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 Platform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31초

확장성을 고려한 산업디자인 협력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dustrial-Design Collaborative System to Support Scalability)

  • 양진모;이승룡;전태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5호
    • /
    • pp.513-52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3D 애니메이션, 컴퓨터 게임, 산업디자인 제작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지에서 가상공간을 통해 공동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 프레임워크 설계 및 개발에 대한 경험을 기술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가지며,플랫폼에 독립적이고, 확장과 이식이 용이한 협력시스템 프레임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버는 자바로 구현하였고, 작업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확장성과 객체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산형과 중앙집중형을 혼합한 절출형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버는 작업 부하와 기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협력 준비단계를 담당하는 사용자 관리서버, 협력 작업 세션을 지원하는 세션 관리자 서버, 사용자 관리서버들간의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정보 서버로 구성하였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Windows환경에서 Visual C++로 구현하였다. 그리고, 공동 저작 도구로써 단독환경(stand-alone)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Kinetic사의 상용 3D Studio Max를 객체공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plug-in 기술을 사용하여 분산환경에서 작동하도록 확장하였으며, 채팅과 화이트보드 기능도 제공한다.

  • PDF

스키마 구조 데이타 매핑을 이용한 XML 구조변환 시스템 (An XML Structure Translation System using Schema Structure Data Mapping)

  • 송종철;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5호
    • /
    • pp.406-418
    • /
    • 2004
  • 최근의 데이타 처리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특정 단체나, 기업 내에서 상호운용에 대한 고려 없이 서로 다른 목적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도입되었던 여러 어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 등은 유연하고 빠른 처리를 위하여, 프로세스 차원에서 통합되고 연동되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추가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통합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장치 비종속적인 데이타 형식이고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문서 변환 표준인 XSLT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를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형식의 데이타로 변환이 용이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중심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XML 문서의 구조적 정보를 정의하는 XML 스키마(Schema)를 통해 데이타를 제공하는 원본(Source)측과 데이타를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Destination)측의 구조를 나타내고, 이러한 구조정보와 데이타 매핑(Mapping)을 통해 원하는 형태의 구조관계를 정의하며, 정의된 정보를 기반으로 두 구조간의 변환 규칙을 정의한 XSLT 문서를 생성하는 XML 구조 변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렇게 생성된 XSLT 문서를 통해 데이타 처리를 필요로 하는 목적 측의 구조에 맞게 데이타가 재구성 되도록 변환한다. 이렇게, 특정 시스템이나 플랫폼과 관계없이 다양한 구조의 문서를 적용할 수 있게 되고 원하는 형태로의 의미 부여가 가능한 XSLT 문서를 생성하고, 이를 통한 문서간의 변환 처리를 제공하여 데이타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및 확장성을 높이고 XML 문서처리 환경 구축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지휘통제시간을 고려한 네트워크 영향력 요소 분석 (Analysis of Network Influence Factor consider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C2 Time)

  • 전진태;박건우;이상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57-266
    • /
    • 2011
  •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각종 체계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화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합하여, 군 전쟁 수행방식은 개별 전투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 중심 전쟁(Platform Centric Warfare)에서 정밀 화력 및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중심 전쟁(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개념이 바뀌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체계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최대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의 연구는 민간분야에서는 활발히 진행 중이나, 아직까지 군 네트워크 체계 분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 과학적으로 폭 넓게 활용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방법을 군 네트워크 체계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구조적 영향력 요소를 규명한다. 이때 지휘통제시간을 효과 측정수단으로 분석하여, 이와 소셜 네트워크 분석요소와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발전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 영향력 요소를 식별하였다는데 가치가 있다.

감성분석을 이용한 온라인 체험 내 비정형데이터의 주관도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Sentiment Analyses of the Impacts of Online Experience Subjectivity on Customer Satisfaction)

  • 서예은;이상용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233-255
    • /
    • 2023
  •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도 여전히 여행에 대한 욕구와 수요가 시장에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에 대한 접근성과 유용성 및 디지털 기기의 활용도 함께 증가하였고, 비대면으로도 새로운 경험을 얻을 수 있는 '온라인 체험(Online Experience)'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AirBnB 온라인 체험 서비스에서 서비스제공자(Provider-oriented)와 서비스이용자(User-oriented)에 의해 생성된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파이썬 웹크롤러로 수집되었으며, 주요 변수인 비정형 데이터는 전처리와 감성분석을 거쳐 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주요변수인 호스트가 생성한 체험 소개글, 호스트 소개글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는 텍스트의 생성 목적에 따라 주관도(Subjectivity)가 다르게 나타나며, 체험 소개글은 주관적일수록, 호스트 소개글은 객관적일수록 고객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어비앤비 온라인 체험에 참여한 게스트가 생성한 정형 데이터는 다른 게스트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온라인 공유경제 플랫폼 이해관계자 및 온라인 체험 지식경영에 관심을 갖는 연구자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국방 NC 기반 C2 시설 I3A Framework (I3A Framework of Defense Network Centric Based C2 Facilities)

  • 김영동;이태공;박범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8호
    • /
    • pp.615-625
    • /
    • 2014
  • 국방부는 미래전에 대비하기 위한 국방 개혁안을 토대로 2010년 "군사시설 종합 발전계획(Mater Plan)"을 수립하였다. 이것은 합동성 및 3군 균형발전을 고려한 군사력 구조조정 및 군 자산관리를 위해 전국에 산재한 군사시설을 통폐합하기 위한 계획이었다. 그러나 현용 국방 군사 시설기준을 적용하여 "군사시설 종합 발전계획"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시설 기준의 부재 및 비합리적인 시설규모 산정 사례 발생으로 제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미래 전장 환경은 플랫폼(Plat form)기반에서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 기반으로 변화하면서 C4I(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 Intelligence) 체계를 이용한 지휘 통제 능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국방 정보기술(IT)과 시설이 잘 융합되어야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국방부도 시설 통폐합에 따른 지휘통제 시설의 정보통신기반과 설비의 구축을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에 맞는 정책, 설계 기준 및 운용 지침을 시급히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방 I3A Framework를 제안한다.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기 운반에 따른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during Transport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 by Barge)

