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aking Temperature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2초

참당귀(當歸) 종자(種子)의 발아향상(發芽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 처리(處理)가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Increase of Germin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I. Effects of Stratification, Soaking and Gibberellin Treatment on Germination)

  • 조선행;김기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4-108
    • /
    • 1993
  • 1989년(年)에 건국대학교(建國大學校) 실습농장(實習農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채종(採種)한 참당귀(當歸) 종자(種子)를 재료(材料)로 하여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처리(處理)한 후(後) 발아상(發牙床)에 넣어 발아율(發芽率), 발아세(發芽勢) 및 발아계수(發芽係數)를 조사(調査)하여 발아율제고(發芽率提高)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층적처리(層積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30%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저온처리(低溫處理)의 효과(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침종처리(浸種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20^{\circ}C$, 4일(日) 침종구(浸種區)와 $10^{\circ}C$, 6일(日) 침종구(浸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환수처리(換水處理)는 무처리(無處理)보다 발아억제물질(發牙抑制物質)의 추출효과(抽出效果)가 컸다. 3. Gibberellin처리(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20% 증가(增加)를 나타내었으며, 침종구(浸種區)에서 2ppm, 무침종구(無浸種區)에서 5ppm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높았다.

  • PDF

쌀의 침지조건이 취반후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aking Conditions on Texture of Cooked Rice)

  • 김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11-514
    • /
    • 1992
  • 쌀(아끼바레)의 침지온도 및 시간에 따른 수분흡수 양상을 조사하고, 침지조건에 따른 취반후 밥의 조직감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침지온도별 쌀의 수분흡수 양상은 $23^{\circ}C$의 침지온도에서는 초기 30분안에 수화가 빠르게 이루어진 후 그 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4^{\circ}C$에서는 그 후에도 계속적으로 수화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볼 수가 있었다. 밥의 조직감 변화를 침지온도에 관계없이 침지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취반후 밥의 경도(H)는 감소된 반면 끈기(S)와 끈기 대 경도의 비(S/H)가 증가하였다. $23^{\circ}C$에서 침지시킬 경우 $4^{\circ}C$보다 침지 시간에 따른 끈기와 끈기 대 경도의 비가 커졌다. 본 실험조건에서는 적당한 조직감을 갖는 끈기 대 경도의 비가 $0.15{\sim}0.2$ 사이에 들어가는 침지시간은 $4^{\circ}C$에서 $10{\sim}40$분 구간이며, $23^{\circ}C$에서는 $10{\sim}20$분 구간이었다.

  • PDF

종자 처리조건에 따른 종대황 발아 특성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Rheum undulatum L. Seeds in Treatment Conditions)

  • 유지혜;황인성;성은수;이재근;김희영;김남준;임정대;함진관;안영섭;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93-397
    • /
    • 201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seed germination of Rheum undulatum L. depends on storage temperature (-20, $5^{\circ}C$ and room temperature), germination temperature (5, 15, 25 and $40^{\circ}C$) and a soaking treatment (no soaking, 2 days and 4 days).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from the germination rate of R. undulatum L. in storage temperature conditions for 8 weeks. The highest of germination rate occurred over 80 percentage at $25^{\circ}C$. When R. undulatum L. was soaked with tap water for four days, the average values of germination velocity and germination day were represented of 1.7 ea/day and 1.68 days. These results may help our understanding of variations i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for R. undulatum L. seeds treated under various germination conditions.

종자저장온도 및 전처리가 야생 하늘타리와 노랑하늘타리의 종자발아 및 유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Germination, Seedling Quality on Wild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and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Kitam)

  • 이수광;김효연;구자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ed storage temperature and pre-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seedling quality and vigor index of wild Trichosanthes kirilowii and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As a result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T. kirilowii was the 95% at seed stored in room temperature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dH_2O$. An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of T. kirilowii var. japonica was 96% at seed stored in $2^{\circ}C$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GA_3$ (100 ppm). But the seed germination rate was non-significance in pre-treatment at seed stored in room temperature $2^{\circ}C$. Seedlings of T. kirilowii and T. kirilowii var. japonica showed not only the best seedling quality but also seedling vigor index in seed stored at $2^{\circ}C$ and then soaking for 24 hours in $GA_3$ (100 ppm). In this research, T. kirilowii and T. kirilowii var. japonica seed were stored in room temperature or $2^{\circ}C$, and then sown in peat moss, seed germination rate was more than 90% and production of superior quality seedlings.

