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ail Welfar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2초

사회복지 현장의 서비스 융복합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ience of Service Convergence in the Social Welfare Field)

  • 신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19-32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융복합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관련된 실천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 현장의 다양한 분야 및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4개의 사회복지사 집단을 구성하여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현장의 사회복지사인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전문 영역과의 협업을 통해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험에서 긍정적 효과와 경험적 한계를 인식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보다 확장된 영역에서 다양한 역할을 요구받으면서 융복합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융복합적 접근이 요구되는 사회복지 환경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천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클라이언트 폭력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반응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s Job Response)

  • 윤일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23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 job response.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 job response was empirically analyzed. 257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ent violence, job stress, job attitude, social support, and job response variables. Client violence was affecting variables related to social worker job response. Second,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had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 parallel mediation effect a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Third, job attitude was found to be a variable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Fourth,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double mediating effect variables. In response, programs and manuals suitable for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policy basis for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social workers were limited, and follow-up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were suggested.

프랑스 공공집합주택 분석을 통한 주거의 공유성에 관한 연구 -마르세이유 유니떼다비따시옹(Unité d'Habitation)대상으로- (A Study on the Residential Community through Social Collective housing in France -Focused on Unité d'Habitation in Marseille-)

  • 최호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01-207
    • /
    • 2017
  •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사회의 고령화, 핵가족화와 같은 사회적 문제에 주목하고,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거문화 계획을 위한 기초연구 수행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대상은 건축가 르꼬르뷔제가 설계한 프랑스 공공집합주택인 마르세이유 도시에 위치한 유니떼다비따시옹 이다. 프랑스 국가가 오랜 역사와 문화적 성장을 통하여 구축한 중요한 국가사상들 중에서 '주거'라는 주제는 단순히 거주하는 공간이 아닌 시민복지의 근간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1950년대 초반에 건설된 유니떼다비따시옹 공공집합주택은 국가가 추구하는 시민복지의 정신을 여러 다양한 계층의 세대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주거의 공유성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본 연구의 주제인 주거의 공유성에 관한 연구는 향후 우리사회의 세분화되는 다양한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주거문화 제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운영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 최윤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7-16
    • /
    • 2019
  •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17년이 지난 2017년말에 예상보다 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비하여 아직 노인주거시설에 관한 인식은 사회에 정착하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시설의 건축과 경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노인주거시설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정부의 정책 또한 뒷받침을 하지 못하는 면도 무시할 수 없다. 노인의 주거는 단순한 주거 공간 뿐 만이 아니라 의료의 문제와 연관지어서 생각해야 한다는 점과 지속적인 케어의 문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노인주거의 추세는 연속보호형 시설(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ity)을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노인주거시설의 정책과 기존 노인주거를 외국의 정책 및 주거와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주거시설의 운영을 중심으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본UNIT의 유지, 시설의 용도변경을 통한 융통성의 확보, 공용공간의 쉐어, 운영비의 현실화 등을 통해 노인주거시설의 적합한 주거디자인의 유형의 특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대처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방안을 연구함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가 소년원 내 남자청소년의 진로성숙과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and Self-reliance of Inmates of a Juvenile Reformatory)

  • 김나영;배임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233-2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원 내 남자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 성숙과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소년원을 대표하는 S소년원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15부의 응답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SPSS 22.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가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R^2=.411$,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친구 지지와 종교인 지지가 진로 성숙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자립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R^2=.520$, p<.001로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종속변수인 친구 지지, 가족 지지가 자립 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한 제언으로는, 유의미한 변수인 친구 지지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집단활동, 상담 등의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 체계의 마련을 위해 소년원 주변 지역사회 내의 자원 발굴 및 연계, 효과적인 사회적 지지 제공을 위한 교육이나 관련 단체 설립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