  • 석준;백영수;박종천;김성용;차태형;양영준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4권3호
    • /
    • pp.196-203
    • /
    • 2017
  • In general,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 have been carried out by a jack-up barge or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In case of using jack-up barge, an additional barge is required to transport offshore wind turbines. During the transportation, barge is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ave, wind etc. So,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static and dynamic stability of the barge. In this study, funda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barge due to use the guide frame. The analysis for static stability of barge was performed under the two load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wave and those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ules. Also motion analysis was performed under the ITTC wave spectrum using buoy data and evaluated based on NORDFORSK guideline by using commercial software Maxsurf Motions.

1인용 전동휠체어의 안전 운행을 위한 지능형 통합 제어보드 기능 개선 연구 (Research of Smart Integrated Control Board Function Improvement for Personal Electric Wheelchair's Safe Driving)

  • 김진술;조영빈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507-151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1인용 스마트 전동휠체어의 보다 안전한 주행을 위한 지능형 통합 제어보드의 기능 개선 솔루션을 제안한다. 기존 국내 외의 전동휠체어 제품의 경우 안전 관련 기능 또는 장치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약자 및 장애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현 상황에서 전동휠체어가 관련된 사고의 발생 빈도 또한 지속적인 증가추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용되는 제품들에는 중고가형 이상의 전동휠체어에만 기본적인 완충작용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한계로 저가형의 제품에도 안전관련 기능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스마트 제어 플랫폼의 개발을 통해 전동휠체어 이동 중 사용자가 감지하지 못하는 장애물 또는 지형변화를 자동으로 감지 및 전동휠체어의 모터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동휠체어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전동휠체어 통합제어보드를 제시한다.

재난관리플랫폼을 이용한 도심지 건물군의 지진피해평가 (Earthquake Damage Assessment of Buildings in Urban Area using Disaster Management Platform)

  • 장성현;권동희;황찬규;최수영;최민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5-31
    • /
    • 2019
  • 지진은 물리적 특성 상 짧은 시간에 광범위한 지역에 큰 피해를 주는 만큼, 지역사회 기능 회복을 위한 복원력 관점의 지진대응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포털정보와 재난관리프로그램(Ergo-EQ)을 이용하여 시나리오지진에 의한 도심지 건물들의 지진피해를 확률론적으로 평가하였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지역의 주요 건물들에 대한 지진피해평가 수행을 위해 해당 지역의 지형데이터를 활용하고 지역의 지질 및 지반 특성을 반영한 지형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상기 건물들의 인프라 특성을 포함하는 통합데이터베이스를 Ergo-EQ 프로그램과 연동되도록 수정하고, 각 건물들에 대해 네 단계 손상수준 별 초과확률을 분석하여 각 건물의 손상도를 평가하였다. 일련의 피해분석 결과를 통해 각 건물별 지진손상도와 이의 영향 인자 특성을 확인하였다.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를 활용한 코로나19 역학조사지원시스템 사례 및 교훈 (COVID-19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Using the Smart City Data Hub: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ed)

  • 김재호;이석준;황동환;소영섭;전용주;조대연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11-218
    • /
    • 2020
  • 세계보건기구(WHO)가 3월 11일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한 이후 현재 ('20.05.29 기준) 214개 국가에서 580만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사망자는 약 36만명에 이른다. 코로나 19의 세계적 유행은 수 많은 국가와 도시의 봉쇄를 야기했고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는 보건, 교육, 정치, 종교, 경제 등 거의 모든 분야에 많은 영향을 주고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위하여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응은 국제적으로 성공적인 사례로 소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에서 코로나19 역학조사지원시스템의 개발 배경 및 과정과 함께 시스템의 기능을 소개하고 이 시스템이 아주 짧은 기간에 개발 및 실제 적용 될 수 있도록 결정적인 역할을 한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기술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사례를 기반으로 도시에서 데이터허브 등과 같은 수평적 공통 플랫폼의 미래의 도시에서 역할과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레이저광의 최대.최소 편향법을 이용한 액체의 굴절률 측정 (Measurement of Refractive Index of Liquids by the Maximum and Minimum Deviated Laser Beam)

  • 이재란;김석원;이용산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2-186
    • /
    • 2008
  • 프리즘 분광기는 굴절률 측정을 위한 표준 장치로, 대학교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실험 기구이지만, 정렬할 때 많은 주의가 요구되고 장치의 견고함에 비해 측정된 굴절률의 정확도는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최대 최소 편향법은 회전 플랫폼과 길이 측정용 테이프로 저렴하게 장치가 구성되고 넓은 스크린을 활용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굴절률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변이 26 mm인 속이 빈 등변 프리즘을 제작하여 글리세린($C_3H_5(OH)_2$), 사염화탄소($CCl_4$), 아닐린($C_6H_4NH_2$), 이황화탄소($CS_2$), 크실렌($C_6H_4(CH_3)_2$) 등의 액체를 채워, He-Ne 레이저의 파장 632.8 nm와 $YVO_4$ 레이저의 파장 532 nm에 대해 프리즘 분광기와 최대 최소법으로 이들 액체의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최대 최소법으로 얻어진 데이터가 프리즘분광기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보다 더 정확하고 정밀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