대두의 침지과정중 침출액의 성분변화 (Solids Loss with Water Uptake during Soaking of Soybeans)

  • 이영헌;정해옥;이종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92-498
    • /
    • 1987
  • 대두품종으로서 새알, 광교, 단엽을 온도별($10^{\circ}C,\;20^{\circ}C,\;30^{\circ}C,\;40^{\circ}C,\;50^{\circ}C$)로 침지과정중 침출액의 성분변화를 관찰하였다. 대두가 같은 무게의 수분량을 흡수한 시간은 $20^{\circ}C$에서 7.5시간, $50^{\circ}C$에서는 3.5시간이 걸렸다. 침지액의 pH변화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용성 고형물의 함량변화는 침지 시간이 길수록, 온도가 상승할수록 많아져서 침지중 거의 직선적인 속도로 용출되었으며 24시간 침지 후 대두 100g당 $20^{\circ}C$에서는 $0.4{\sim}0.7g$정도, $50^{\circ}C$에서는 $10.2{\sim}15.0g$ 정도 용출되었다. 용출된 총 고형물 중 $12{\sim}25%$는 단백질이었으며 단백질 용출 비율은 침지 시간과 온도의 상승에 따라 증가했다. 24시간 침지 후 대두 100g당 $20^{\circ}C$에서는 80$\sim$200mg, $50^{\circ}C$에서는 $440{\sim}480mg$정도의 단백질이 용출되었다. 수용성 당의 용출은 24시간 침지 후 $20^{\circ}C$에서는 약 5%, $50^{\circ}C$에서 $83{\sim}100%$가 용출되었다. 그 중 sucrose, fructose, raffinose와 stachyose는 $20^{\circ}C$에서 24시간 침지 후 각각 3%, 3.8%, 2% 그리고 1%가, $50^{\circ}C$에서는 각각 87%, 150%, 80%, 77% 정도가 용출되어서 침지온도가 상승할수록 당의 용출량이 증가하였다.

  • PDF

경단조리법의 표준화를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I) (Scientific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s for Kyongdan(I))

  • 김기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0-30
    • /
    • 1987
  • 경단의 기준 조리법 설정을 위해 경단의 조리 과정에서 품질 특성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되는 제요인을 찾아내고, 그 요인들 중에서 가장 유의차가 크게 나타난 요인 즉 찹쌀 침수 시간과 첨가하는 물의 온도 및 물의 양과의 상호 자용이 경단의 기호성과 texture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를 관능 검사와 기계적 측정에 의해 검토하였다. 아울러 보존 중 저장 온도와 시간 경과에 따른 호화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단의 조리 과정 중에서 경단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첨가하는 물의 양, 물의 온도, 반죽 횟수, 가루의 상태였다. 또한 각 요인간의 상호작용으로는 침수 시간과 물의 온도, 침수 시간과 물의 양, 첨가하는 물의 양과 물의 온도, 물의 양과 반죽횟수, 물의 양과 소금의 양 등이 품질 특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침수 시간과 첨가하는 물의 온도 및 물의 양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에서는 찹쌀을 12시간 침수하여 만든 가루로 25%의 온수를 첨가하여 만든 경단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 조건을 기계 측정 결과와 비교해 보면 대체로 Hardness, Gumminess, Chewiness가 작고 Springiness와 Cohesiveness가 큰 시료였다. 3. 호화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장 2일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 보존 중의 저장 온도에 따른 호화도의 비교에서는 냉장 저장이 냉동 저장이나 실온 저장에 비해 호화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 노화가 빨리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요인 이외의 제요인에 대해서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1986년도 문교부 학술 연구 조성비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임.

