 검증하였다. 한국과 미국에서 수행된 설문자료를 다표본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첫째, 사회변동 속도의 지각이 사회변동의 평가라는 매개과정을 통해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고, 둘째 개인적 자원은 미국표본에서 그리고 사회적 자원은 한국표본에서 스트레스의 대처에 더 큰 효과를 가짐을 각각 발견하였다. 사회변동의 주관적 지각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었다.

  • PDF

Capstone-Design 활동에서 MBTI 성격유형에 따른 팀 상호작용 변화 분석 (Analysis of Team Interaction Changes in Capstone-Design Activities by MBTI Modes)

  • 이태호;김태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57-64
    • /
    • 2014
  • This study has a purpose mainly to analyze the team interaction change by the duration of time in the Capstone-Design activities according to MBTI Modes. Study objects are four students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School of Engineering in C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the team interaction change was analyzed through IPA (Interaction Process Analysis) method. From the result, first, ESTP showed the change of increase in interaction by the time duration of initial, mid, late periods in 'social-emotional area: positive' and 'task area: question', and the change of decrease by the same time duration of periods in 'task area: solution'. Also, there was no change in 'social-emotional area: negative' because there was no interaction. Second, ESFJ showed the change of decrease in interaction by the time duration of initial, mid, late periods in 'social-emotional area: positive' and 'task area: question', and the change of increase by the same time duration of periods in 'task area: solution' and 'social-emotional area: negative'. Third, ISTJ showed the change of decrease in interaction by the time duration of initial, mid, late periods in 'social-emotional area: positive', 'task area: question' and 'social-emotional area: negative', and the change of increase by the same time duration of periods in 'task area: solution'. Fourth, ENFP showed the change of decrease by the time duration of initial, mid, late periods in 'social-emotional area: positive', 'task area: solution' and 'social-emotional area: negative', and the change of increase by the same time duration of periods in 'task area: question'.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hange of Social Capital from Participation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s)

  • 장유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2호
    • /
    • pp.261-289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사회적 자본 변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을 사회적 자본 변화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사회적 자본의 변화를 유형별로 나누어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노인일자리사업 특성을 변화유형별로 비교해 보았다. 이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 삶을 변화시키는데 직 간접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실증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 중 사회적 자본이 변화하였을 때,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하였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증가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 사회적 자본 중 노인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은 신뢰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특히 생활상의 어려움에 있는 노인층과 생계비를 벌기 위해 참여한 노인층에서 사회적 자본 중 신뢰, 관계망, 사회참여가 모두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으며, 노인일자리사업이 생활상의 어려움을 가진 노인층에게 사회적 자본 변화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일자리유형에서 사회참여는 상승하였고, 생계를 위해서 참여한 노인층이나 생활상의 어려움이 있는 노인층에서 특히 사회참여가 증가하였다. 짧은 참여기간 동안의 조사로 나타난 결과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노인의 노동참여를 통한 사회참여는 보호적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장애부모에게서 자란 아동의 심리사회성 변화요인 - 부모의 사회참여활동 및 미래전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of children's psycho-social development raised by disabled parents: focused on the influence of parent's social engagement and future forecast)

  • 김사현;김소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3호
    • /
    • pp.199-234
    • /
    • 2016
  • 이 연구는 장애부모에게서 자란 아동의 심리사회성 발달 문제를 다룬 것이다. 특별히 연구는 부모의 사회참여활동과 미래전망이라는 부모요인이 아동의 심리사회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다루었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부모에게서 자란 아동은 비장애부모에게서 자란 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불안한 심리상태와 사회성을 보였다. 특히, 부모의 장애가 아동의 심리상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이것이 사회성 악화로 이어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장애의 부정적 영향은 초등학생 시기에 심하고, 아동이 성장하면서 점차 줄어들었다. 셋째, 부모의 사회참여활동과 미래전망은 장애부모에게서 자란 아동의 심리사회성 변화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두 가지 부모요인은 아동의 심리변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동시에 사회성변화를 이끄는 매개효과도 가졌다.

