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baek M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9초

하계 소백산 안개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emical Features of Fog Sample in Summer at Mt. Sobaek)

  • 최재천;이민영;이선기;남재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9-406
    • /
    • 1996
  • Acidic fog is catastrophic to aviation and potentially affect materials, vegetation, crops and public health.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features of fog sample at Mt. Sobaek (mean sea level : 1, 340m) from June to August 1995. Each sample was analyzed for p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ajor ions (anion : $Cl^N)_3^-, SO_4^{2-}, cation : Na^+, NH_4^+, K^+, Mg^{2+}, Ca^{2+}$) by ion chromatography. The quality analysis of fog sample data was performed based on ion bal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method. The wind directions are subdivided into the northerly and southerly wind according to the wind direction data at the Sobaek-s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complete set of results in order to obtain a description of fog sample. All the statistical treat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PC + software package. The major ion concentration of fog samples was higher for the northwesterly wind cases than sourtheasterly wind cases. The pH of fog sample varied between 2.95 and 6.08. The average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otal sample (n=210) were 4.39 and 113.0 $\mu$S/cm, respectively. It may be noted that in nearly all the cases, the dominant major ions in the fog sample at Mt. Sobaek were $SO_4^{2-}, NO_3^-, H^+ and NH_4^+$.

  • PDF

소백산지역의 수액채취수종의 분포 및 수액채취량 (Species for Tree Saps in Mt. Sobaek Area and Its Sap Resources)

  • 김홍은;권기철;박철하;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81-92
    • /
    • 1998
  • Lately public interest in tree saps of maple and birch trees has been increased for sap drink as a natural medical beverage. To ensure tree sap drink for commercial production, species which are available in resources, their ecological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the natural forest stand, and tree sap resources should be investigated. Species for the collecting tree saps and their distribution were surveyed in the areas of Mt.Sobaek, Tanyang-gun, Chungcheongbuk-do. Mt.Sobaek area was selected to the proper place to survey as the feasible area for tapping tree saps for the natural beverage. Feasible tree species of this area are Betula costata, Betula schmidtii, Comus controversa, Acer mono, and Acer pseudosieboldianum based on the estimated tree sap amounts. Average and maximum species diversities of surveyed area were 4.2 and 5.39, respectively. Its evenness 0.78 referred that there are actively progressing ecological regeneration among diverse tree species. Tree saps are mainly harvested at the areas of upper and lower Wonmanteo. In terms of species, the most high sap amounts were from birch sap, next Comus controversa, the 3rd Acer mono. Many measures were suggested ecologically and technically, for commercial or practical production of tree sap drinks, though Mt.Sobaek area was evaluated as improper place because of geographical and transportational limitation.

  • PDF

고산지대의 일사량 특성분석 - 소백산과 그 인접 저지대를 중심으로 - (Solar Radi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 High Mountain Area)

  • 조덕기;이태규;전일수;전홍석;오정무
    • 태양에너지
    • /
    • 제16권2호
    • /
    • pp.49-63
    • /
    • 1996
  • 측정지의 고도는 일사량 측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대기중에 내포되어 있는 영속성개스 즉, 오존과 수증기 등은 대기의 순수한 혼합물 성분은 그 농도가 고도와 밀접한 함수관계를 갖기 때문에 해당 측정지 고도는 그 지역의 대기를 구성 하고 있는 성분에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일사에 영향을 준다. 이에따라 소백산과 그인접 저지대인 풍기를 대상으로 일사강도를 측정하여 지역별 일사량자원의 특성과 향후 에너지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목표로 두고 고지대와 저지대사이의 상호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현지 측정사업의 내용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1) 소백산의 연평균 수평면 전일사량 조건은 청명한 날을 기준으로 하루에 4,093 $kcal/m^2$로 나타났다. 2) 소백산에서의 일사강도는 인접 저지대인 풍기보다 $6{\sim}7%$ 정도 높게 나타났다. 3) 대기청명도는 동일한 위도상인 소백산과 풍기지역간의 격차가 현저하게 존재 하였다. 는 점으로 요약된다.

  • PDF

한국자생(韓國自生) 주목(朱木), 설악(雪岳)눈주목(朱木), 회율(檜率)나무의 집단(集團) 및 채취부위(採取部位)에 따른 탁솔함량(含量)의 변이(變異) (Variation in Taxol Content of Bark, Shoots and Needles of Seven Populations of Three Native Taxus Species)

