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aking dura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3초

삼나무(杉), 편백나무 산출묘(山出苗)의 활착(活着) 영향인자(影響因子(I) -건조(乾燥)(실내(室內), 실외(室外), OED green) 및 침지(浸漬)-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out planted Cryptomeria and Japanese cypress Seedlings (I) -Especially on the drying and water soaking duration-)

  • 이정석;오광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6-35
    • /
    • 1979
  • 삼나무 및 편백나무의 산지조림시(山地造林時) 활착율(活着率)아 낮은 경우(境遇)가 왕왕(往往) 있으므로 이들 요인(要因)을 구명(究明)코저 1979년(年) 2월(月)부터 9월(月)까지 삼나무, 편백나무, 1-1실생묘(實生苗)와 삼나무 2-1삽목묘(揷木苗)를 공시목(共試木)으로 실내(室內) 및 주간노지(晝間露地) 건조조건(乾燥條件)과 OED green 및 수침적(水浸積) 조건처리(條件處理)를 하여 활착률(活着率)을 시험(試驗)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수분함량(水分含量)은 11시(時)부터 15시(時)까지 급격(急激)히 떨어졌으며 실내(室內)에서 17시(時)가지의 감량(減量)은 실외(室外)에서 1사간(時間) 동안의 감량(減量)과 같다. 2. OED green 처리(處理)와 무처리간(無處理間)에는 함수량(含水量) 변도(變動)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3. 삼나무, 편백나무, 실생묘(實生苗)의 실(室) 및 주간건조(晝間乾燥) 조건(條件)에 있어서의 활착률(活着率)은 OEDgreen 처리(處理)나 무처리(無處理)가 각각(各各)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침적효과(浸積效果)도 미약(微弱)했다. 4. 편백나무묘(苗)의 활착률(活着率)은 삼나무 실생묘(實生苗)와 거의 일치(一致)하였으나 건조(乾燥)에 대(對)한 저항력(抵抗力)은 낮은 편(便)이다. 5. 삼나무 삽목묘(揷木苗)고 실생묘(實生苗)에 비(比)하여 활착률(活着率)이 높았으며 2시간(時間) 동안 건조(乾燥)한 경우(境遇)도 전(全)혀 활착률(活着率)에 영향(影響)이 없었다. 또한 건조시간(乾燥時間)과 침적시간(浸積時間)과의 상호작용(相互作用)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6.삼나무, 편백나무, 실생묘(實生苗)는 실내(室內)에서 4일간(日間) 건조(乾燥)하였을 때 2시경(時頃)부터 활착률(活着率)이 현저(顯著)히 떨어졌으며 건조일수간(乾燥日數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다.

  • PDF

Effect of Colchicine on Chromosome Doubling in Codonopsis lanceolata

  • Kwon, Soo-Jeong;Seo, Dong-Yeon;Cho, Gab-Yeon;Lee, Moon-Soon;Moon, Young-Ja;Boo, Hee-Ock;Woo, Sun-Hee;Kim, Hag-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7-354
    • /
    • 2016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olchicine concentrations on chromosome doubling for producing of tetraploid plant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its effect on plant morphology. A total of 180 individuals germinated from 16 treatment groups, were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0.05-1.0% w/v) of colchicine for different soaking duration (3-24 hour). The highest numbers of tetraploid plants (3) were observed from the lowest concentration of colchicine (0.05%), and one (1) tetraploid plant was obtained from the 0.5% concentration group with a 6 hour treatment. However, no tetraploid individual was observed in any other treatment groups. The plant height of the diploid (18.1 ㎝) was slightly shorter than that of the tetraploid (13.4 ㎝). The fresh weight of the main root in the diploid (0.5 g) was four-fold higher than the tetraploid (2.2 g). The colchicine-treated plant regeneration rate in C. lanceolata was decreased when the plants were subjected to high concentration of colchicine. In particular, the highest number of tetraploid plants (5 and 3) was obtained from the lower concentration (0.05% and 0.1%) of colchicine for 6-hour treatment, which were a higher rate (29.4% and 30%) of regenerated tetraploid plants than other regenerated plants. As in the seed treatment result, the plant height of the diploid was significantly higher (10.4 ㎝) than tetraploid. The higher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comparatively from tetraploid plants than the diploid.

