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5초

국가에 의한 노후보장 기대수준 결정요인 (The Determinants of the Expected Demand for Elderly Care by Government in Aged Korea)

  • 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3호
    • /
    • pp.59-8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policy demand for elderly care in aged Korea. Th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LoS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aged over 45 were used (n=10,165).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influenced on the expected demand for elderly care by government, controlling the expectations of future life and society. Second, the effects of determninants on the expected demand for elderly care by government varied by the level of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socioeconomic variables, including ADL and IADL, familial support by children, public transfers, and ag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welfare mix of elderly care were provided.

  • PDF

노인의 우울 및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derly's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 전상남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4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cessful aging on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trust, norm, participation, network) of the elderly. Methods: Samples were obtained from 184 people aged over 65 years old in one county of Kyungsangbukdo.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depression, social capital and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economic status and religion. Second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pression affected a negative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in Model 1, which analyzed only depression. However, Model 2, which analyzed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at the same time, showed that only social capital affected successful aging.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are required for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일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Working Elderly Persons'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Self Efficacy)

  • 이신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55-572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이 일에 참여함으로써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일에 대한 중요성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조사대상은 전남에 위치한 K, S, Y 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된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의 정도는 평균 86.5점(중앙치: 81점) 이었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43.2점(중앙치: 39점)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은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 점수인 79.7점, 자기효능감 점수인 평균 39.1점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일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은 거주지, 종교, 거주상태, 경제상태, 일 참여 빈도, 건강 상태, 배우자 유.무, 한달 평균 수입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일 참여 노인의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자본형성, 경제상태, 한달 평균수입, 배우자의 유무, 건강상태, 거주형태, 교육수준, 종교, 일 참여빈도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일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 참여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에 대한 주요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경제상태,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종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에 대한 설명력은 총 13% 이었다. 그리고 일 참여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주요 변인의 영향력은 호혜적 규범, 경제상태, 네트워크 구축, 사회참여, 거주지, 건강상태, 신뢰감 형성, 연령, 배우자 유.무 순이었으며 이들 변인이 갖는 영향력은 총 34% 이었다. 이들 변인 중 호혜적 규범형성과 네트워크 구축, 사회참여가 전체 영향력의 대부분인 23%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어 사회적 자본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ubjective Health in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 Chu, Hyeon Sik;Tak, Young Ran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4-193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path model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capital, physical activit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 the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the 2014 Seoul Survey, in the method of analyzing cross-sectional design and secondary data. Among 45,497 participants in total, the data of 4578 adults aged 65 or above was analyzed.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social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by regular exercise. Additionally, a numerical rating scale was used to assess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ath analysis. Results: Social participation and physical activity showed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status in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while social trust and physical activity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ypothetical path model of community indwelling elderly's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proved correct.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health-promoting intervention for community indwelling elderly should consider social trust and participation.

사회적 자본과 노인 삶의 만족도 연구 (A Study on Social Capital and Satisfaction of Elderly life)

  • 이창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87-292
    • /
    • 2018
  • 본 논문은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사회적 자원과 규범, 가치, 신뢰 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노인은 N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가구(401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비교에 있어서 성별, 결혼여부, 학력, 가구구성형태, 수입정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는 있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신뢰. 규범, 참여 순으로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복지정책의 내용 및 방향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양한 노인사회활동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연령집단별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Urban Community-dwelling Elderly across Age Groups: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 추현식;이한이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7-216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urban community-dwelling elderly by age group.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the secondary data of 2017 Seoul Survey in a cross-sectional design. Of 42,688 participants in total, the data of 7,927 adults aged 65 or older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hi-squar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and it was found that the old elderly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oldest elderly group (t=8.37, p<.011). In common,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the two age groups were companion animals (old elderly: β=.03, p=.002; oldest elderly: β=.06, p=.021), social network (old elderly: β=.10, p<.001; oldest elderly: β=.08, p=.008), and social support (old elderly: β=.05, p<.001; oldest elderly: β=.08, p=.005).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elfare and nursing care services focusing on social capital and age group-specific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is study might provide the possibility and evidence for a program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for the urba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cluding social capital elements.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Jun-Su Kim;Young-Eun J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37-14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사회적 고립예방과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SPSS 26.0, AMOS 24.0을 활용하여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과 사회자본, 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사회자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자본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사회자본은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간접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이 실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화 교육의 활성화, 온라인 기반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개발,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에 맞는 커뮤니티, 정보화 모임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사회 자본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이 한국노인의 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ositive Thought about Social Capital on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Koreans)

  • 이효영;전경숙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789-803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 자본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이 실제 한국 노인들의 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2003년 우리나라 사회통계조사 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로 총 65세 이상 노인 8,586명이 대상이 되었다. 사회 참여에 대한 문항은 두 가지 문항으로, 단체참여, 자원봉사활동의 두 가지를 사회 참여로 정의하였다. 또한 사회 자본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은 빈부격차 감소, 범죄율 감소, 규제완화와 부패의 감소, 도덕성 수준의 향상, 환경오염의 감소 등으로 5가지로 정의되었고, 분석은 성, 연령, 결혼수준, 교육수준, 주택소유, 취업, 흡연, 음주, 활동제한일수, 와상일수, 기능제한과 자가평가 건강수준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노인의 사회 참여는 사회 자본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사회 자본에 대한 생각이 다르면 이에 따라 다른 사회 참여의 양상을 보인다는 것이다. 빈부격차가 감소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노인은 사회 참여를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단체 참여에서 그러하였다.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도 빈부격차가 줄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와 환경오염이 줄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경우, 도덕성 수준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는 노인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각각 1.65배, 1.48배, 1.52배 더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들에서 언급하고 있듯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사회 참여를 더 활발하게 하는 것과 함께 사회자본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도 하나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사회 자본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은 사회 참여를 더 하게 하여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연령이 증가하면서 건강이 나빠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융복합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of Elderly in the Era of Convergence)

  • 박주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3-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신뢰, 네트워크, 규범, 참여 등의 융복합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2명이다. 분석결과, 노인이 교육수준이 낮고 종교가 없으며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와 규범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우울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전체의 네트워크를 활성하고 확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노인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활동공간 확장과 다양한 융복합 컨텐츠의 프로그램 개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장노년층의 지능정보사회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Perception Expectation Anxiety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 Moderating effect of On/Offline Social Capital)

  • 임정훈;이혁준;이정화;이지훈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7-130
    • /
    • 2021
  • The Korea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rapidly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ut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are hard to access and accept these chang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factors affects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by moderating effect of on/offline social capital. This study analyzed data of 2,303 people between the ages over 50 from the 2018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using SPSS26.0. The result showed that sex, age, education, household typ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perception, expectation, anxiety are significantly effected life satisfaction. Also on/offline social capital had moderating effect between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edes a basis for developing a success model for elderly people who accepts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