  • 이용욱;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65-371
    • /
    • 199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주목(Taxus cuspidata S. et Z.), 설악눈주목(Taxus caepiltosa Nakai)과 회솔나무(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Nakai)에서 탁솔을 추출하고 정량하여 자생지별, 채취부위별 탁솔함량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목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태백산에서, 설악눈주목은 설악산에서 10월에 수피, 줄기, 그리고 잎을 채취하였으며, 회솔나무는 울릉도에서 3월에 줄기와 잎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재료는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정량분석하고 분석한 자료를 통계처리하여 각 집단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주목의 경우 채취부위별 탁솔함량은 수피에서 평균 0.006~0.017%로 가장 높았고 줄기에서는 0.001~0.005%이었고, 잎에서 0.0005~0.002%로 가장 낮았다. 수피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17%이었으며, 지리산, 소백산, 덕유산, 태백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줄기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053%이었으며, 소백산, 지리산, 덕유산, 태백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잎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013%이었으며, 태백산, 덕유산과 지리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설악눈주목에서의 탁솔함량은 주목보다 낮았으며, 수피와 줄기에서 평균 0.0035%이었다. 회솔나무에서의 탁솔함량은 줄기에서는 주목보다 높았으나, 줄기에서 평균 0.0064%, 잎에서 0.0006%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탁솔의 함량은 위도가 낮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생육조건에 따라서 큰 변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라산 집단의 일부 주목(Taxus cuspidata)은 높은 탁솔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설발육종하거나, 조직배양을 통하여 상업용 탁솔생산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

중남부 삼림 지역에서의 세포성 점균의 출현과 분포 (Cellular Slime Molds in Forest Soils of Central Areas of Korea)

  • 박미아;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3-230
    • /
    • 1996
  • A study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cellular slime molds(CSMs) in forest soils of central areas of Korea was carried out. Samples for CSMs isolation were collected from 4 study sites; Mt.Kyeryong, Mt. Taebaek, Mt. Sobaek and Mt. Sokri. In Mt. Kyeryong, six species were found. These were Dictyostelium fasciculatum, D.firmibasis, D. mucoroides, D. minutum, D. brefeldianum and Polysphondylium pallidum.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at one site was 0.75, and average density(clones /g soil) was 292. The results of soil sample analyses were that the concentration of Pb was higher than any other areas. In Mt. Taebaek, seven species were found; D. fasciculatum, D.firmibasis, D. mucoroides, D. miuutum, P.pallidum. P. violaceum, P. candidum.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at one site was 2.3,and average density was 1,108. Based on importance values calculated from study sites within each of three elevation ranges, several of the more widely distributed and abundant species have distribution patterns that show a response to elevation. In Mt. Sobaek, eleven species were found. These were D. fasciculatum. D.firmibasis, D. mucoroides, D. miuutum, D. brefeldianum, D. crassicaule,D. deminutivum, D. implicatum, P. pallidum. P. violaceum and P. candidum.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at one site was 3, and average density was 793. Species diversity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this area. In Mt. Sokri, six species were found. These were D. fasciculatum. D. mucoroides, D. minutum, D. purpureum, P. pallidum. and P. violaceum.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isolated at one site was 2.4 and average density was 858. It was noticeable that D.purpureum were much more comrnonly found in this pinus evergreen forest. Key words: Cellular slime molds(CSMs), Importance value, Elevation, Average number of species, Average density.

  • PDF

소백산 초오속 초오아속(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의 잡종형성 (Hybridization in Aconitum subgenus Aconitum at Mt. Sobaek in Korea)

  • 임채은;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3-35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소백산 초오아속 개체군들과 이들의 부모종으로 추정되는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소화경에 분포하는 털의 종류와 분포양상, 잎의 형태 및 결각 상태 등 주요 식별형질에 대한 비교형태학적 연구 및 수리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소백산 본 아속 개체군들의 형태 변이 양상 및 기원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백산에 분포하는 본 아속 식물은 소화경에 분포하는 털의 종류 및 분포양상에 따라 크게 (1) 소화경이 완전히 무모인 개체, (2) 소화경 상부에만 유두상 돌기가 있는 굽은 털이 소수 분포하는 개체, (3) 소화경 상부로부터 중앙부까지 유두상 돌기가 없는 굽은 털이 다수 분포하는 개체, (4) 소화경 상부에만 굽은 털과 함께 표면이 평활한 선형의 개출모가 소수 혼생하는 개체, 그리고 (5) 소화경 상부로부터 중앙부까지 굽은 털과 함께 표면이 평활한 선형의 개출모가 다수 혼생하는 개체 등의 5가지 형태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러한 5가지 형태유형을 가진 개체들은 소백산 대부분의 지역개체군에서 다양한 비율을 가지면서 모두 나타난다. 상기 비교형태학적 연구 결과와 주요 식별 형질의 주성분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소백산에 분포하는 본아속 재체군의 개체들은 과거, (1) 암술 및 소화경이 무모인 A. kusnezoffii, (2) 소화경에 유두상 돌기가 있는 굽은 털을 가진 A. japonicum subsp. napiforme, 그리고 (3) 소화경에 선형의 개출모를 가지는 A. jaluense subsp. jaluense 등 최소한 세 분류군간의 다원 잡종형성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개체 사이에 반복적으로 유전자 침투(introgression)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