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regulation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husbands and wives-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남편과 아내의 비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5.29
  • Accepted : 2015.06.27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husbands and wives. The data were underwent through the SPSS 19. Win for frequency, paired-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r the further analysis of hie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the analysis for the mediation effect proposed by Baron & Kenny(1996) and Sobel test(Sobel, 198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e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ducation level, couples' problems, replanning strategie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s, while age, couples' problems, acceptance strategies were significant for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wives. Second, cognitive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were proved to partially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에 따른 남편과 아내의 비교를 위해 시도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대응표본 T 검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또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에 따라 단순회귀분석과 Sobel test(1982)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부부의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에서 남편은 교육수준, 부부문제, 계획다시세우기에서 영향을 미쳤고 아내는 연령, 부부문제, 수용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중년기 부부의 가족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도 함께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2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012.
  2. 서미아, "중년기 부부갈등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권, pp.343-35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343
  3. 김의철, 박영신, 김경자, "청소년과 부모의 미래성취의식: 미래에 가장 성취하고 싶은 일과 미래성취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을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제18권, 제5권, p.29, 2011.
  4. 김명자,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5. 고기숙,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위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6. 안태용, 중년기 한국인 적응유연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 최태산, 박혜경, "중년남성이 지각한 자기의식과 성역할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2권, 제3호, pp.931-944, 2011.
  8. 정옥분,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8.
  9. M. Acrus, Introduction to family life education, Minneapolis, MN: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 1990.
  10. 전혜성, 서미아, "중년기 부부의 부부권력 및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356, 2012.
  11. B. C. Rollins and H. Fledman,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2, 1970.
  12. 서정아, 기혼여성의 가족건강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 R. A. Lewis and G. B. Spanier,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pp.268-294 in W. Burr, R. Hill, I. Nye, and I. Reiss (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Research Based Theories, Vol.1, New York: Free Press, 1979.
  14. 이구숙, "우리나라 재혼여성의 결혼만족도 재고," 원광대학교 사범대학학생회, 제1권, pp.33-44, 1974.
  15. 강정옥, 김자영, 두영주, 양영금, 오선영, 이미경, "취업주부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가정관리연구, 제8권, pp.21-38, 1989.
  16. 김경신, 조유리,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5권, 제2호, pp.1-2, 2000.
  17. 김경혜, 김미경, 오수연, 이경한, 정선희, "부부 의사소통과 인구사회학적 변인 및 결혼 만족도와 의 관계조사," 성균관대학교 가정관리학회, 가정관리연구, 제5권, pp.125-139, 1986.
  18. 연규월, 이근후, "성적갈등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4권, 제1호, pp.25-43, 1988.
  19. 천혜정, "연령에 따른 기혼남녀의 성 의사소통 및 성 만족도의 차이와 결혼행복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제11권, 제3호, pp.283-299, 2006.
  20. 홍성례, 유영주, "부인의 정서적 지지와 남편의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8권, 제2호, pp.61-76, 2000.
  21. 황향희, "스포츠댄스참여와 결혼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제12권, 제2호, pp.91-103, 2003.
  22. 왕석순, 서병숙, "중년기 적응 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한국노년학, 제15권, 제1호, pp.54-73, 1995.
  23. 유계숙, 강수향, 오아림, 이주현,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대회논문집, 제15권, 제1호, pp.117-136, 2010.
  24. 조혜숙, 중.노년기 부부관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5. B. R. Karney and T. N. Bradbury,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18, pp.3-34, 1995. https://doi.org/10.1037/0033-2909.118.1.3
  26. 이정은, 이영호,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19, No.3, pp.531-548, 2000.
  27. 이혜경, 전혜인,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4, pp.413-432, 2013.
  28. 최정혜, "맞벌이 교사들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한국가정교육학회지, Vol.18, No.4, pp.1-11, 2006.
  29. Aisser, A., Huizinga, G. A., van der Graaf, W. T., Hoekstra, H.J., & Hoekstra-Weebers, 2004.
  30. P. G. Boss, Family Stress Management: Family Studies, Text Serious 8. Beverly Hills : Sage Publications, 1988.
  31. 이평숙,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4.
  32. 김남선, 이규은, "성별에 따른 중년기 성인의 화병증상 예측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98-108, 2012. https://doi.org/10.7739/jkafn.2012.19.1.098
  33. D. M. Almeida and R. C. Kessler, "Everyday stressors and Gender Differences in daily distr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5, pp.670-680, 1998. https://doi.org/10.1037/0022-3514.75.3.670
  34. 김시연, 서영석,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4호, pp.1243-1265, 2008.
  35. 차승은, 한경혜, "직업, 가족 그리고 중년기 신체적 건강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15권, 제2호, pp.33-60, 2003.
  36. 신혜섭, "중년기 위기와 가족 스트레스," 생활과학연구, 제11권, pp.84-90, 2006.
  37. 남정자, 조맹자, 최은진, 한국인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pp.29-96, 1996.
  38. 박지현,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 이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9. E. Hock, P. McKenry, M. Hock, S. Triole, L. Stewart, "Child's School Entry: A Stressful event in the Lives of fathers," Family Relations, Vol.29, No.4, pp.467-472, 1980. https://doi.org/10.2307/584460
  40. J. Bernard, "Stress and the Family," Journal of Home Economics, Vol.68, No.5, pp.6-10, 1976.
  41. 박지현, 김태현,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29-257, 2011.
