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Test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8초

화재실험을 통한 주택용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moke Detector Depending on Controlled Fire Tests)

  • 사공성호;김시국;이춘하;정종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98-103
    • /
    • 2009
  • 본 논문은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여 주택용 화재감지기로 적합한지를 분석하고자 광전식연기감지기, 아날로그연기감지기, 단독경보형연기감지기를 시험체로 선정하여 UL 268에서 정하는 화재시험방법을 응용하여 화재성상(종이화재와 인화성액체화재)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고자 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화재성상에 따라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압을 이용한 배기 흡입형 매연여과장치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moke Filtration System of Suction Type of Exhaustic Gas using Vaccum)

  • 이한성;기시우;고대권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6-21
    • /
    • 2011
  • Over the past years, many research work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govern the performance of diesel engine. The air pollutant emission from the diesel engine is still a significant environmental concern in many countries. In the present study, new system of smoke filtration of diesel engine is proposed. This new system is using vacuum equipment and filter for capture smoke. To verification new system experiments are performed at diesel vehicle and engine dynamometer. As a result it is founded that smoke is decreased of 67% at vehicle test and decrease of 45.2% at full load condition of engine dynamometer test.

휴대용 연기감도시험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moke Detector Sensitivity Test Equipment)

  • 김형권;권성필;윤헌주;사공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25-132
    • /
    • 2009
  • 본 연구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신뢰도 증진 및 국민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정밀한 점검기구의 개발에 기여하기 위해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연기감지기를 검정기술기준과 동일한 시험내용으로 현장에서 성능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시험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연기발생원으로 종이를 사용하고 히터를 40초 이내에 $400^{\circ}C$로 가열하여 시험이 가능하며, 광전식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0~25%/m 연기농도의 측정 및 제어와 Fan의 rpm조절로 20~40cm/sec의 일정풍속 제어가 가능한 현장에서 좀 더 표준화되고 정밀한 성능시험이 가능한 휴대용 연기감도시험기를 개발하였다.

분진 및 풍속에 따른 광전식연기감지기 챔버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Chamber Due to Dust and Wind Velocity)

  • 이춘하;이호성;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50-57
    • /
    • 2017
  • 본 논문은 분진 및 풍속에 따른 연기감지기 챔버의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연기감지기가 실내에 적용됨으로 인해 화재의 조기감지 측면에서는 나아졌으나, 실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생활먼지 및 환경적인 요건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부작동 및 오작동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진 및 풍속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실내적응성을 연구하기 위해 연기챔버의 형태 및 구조가 다른 4종류의 광전식연기감지기를 실험대상으로 하고, 플라이애시, 활석가루 그리고 섬유분진(흑채가루)을 실험시료로 하여 분진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연기챔버 내의 오염도에 따른 응답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분진시험 풍속을 0.25 m/s, 0.5 m/s, 1.0 m/s로 설정하여 인가하였다. 실험결과 플라이애시 및 활석가루, 섬유분진의 경우 분진시험 기준풍속조건인 0.25 m/s에서는 분진인가 후 작동시험 및 부작동시험에서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혹풍속조건인 0.5 m/s 및 1.0 m/s에서는 플라이애시 및 활석가루의 경우 부작동시험에서 비화재보인 오작동이 나타났고, 섬유분진의 경우 작동시험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부작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의 현장실험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 Field Test for a Smoke Control System Using Sandwich Pressurization)

  • 김정엽;안찬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87-92
    • /
    • 2016
  • 국내에서는 고층 및 복합 건축물이 다수 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화재시 실효성 있는 연기대응 기술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으며, 고층 건축물에서 제연설비에 대한 대안으로서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은 연기확산 방지와 원할한 피난환경 제공을 위해서 적정 층간차압과 이를 위한 급배기 풍량의 설계에 관한 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샌드위치 가압을 이용하는 연기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실제 건축물에서 수행한 현장실험의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험에서 화재층의 배기풍량과 상하부층의 급기풍량으로 시간당 6회의 환기횟수를 적용하였으며, 시스템 가동으로 화재층인 12층과 그 상부층인 13층 사이에 약 260 Pa의 압력차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압력차 형성은 피난 및 방화구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할로겐이 없는 저연성 폴리올레핀에 관한 연구 (Study on Halogen Free Low Smoke Polyolefin)

  • 김영두;정광수;김태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7권3호
    • /
    • pp.177-182
    • /
    • 2002
  •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low smoke type의 난연 polyolefin(halogen free)계 컴파운드의 최적 배합을 구현하기 위해 LDPE, EVA, EEA를 수지로 하고 상용화제로 MAH-graft-PE를 이용하였으며, 난연제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과 적린을 사용하여 변량 시험을 하였다. 물성은 상온 인장강도, 신장율과 노화후 인장신장 잔율을 기본으로 smoke density 산소 지수 시험을 하였고, 난연성은 UL-94로 확인하였으며,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알루미늄의 대표 배합을 SEM 촬영하여 분산구조를 확인하였다. HCI 함량 시험을 하여 halogen content를 확인하였다. 또한 halogen free로 난연성(UL-94, V-0)과 저연성을 만족하는 2종의 배합을 도출해 냄으로서 여러 가지 용도로서의 전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터널내 화재시 PIV를 이용한 연기제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Control using PIV in Tunnel Fires)