  • PDF

쌀의 수침 시간별 제분 및 쌀가루의 특성 (Milling and Rice Flour Properties of Soaking in Water Time on Moisture Content of Rice)

  • 김형열;이병영;최중경;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75
    • /
    • 1999
  • Power consumption, mesh size, moisture content, color difference, amylogram of rice flour milled with water soaked rice were compared with that of rice using dry pin mil process. Maximum water absorbance of rice was 35% for 2.5 hr. Power consumption to mill the soaked rice was less than of dry rice by 6.9kW/100Kg. Moisture content of rice flour from the water soaked rice was 2% higher than that of rice flour from dry rice. Population of flour particle was 52.9% of 60 mesh and 32.6% of 60∼80mesh.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rice flour from the water soaked rice was 30C lower than that of rice flour from dry rice. Maximum and minimum viscosity of rice flour from the water soaked rice after boiling were 296 cps and 158 cps, independently. Brightness and whiteness of the rice flour from the water soaked rice were increased upto 10hr soaking and decreased after 17hr soaking. Brightness and whiteness of the rice flour were 96.17 and 96.02, independently.

  • PDF

습식화학법으로 제조된 티탄산 납의 형상 (Morphology of Lead Titanate Prepared by Wet Chemical Methods)

  • 최병철;이문호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
    • /
    • 1992
  • 졸겔 및 공침법으로 제조된 티탄산 납 분말의 형태를 하소온도와 하소시간의 함수로 조사하였다. 질산 납과 사염화 티탄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40-43℃ 및 9.0-9.7 pH에서 PbTiO3 전구체를 제조하였으며, 350-1000℃에서 1-10시간동안 공기중에서 이들을 히소시켰다. 하소온도와 시간의 증가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고 응집이 심화되었다. 졸겔법으로 제조된 분말을 700℃에서 히소시킬 때, 초기에 형성된 침상형 혹은 각주 형의 입자들은 하소가 진행됨에 따라 다면체형으로 변한뒤, 모서리가 둥근 다면체형 입자로 성장하였다. 공침법으로 제조된 분말은 결정화 과정중에 형태가 변화되지 않았다.

  • PDF

이불솜의 종류에 대한 유기실리콘 제4급 암모늄염의 항미생물성 효과 -목화솜, 폴리에스테르솜, 양모솜-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Organic 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 Using Cotton, Polyester, and Wool)

  • 이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3-253
    • /
    • 1995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organic 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 with which cotton, polyester, and wool were treated respectively, using Esherichia coli and Proteus bulgaris which are experimental bacteria for clothing materials. As a results, the best antimicrobial effects of organic silicon quaternary ammonium salt came out from cotton ; the next form wool ; and lower from polyester. With the changes of the temperature, the antimicrobial effect with soaking time, there was no changes with cotton after 10 minutes passed. It seemed to have reacted entirely in the early stage. The longer the soaking duration was, the higher the effect from polyester was. The effect from wool was increased until 20 minutes, but decreased after 30 minutes.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 of cotton was in the condition of liquor ratio 40:1, concentration 0.5%, soaking time 5 minutes, and temperature 3$0^{\circ}C$ ; wool was 1.5%, 20 minutes, and 6$0^{\circ}C$ ; polyester was 2.0%, 30 minutes,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changes of the effect by washing was as followings : The processing effect on cotton and wool appeared to be everlasting, since they had no changes by washing 10 times ; while, it was remarkablely decreased with polyester by washing only once, and was almost disappeared after washing 10 times, which means that polyester has no durability to washing.

  • PDF

Low-cycle fatigue behaviors of 316L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 high temperature water: Effects of pre-soaking, dissolved oxygen, and boric acid & lithium hydroxide

  • Xiong, Yida;Watanabe, Yutaka;Shibayama, Yuki;Zhong, Xiangyu;Mary, Nicolas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4권9호
    • /
    • pp.3215-3224
    • /
    • 2022
  • Latest studies found that for 316LN austenitic stainless steel (ASS), its LCF life decreased noticeably in high temperature water containing a great amount of dissolved oxygen (DO) (2 ppm DO), compared with that in the water containing 50 or 100 ppb DO. This finding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bout ASS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316L had similar behavior to 316LN. The LCF life of 316L in water containing 1000 ppb DO water was considerably shorter than that in the water containing 50 ppb DO. Addition of boric acid & lithium hydroxide and pre-soaking did not display noticeable effects on the LCF life of this material in the water with 1000 ppb DO, indicat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 latest studies and previous studies was not caused by the boric acid & lithium hydroxide and pre-soaking.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similar to 316LN, when a certain amount of DO was added into the water, the amount of hydrogen absorbed into the material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when the DO was less than 5 pp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