콩의 발아 전 침종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Germination by Treatment of Soaking on Germination of Soybean)

  • 조성우;김태선;권수정;;이철원;김홍식;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23-137
    • /
    • 2015
  •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콩 품종 90개에 대하여 종자의 발아 전 침종처리에 따른 발아능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수량과 침종일수에 따른 콩 종자의 발아력은 침수량이 증가하고, 침종일수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는데, 침수량 90ml와 3일간 침종에서 품종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종자의 수분흡수는 침종 후 6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4시간 이후부터는 줄어들었는데, 나물콩의 수분 흡수가 가장 낮았고, 밥밑콩의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다. 용존산소량은 침종 후 3시간까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는데, 풋콩 및 올콩은 침종 3시간 후부터 용존산소량이 가장 낮았으나 24시간이후에는 다른 용도의 콩에 비해 높아졌다. 전기전도율과 TDS는 침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풋콩 및 올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장류콩, 밥밑콩이 높았으며 종자의 크기가 작은 나물콩이 가장 낮았다. 침종 후 발아율이 높은 품종은 장류콩에서는 장수콩, 나물콩에서는 소백나물콩, 밥밑콩에서는 선흑콩, 그리고 풋콩 및 올콩에서는 선록콩이었으며, 발아율이 낮은 품종은 장류콩에서는 익산과 송학콩, 나물콩에서는 방사콩, 밥밑콩에서는 진율콩, 풋콩 및 올콩에서는 신록콩이었다. 전기전도율과 TDS가 낮은 품종들은 발아율이 높았고, 높은 품종은 발아율이 낮은 경향이었다. 종자의 수분흡수가 낮은 품종들은 발아율이 높아 수분흡수와 발아율은 부의 상관이 있었다. 종자의 무게가 높은 품종은 전기전도율과 TDS가 높았으며, 종자의 무게가 낮은 품종은 전기전도율과 TDS도 낮아 정의 상관이 있었다.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케토프로펜의 경피전달 (Iontophoretic Transport of Ketoprofen)

  • 김정애;오승열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4호
    • /
    • pp.275-281
    • /
    • 2004
  •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polarity, current density, current duration, crosslinking density, swelling ratio, and permeation enhancers on the transdermal flux of ketoprofen from acrylamide hydrogel. Hydrogel was prepared by free radical crosslinking polymerization of acrylamide. Drug loading was made just before transport experiment by soaking the hydrogel in solution containing drug. In vitro flux study using hairless mouse skin was performed at $36.5^{\circ}C$ using side-by-side diffusion cell, and the drug was analysed using HPLC/UV system. The result showed that, compared to passive flux, the total amount of drug transported increased about 18 folds by the application of $0.4\;mA/cm^2$ cathodal current. Anodal delivery with same current density also increased the total amount of drug transported about 13 folds. It seemed that the increase in flux was due to the electrorepulsion and the increase in passive permeability of the skin by the current application. Flux increased as current density, the duration of current application and loading amount (swelling duration) increased. As the cross linking density of the hydrogel increased, flux clearly decreased. The effect of hydrophilic enhancers (urea, N-methyl pyrrolidone, Tween 20) and some hydrophobic enhancers (propylene glycol monolaurate and isopropyl myristate) was minimal. However, about 3 folds increase in flux was observed when 5% oleic acid was used. Overall, these results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on the design of an optimized iontophoretic delivery system of ketoprofen.

고려인삼의 근아휴면타파와 생육에 대한 Gibbrerllin과 Kinetin의 효과 (Effect of Gibberellin and Kinetin on Bud Dormancy Breaking and Growth of Korean Ginseng Root (Panax ginseng C.A. MEY.))