  • 고재웅;김종윤;서태범;임경범;이동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11
    • /
    • 2006
  • This study aims to measure a smoke density and velocity by using the PIV method in case a fire occurs in tunnels. By doing so, this will estimate a critical velocity, examine its appropriateness, and present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designing a smoke control equipment. For this study, a visualization test was conducted based on the 1/20 miniature of a real tunnel according to the Froude scaling. As a part of basic experiments, a correlation between smoke density and brightness was analyzed here, and a critical velocity was estimated on the condition that a fire breaks out in tunnels.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moke density and brightness within a range of 100% to 30% transmittance, from which a quantitative smoke density can be obtained.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a critical velocity calculated from the Kennedy formula shows about 10% difference from that estimated in the test.

방연마스크에 대한 사용자 인식, 인증 현황 및 착용성 조사 (Investigation on Users' Perception and Certification Status and Donning of Smoke Masks)

  • 손현우;박영은;이응우;김은지;최영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68-73
    • /
    • 2023
  •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화재 대피용 방연마스크에 대한 관심과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시중에 유통되는 방연마스크의 성능 인증 여부와 일반인들이 방연마스크를 적절하게 착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조사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방연마스크가 화재 현장에서 피난안전성을 실제로 높일 수 있는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방연마스크에 대한 일반 사용자의 인식 현황 및 사용 경험을 조사하고, 교육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유통 중인 방연마스크 제품들이 국내외 성능 기준에 따라 인증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아울러 실험을 통해 방연마스크의 착용 신속성 및 활동 편의성을 평가하였다. 235명의 응답자 중 방연마스크를 실제 사용해 본 응답자는 22%에 그치고, 23%는 방연마스크를 모름에도 불구하고, 93%의 응답자는 방연마스크가 화재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기대했다. 국내에서 유통 중인 54개의 방연마스크 중 약 41%의 제품이 성능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국내외 다양한 성능 기준들 중에서 ASTM E 2952 및 KFIS 024만 방연마스크의 착용 신속성을 30초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4가지 형태의 방연마스크를 대상으로 착용 신속성을 실험한 결과, 후드형 방연마스크와 자급식 방연마스크는 30초 이내로 착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정화식 방연마스크에 비해 자급식 방연마스크를 착용하면,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심리적/물리적 불편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방연마스크의 착용 교육을 받은 경우, 착용 시간은 약 19%, 오착용 횟수는 약 89% 감소하여, 적절한 착용 교육과 훈련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페놀 폼 단열재의 연기밀도 및 가스유해성 평가 (Evaluation of Smoke Density and Noxious Gas for Phenol Foam Insulation)

  • 박형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43
    • /
    • 2010
  • The smoke density and noxious gas for phenol foam and polyurethane foam were measured according to test methods in ASTM E 662 and KS F 2271. It was observed that phenol foam ha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for sandwich panel and board compared with polyurethane foam. In the experimental results, phenol foam showed comparatively excellent property than polyurethane foam in smoke density and noxious gas. The polyurethane foam showed comparatively high smoke density and didn't meet the evaluation standard of noxious gas in KS F 2271.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smoke density and noxious gas, it can be said that phenol foam has both comparatively good safety and high possibility of application than polyurethane foam in the building fire of sandwich panel structure because of lower smoke density and noxious gas.

매연저감을 위한 천연가스 Dual-Fuel 엔진의 시내버스 적용평가 (The Evaluation on Smoke Reduction by Natural Gas Dual Fuel Engine for City Bus)

  • 엄명도;조강래;오용석;한영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5-220
    • /
    • 1997
  • CNG dual fuel engine for heavy duty diesel engine developed by AFS International in Canada has been equipped to a Korean city bus engine and tested to compare the engine performance an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with the existing diesel fueled engine. Also the dual-fuel engine was applied to the city bus for road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Performance optimization has been carried out to have engine power equivalent to or better than the diesel fueled engine. Smoke is decreased by 85% by Korean smoke 3 mode test. By 13 mode test CO is increased by 453% and THC is increased by 2, 086%. NOx is decreased by 7% in laboratory. D-13 test mode was changed in 1996 Korean regulation. Even though THC is increased very much, it's not too serious problem since CO and HC emission of diesel engine is very little compared to gasoline engine and more than 75% of THC is CH$_4$. But the reduction technologies of CO and HC has to be consid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