  42. 이동숙, 중년기 부부성장 집단프로그램,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3. 유주연, 가족관계 스트레스 및 직무관련 스트레스와 중년기 남성의 위기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44. 유영주, 신 가족관계학, 서울 : 교문사, pp.338-343, 1984.
  45. 최신덕, 결혼과 가족관계, 기린원, 1991.
  46. 한남제, 한국도시가족연구, 일지사, 1984.
  47. 최동숙, "부부간의 스트레스 인지수준 및 디스트레스 수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76권, pp.65-179, 1989.
  48. 장춘미,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49. J. C. Coyne and G. Downey,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3, pp.401-425, 1991.
  50. 김시연, 서연석,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도 간 관계: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5권, 제2호, pp.189-213, 2010.
  51. 차승희, 가족 스트레스와 부부간의 대처방안 및 결혼의 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52. V. E. Whiffen and I. H. Cotilib, "Stress and coping in maritally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coupl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Vol.6, pp.327-344, 1989. https://doi.org/10.1177/0265407589063006
  53. L. Tolstoy, 결혼의 행복, 서울, 서문당, 1975.
  54. G. Bodenmann, S. Pihet, S. D. Shantinath, A. Cina, and K. Widmer, "Improving dyadic coping in couples with a stress-oriented approach: A 2-year longitudinal study," Behavior Modification, Vol.30, No.5, pp.571-597, 2006. https://doi.org/10.1177/0145445504269902
  55. K. N. Kardatzke, Perceived stress, adult attachment, dyadic coping and marital satisfaction of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2009.
  56. L. B. Story and T. N. Bradbury, "Understanding marriage and stress: Essential questions and challeng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3, pp.1139-1162, 2004. https://doi.org/10.1016/j.cpr.2003.10.002
  57. R.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984.
  58. N. R. Karney, L. B. Story, and T. N. Bradbury, "Marriage in context: Interactions between chronic and acute stress among newlyweds. In T. Revenson, K. Kayser, & G. Bedenmann (Eds.), Couples coping with stress: Emerging perspective on dyadic coping(pp. 13-31).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5.
  59. S. Folkman, R. S. Lazarus, C. Dunkel-schetter, A. DeLongis, and R. J. Gruen, "Dynamics of a stressful encounter: Cognitive appraisal, coping, and encounter outcomes," Jour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0, pp.992-1003,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0.5.992
  60. R. A. Thompson,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59, pp.25-52, 1994. https://doi.org/10.2307/1166137
  61. J. J. Gross,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2, No.3, pp.271-299, 1998. https://doi.org/10.1037/1089-2680.2.3.271
  62. N. Garnefski, V. Kraaij, and P. Sp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7, 2001.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113-6
  63. N. Garnefski and V. Kraaij,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A comparative study of five specific samp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0, pp.1659-1669, 2006. https://doi.org/10.1016/j.paid.2005.12.009
  64. N. Garnefski, T. V. D. Kommer, V. Kraaij,J. Teerds, J. Legerstee, and E. Onste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emotional problems Comparison between a clinical and a non-clinical sampl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16, pp.403-420, 2002. https://doi.org/10.1002/per.458
  65. N. Garnefski, J. Teerds, V. Kraaij, J. Legerstee, and T. V. D. Komme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6, pp.267-276, 2004. https://doi.org/10.1016/S0191-8869(03)00083-7
  66. C. A. Anderson, R. S. Miller, A. L. Riger, J. C. Dill, and C. Sedikides, "Behavioral and characterological style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oneliness: review, refinement, and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6, pp.549-558, 1994. https://doi.org/10.1037/0022-3514.66.3.549
  67. S. Nolen-Hoeksema, J. Larson, and L. E. Parker, "Ruminative coping with depressed mood following lo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7, pp.92-104, 1994. https://doi.org/10.1037/0022-3514.67.1.92
  68. 이설아, 유기도식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9. 김소희, 스트레스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70. 심지은, 안하얀, 김지혜,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제32권, 제1호, pp.103-118, 2011.
  71. 이자영, 최웅용,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481-1499, 2011.
  72. 하혜신, 남녀 청소년에 따른 부적응도식,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과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3. J. D. Martin and E. R. Dahl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ang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9, No.7, pp.1249-1260, 2005. https://doi.org/10.1016/j.paid.2005.06.004
  74. 안진영, 수용행동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75. 유순화,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2호, pp.183-202, 2014.
  76. 김민정, 이희경,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 변인으로-," 카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 Vol.25, pp.49-67, 2009.
  77. H. I. McCubbin, L. Wilson, and J. Patterson,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FILE), St. Paul.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the University of Minnesota, 1979.
  78. A. J. Roach, L. P. Fraizer, and S. R. Boweden,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3, pp.459-462, 1981. https://doi.org/10.2307/351397
  79. 정진관, 기독교인의 신앙 성숙과 부부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만족도의 관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8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rate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81.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1982.
  82. 김명숙, 중년기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성역할 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3. 김윤정, 최윤희,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Vol.24, pp.197-213, 2004.
  84. 김소연, 초등학생의 사회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5. L. S. Greenberg, "Integrating an Emotion-Focused Approach to Treatment into psychotherapy Integration,"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Vol.12, No.2, pp.154-189, 2002. https://doi.org/10.1037/1053-0479.12.2.154
  86. 권석만,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 마음의 치유와 성장으로 가는길-, 학지사, pp.197-297,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