Comparing Social Media and News Articles on Climate Change: Different Viewpoints Revealed

  • Kang Nyeon Lee;Haein Lee;Jang Hyun Kim;Youngsang Kim;Seon Hong Le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1호
    • /
    • pp.2966-2986
    • /
    • 2023
  • Climate change is a constant threat to human life,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ublic perception of this issue. Previous studies examining climate change have been based on limited survey data. In this study, the authors used big data such as news articles and social media data, within which the authors selected specific keywords related to climate change. Using these natural language data,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for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climate change based on various topics. In addition, before applying topic modeling, sentiment analysis was adjusted to discover the differences between discourses on climate change. Through this approach, discourses of positive and negative tendencies were classifi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tendency of each document by extracting key words for the classified discourse.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opic modeling is a useful methodology for exploring discourse on platforms with big data. Moreover,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was increased by performing topic modeling in consideration of objective indicators (i.e., coherence score, perplexity). Theoretically, based on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framework (SAR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diffusion of the agenda of climate change in public news media leads to personal anxiety and fear on social media.

탑골공원의 문화적 해석 (A Cultural Reading on Tapgol Park)

  • 박승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6
    • /
    • 2003
  • This study seeks to find new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apgol Park and to identify Programs to promote this development. In addition, the study specifies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se efforts by revealing social aspects not apparent in the physical form of the site, and reading how these aspect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apgol Park Because the focus of the study lies in reading cultural aspects of the site which have to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their social circumstances, the study drew materials from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literary magazines, which best reflect these social aspects. Interpreting the over 100 you history of Tapgol Park in a cultural context, the study found a meaningful suggestion that such a small urban place located in a city forms a cultural identity in the course of communicating with its surrounding social situations.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Tapgol Park has been sensitive to 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rather than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space. The original function of Tapgol Park as a traditional city park has gradually changed towards strengthening social functions, much like the character of an urban plaza. In the process of change the park developed a unique culture. This park culture, however, came not from the original design but from its close interactions with social circumstances changing over time. At the same time, the change in identity seen in Tapgol Park has not been fresh formed. It can be said that the inertia came into light with the potential powers under the place over the long history having been combined into the then social circumstances. In early 2002, the park re-opened, refurbished as one of the relics of the March 1st Movement. Investigating how cultural inertias that have been developing in various forms to date will change and be maintained in this new paradigm is an important assignment for researchers.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관계 변화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여가만족도의 매개효과 (Effects of Change of Social Relations Due to COVID-19 on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 이성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17-27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관계의 변화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관계 변화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여가만족도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1년 사회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 7,20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관계변화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코로나19로 인해 이웃과의 관계 및 친구와의 관계가 멀어진 경우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도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관계 변화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와 같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요할 수 있는 상황에서 노인의 삶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사회기반시설 기후변화 영향의 공간정보 표출 (Visualizing Spatial Informa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Social Infrastructure using Text-Mining Method)

  • 신하나;류재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3호
    • /
    • pp.773-786
    • /
    • 2017
  •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 데이터들을 추출 및 분석하고, 이들을 행정구역 공간정보와 연계하여 분석 표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전력시설, 교통 도시기반시설, 유류 자원관리시설, 환경시설, 용수공급시설의 사회기반시설 중 다섯 가지(폭염, 한파, 호우, 대설, 강풍) 기후 요소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은 시설을 파악하고, 각 시설별로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기후 요소를 분석하였다. 사회기반시설의 기후변화 영향은 시설의 위치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어, 사회기반시설 기후변화 영향을 지역 중심으로 비교 분석 및 시각화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기반시설 중 교통 도시기반시설이 기후변화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은 주로 호우와 대설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기반시설 기후변화 영향의 공간정보를 분석 및 표출한 결과, 강원도와 서울 지역에 위치한 사회기반시설들이 기후변화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사회기반시설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비정형화된 정보를 추출 및 처리하여 분석하고, 이를 공간정보로 표출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관적 계층인식 변화와 의료비지출과의 관련성 (Relevance of Change on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and Medical Expenditure)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42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gap in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hierarchy and medical expenditur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l expenditure. Methods: An analysis based on the the data extracted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 Health Panel for 2012-2013 (n=9,359) is conducted. Further in this study, data analysis included a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2.0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industrial workers. Results: Model I showed decreases in medical expenditure by 1.247, 1.391, and 1.441 times in social classes one, two, and Model II showed an increase in medical expenditure by age, spouse,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insurance type, income class, economic activi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chronic illness and change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state and community require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support, in addition to individual efforts, to reduce medical expendi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