  • 박훈;김갑식;배효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05-112
    • /
    • 1979
  • Effect of gibberllin on the breaking of bud dormancy of root and growth of aerial parts were investigated under laboratory and field condition for the prolongation of shoot growth duration, shortening of fruit bearing age and the increase of root yield. Drop application of GA (0.5ml of 50ppm) on rhizome of one year old root broke bud dormancy better than by low temperature. Soaking for one hour of one year old roots which wintered in the field in GA (50-200ppm) greatly accelerated the emergence of new buds while kinetin was only effective at low level (50ppm). GA substantially increased stem length in early stage and petiole length later on while kinetin increased stem diameter. Under the field condition with polythylene film tunnel (PET) in early spring the soaking in GA (50ppm for 1 hour) of rhizome of 4 year old root with replanting and dropping GA (50ppm, 1ml) on rhizome without replanting brought earlier emergence (29days) in comparison with that in the usual field. PET alone caused 14 day-early emergence. GA increased the length of stem and petiole only in early stage and replanting decreased only petiole length in later stage. Soaking in GA with replanting caused the Pronounced decrease in peduncle length, percentage of (ruin set and dry weight of reproductive organ (fruits and peduncle). Dropping without replanting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nly in dry weight of reproductive organ. Fruit maturing was 20 days earlier than in usual held with little difference between GA and PET. It is well expected that GA could be used for early emergence of bud, shortening of root dormancy period, thinning of fruit and higher root yield according to application amount and methods.

  • PDF

장기저장한 벼 종실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 during Long-Term Storage)

  • 이인근;김광호;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24-530
    • /
    • 1993
  • 양곡창고에 정조상태로 장기저장한 벼 종실의 이화학적특성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1987년부터 1992년까지 해마다 생산되어 64개월부터 4개월까지 저장되어 있던 통일형품종 삼강벼를 시험재료로 하여 저장기간이 다른 쌀의 식미관련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쌀의 지방산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는데 16개월 저장시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그 이후는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2. 백미의 아밀로스, 마그네슘 및 칼륨함량과 K/Mg 비율은 저장기간의 장단에 따른 변화가 없었고 단백질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3. 상온 및 가열흡수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상온흡수율은 침지초기에 그리고 가열흡수율은 침지시간이 경과할수록 고미와 신미간 차이가 컸다. 4. 저장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쌀의 알칼리붕괴도는 높아졌으며 호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쌀가루의 아밀로그램특성 중 최고점도, 최저점도, 냉각점도, breakdown 및 setback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6. 취반후 팽창용적은 저장기간이 긴 쌀이 짧은 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컸으며 용출고형물질과 요드정색도를 나타내는 흡광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 PDF

제주도 자생 참억새의 종자발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ed Germination of Miscanthus sinensis Native to Jeju Island)

  • 이종석;한승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15
    • /
    • 2007
  •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harvesting time, storage duration, cold treatment and sterilization on seed germination of Miscanthus sinensis. The optimum harvesting time of the Miscanthus seed in native to Jeju island was December. And the seed germination passible 3 years after harvesting. When the seeds had cold treatment, seed germination nate was 74% rather than 63% of non-treatment. For seed sterilization treatment, soaking in solution of Benomyl 7% during from 3 hours to 12 hours germinated 9% over. But the non-treatment on 24 hours treatment reduced the seed germination of Miscanthus sinensis.

유색벼의 품종별 종자 비중, 발아 특성 및 기계이앙 육묘시 적정 파종량 (Seed Gravity, Germination, and Optimum Seeding Rate for Machine Transplanting in Colored Rice Varieties)

