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bel-test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3초

통계적 영상처리를 이용한 과일 선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Fruit Sorting System using Statistical Image Processing)

  • 임동훈
    • 응용통계연구
    • /
    • 제16권1호
    • /
    • pp.129-140
    • /
    • 2003
  • 본 논문은 통계적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과일 선별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히스토그램으로부터 과일 영상의 색깔에 대한 분포를 파악하고 이 표본 위치문제에서 Wilcoxon 검정을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한다. 체인코드로부터 과일 영상의 면적, 둘레, 장ㆍ단축의 길이와 원형도 등 기하학적 특성값을 얻는다. 우리는 과일에 대한 영상실험을 통하여 통계적 에지검출 방법에 토대를 둔 시스템과 기존의 Sobel 연산자에 토대를 둔 시스템과의 비교 분석한다.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 Korean Nursing Students)

  • 김은만;양영희;이해영;유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4-30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ubjective happiness related factors in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A purposive sample of 200 nursing students was recruited for th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he instruments were perceived stress scale, major satisfaction scale, resilience scale, and subjective happiness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d the Sobel test for testing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 mean score of stress, major satisfaction, resili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was 2.21, 3.95, 3.60 and 5.03, respectively. Perceived health status, stress_positive perception, stress_negative perception, resilience_self confidence, resilience_positivity, resilience_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bjective happiness. Explained variance for the subjective happiness was 53.4%.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Sobel test: Z=-5.67, p<.001). Also, 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Sobel test: Z=5.65, p<.001).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improving resilience are recommended to improve subjective happiness in nursing students.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박혜정;최은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0-29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4 middle school students in D City during the period of July 1st-17th, 201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Baron & Kenny's mediation verification,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on dep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smartphone addiction, self-esteem, resilience, and depression. Self-esteem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a}=-.40$, p<.00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Sobel test: Z=4.68, p<.001).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a}=-.15$, p<.001)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Sobel test: Z=2.40, p<.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o apply self-esteem and resilience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 depression caused by smartphone addiction.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 및 속박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Anger and Entrapment on Psychological Health of High School Boy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양선이;오윤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429-439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psychological health among boys in high school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entrapment on psychological health.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3 high school boys from Jeju. Measurements include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entrapment scal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and questionnaires to assess mental and physical health.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ith the SPSS 21.0.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Mean scores for anger experience, entrapment,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health were $29.81{\pm}7.34$, $34.09{\pm}16.33$, $45.75{\pm}7.02$, $22.51{\pm}9.91$,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ger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health. Entrap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health. Social suppor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health (Sobel test: Z=54.18. p<.001). Social suppor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apment and psychological health (Sobel test: Z=2.24. p=.025).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social support programs for boys in high school.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Influencing Elderly's Suicidal Ideation)

  • 정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64-177
    • /
    • 2013
  • 본고의 목적은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에 본고는 서울시복지패널 2차 년도(2010년) 자료에 기재된 총 6,304케이스 중, 65세 이상 1,429명을 분석대상으로 추출하여 연구에 적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수준을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검증방식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고 경로계수가 유의하여 본 모형이 분석에 적절한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매개변수가 통제되면 직접효과가 상실되는 완전매개모형이 성립되었다. 그리고 sobel 검증방식을 응용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유의수준이 확증되었다. 이에 본고는 제시된 결과를 기반으로, 2차 집단과 개인 간 관계의 중요성과 개입방안을 추론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비판적 사고성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on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김혜숙;박미화;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29-337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도 소재 3개 대학의 간호학과 3,4학년 193명이며, 2021년 11월 1일부터 19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셀프리더십은 자아탄력성(r=.43, p<.001), 비판적 사고성향(r=.5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탄력성은 비판적 사고성향(r=.5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아탄력성과 셀프리더십과의 관계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의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obel test: Z=5.05,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Van der Waerden의 통계량을 이용한 영상에서의 효율적인 에지검출기법 (An Efficient Edge Detection Using Van der Waerden′s Statistic in Images)

  • 최명희;이호근;김주원;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215-218
    • /
    • 2002
  • The edges of an image hold much of the information in that image. The edges tell where objects are, their shape and size, and something about their texture. An edge is where the intensity of an image moves from a low value to a high value. We introduce the edge detection using the differential operator with Sobel operator and describe a nonparametric Wilcoxon test based on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for the detection of edges.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edge detection using Van der Waerden's statistic in original and noisy images. We use the threshold determined by specifying significance level a and an edge-height parameter. Comparison with our statistical test and Sobel operator shows that Van der Waerden method perform more effectively in both noisy and noise-free images.

  • PDF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의 4차산업혁명 최신기술 관심도가 최신기술 활용 저항도와 불안도에 미치는 영향: 최신기술 수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Interest in the Latest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mong Workers at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on the Resistance and Anxiety :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of the Latest Technology)

  • 남희은;임유진;백정원;김남숙;윤영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8-198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들 최신기술에 관심도와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 간의 관계에서 최신기술 수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2018년 7월부터 8월까지 P광역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8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변수간 인과관계 검정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단계별 분석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최신기술 관심도는 최신기술 수용도를 매개로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Sobel test 결과, 통계적으로도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기관 종사자의 최신기술 관심도는 최신기술 수용도를 매개로 저항도 및 불안도를 낮추어 미래사회 적응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신기술 저항도 및 불안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최신기술 기술에 대한 관심과 최신기술 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관련 방안을 제언하였다.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연대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olidarity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

  • 윤현숙;염소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53-71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관계에 가족연대감이 지니는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4년 춘천시 노인생활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2,03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변수의 수준,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test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이 높을수록 가족연대감은 낮아졌고, 자살생각은 높아졌다. 또한 가족연대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졌다. 우울과 가족연대감을 동시에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졌고, 가족연대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을 감소시키고, 가족 연대감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특히,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가족 연대감의 향상을 통해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살을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남편과 아내의 비교를 중심으로-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husbands and wives-)

  • 김두길;유영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77-191
    • /
    • 2015
  •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에 따른 남편과 아내의 비교를 위해 시도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 검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또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에 따라 단순회귀분석과 Sobel test(1982)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부부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에서 남편은 교육수준, 부부문제, 계획다시세우기에서 영향을 미쳤고 아내는 연령, 부부문제, 수용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중년기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도 함께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