  • 김상열;한상익;오성환;이종희;박노봉;권오덕;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82-292
    • /
    • 2015
  •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 되어 있는 유색벼 품종의 안전 육묘를 위한 종자의 발아특성, 적정 침종기간 및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색이 흑색인 조생흑찰 및 신명흑찰은 비중이 1.0이하의 물에 뜨는 종자가 85.7~86.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비중이 1.06이상 충실한 종자 비율은 1.0~1.3%로 다른 흑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신토흑미, 흑진주, 흑설, 흑남, 흑광은 비중이 1.0이하가 15.3~43.7%, 1.0~1.06이 24.6~39.4%, 1.0이상이 25.5~55.7%로 다양한 무게의 종자가 분포해 있었다. 그러나 적미인 홍진주, 적진주, 건강홍미는 일반벼인 일미벼와 같이 충실한 종자인 1.06이상의 비율이 84.0~86.6%로 높았고, 반면 비중이 1.0~1.06은 2.5~4.1%, 비중이 1.0이하의 물에 뜨는 종자의 비율은 9.3~12.1%로 낮았다. 2. 흑미는 일반적으로 물온도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적미보다 낮았고 발아속도가 느렸으며 평균발아일수도 길었고 수분흡수율도 낮았다. 그 결과 80%이상 발아하기 까지 침종기간이 적미나 일반벼 보다 2~4일 가량 더 결렸다. 이것은 흑미는 비중이 1.0이하의 가벼운 종자가 적미보다 훨씬 높았기 때문이다. 3. 상자육묘시 흑미의 출아율은 10일묘에서 75.2~82.2%, 30일묘에서 85.3~90.9%로 적미보다 10일묘에서는 4.5~8.0%, 30일묘에서는 0~3.3% 낮았는데 이것은 미출아율 종자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4. 기계이앙 육묘시 유색벼의 안전 육묘를 위한 적정 파종량은 관행 일미벼 어린모 및 중묘의 상자당 성묘개체수를 기준으로 흑미의 경우 어린모는 200~220g, 중묘는 110~130g이었고 적미는 일반벼와 같이 어린모 220g, 중묘 130g이었다.

재래식 간장 및 된장 제조가 대두 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1보 재래식 메주 제조의 성분변화 (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Part I. Chemical Changes During Meju Making)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2-18
    • /
    • 1976
  • 대두를 이용하여 재래식 메주를 실험실에서 제조하고 발효과정중에 일어나는 경시적 화학조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메주중의 수분은 발효기간중 점차적으로 증발되어 발효 2개월 후에는 원료대두의 수분함량과 같은 수준으로 되었다. 대두의 건물중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수침, 삶음과 메주발효중 크게 변화하지 않으나 탄수화물 함량은 수침과 발효중 상당히 감소하였다. 메주제조과정 중 대두 영양분 회수율은 탄수화물이 58%, 단백과 조지방이 각각 93%이었다. 대두의 총 질소중 수용성 질소율은 대두를 삶는 과정중 79% 에서 21% 로 감소하였으나 메주발효 1주일동안 30% 로 증가되었으며, 이후 3개월동안 거의 같은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질소중 유리 아미노태질소 농도는 원료대두에서 7% 였고 삶음 과정에서 3% 로 감소하였으나 메주발효과정중 다시 원료대두에서와 같은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총 질소 중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는 삶음과 발효과정에서 계속 증가하여 발효 종료 후 2%에 도달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침, 삶음 및 3개월간의 메주발효과정 중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나, serine과 염기성 아미노산 즉, lysine arginine 및 histidine이 메주발효 1개월 동안 원료대두의 $81{\sim}87%$로 감소되었으며 계속되는 발효 3개월동안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100 g 조단백질중 아미노산 함량은 원료대두에서 99 g 이었으나 메주 발효 1개월후 93 g 으로 감소되어 메주발효과정중 6%의 아미노산 감소를 나타나내었다.

  • PDF

삽수 종류, 배양토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병꽃나무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Time, Cultivation Media and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of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cuttings)

  • 이희두;김시동;김학현;이종원;김주형;윤태;이철희;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9-278
    • /
    • 2002
  • 본 연구는 병꽃나무의 화훼작목화를 목적으로 적정 삽목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병꽃나무의 삽목에 적합한 삽목용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래, 펄 라이트, 질석 단용과 질석 : 펄라이트(1:1) 혼용처리한 용토에 삽목한 결과 숙지삽, 녹지삽, 반숙지삽 공히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특히 녹지삽은 모든 처리구에서 70.0~76.7%의 발근율을 보여, 숙지삽에 비해 약2.8배 정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병꽃나무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숙지삽의 경우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NAA 500mg. L$^{-1}$처리구에서 80.0%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녹지삽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특히 NAA 100, 500mg.L$^{-1}$와 IAA 1000mg.L$^{-1}$처리구에서 96.7%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발근율 또한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높을수록 발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고농도인 1000mg.L$^{-1}$처리구에서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발근율은 숙지삽의 경우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지삽은 침지 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500mg.L$^{-1}$, 30분 침지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경우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침지시간이 길수록 발근율이 양호하였으나, 녹지 및 숙지를 삽수로 했던 것에 비해 그 정도는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