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oke Removal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7초

대와류모사를 이용한 연기이동의 연구 I. 제연방식과 배기풍량 (A Study on Smoke Movement by Using Large Eddy Simulation I. Smoke Control Systems and Extraction Flowrate)

  • 박외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0-45
    • /
    • 2003
  • To evaluate the smoke control systems, the large eddy simulation turbulence model based Fire Dynamics Simulate was applied to a 2m $\times$ 2m $\times$ 2.4m room with an opening. The smoke removal rate was investigated for three different smoke control systems: ventilation, extraction and pressurization. When the opening was closed, the smoke removal rates of the smoke control systems were almost the same as expected. The pressurization system showed a lower smoke removal rate compared with the other two smoke control systems for the room with the opening, and hence the pressurization system might not be efficient for a place with large openings. It was shown that the lower extraction flowrate is, the longer time the ventilation system requires to remove smoke. From these results, the ventilation system is recommended for subway stations where several large openings exist.

대와류모사를 이용한 연기이동의 연구 II. 제연방식과 개구부의 크기 (A Study on Smoke Movement by Using Large Eddy Simulation II. Smoke Control Systems and Opening Size)

  • 박외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38
    • /
    • 2003
  • The large eddy simulation based Fire Dynamics Simulator wa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ize of an opening on smoke removal performance for the three smoke control systems-ventilation purge, and extraction. Three different opening sizes, $r_A$=1, 2, and 3 were investigated while the flow rate remained 0.75 $m^3/s$ at the inlet or outlet depending on the systems. Increase of the opening size did not gi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moke removal rate for the three smoke control systems, though the increasing opening size slightly improved smoke removal. The extraction system was shown the best smoke control system, and the purge system yielded low performance compared to the other two systems for all the different opening sizes.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플랜트 시설물 제연설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oke Removal Equipment in Plant Facilities Using Simulation)

  • 최두찬;양민혁;고민혁;오수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40-46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플랜트 시설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연경계벽의 폭 및 제연설비의 유무와 피난 안전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제연경계 벽의 폭, 수직거리에 따른 급기량, 배기량의 변화를 통해 피난 안전성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도의 경우 경계벽 0.6m 만을 사용한 경우 5m 이하로 되는 시점이 가장 짧게 도달하였으며 제연경계 폭 1.2m와 제연설비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0%긴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의 경우 제연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경계 폭만 사용하였을 때 0.6m 보다 1.2m가 20%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제연 경계벽에서는 온도를, 제연설비에서는 가시도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나, 반대로 제연 경계벽의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 가시도의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제연설비를 설치하였을 때 온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정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제연계획과 제연 설비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판용 TiO2 광촉매의 doping 성분에 따른 비주류 담배연기의 유해물질 제거효율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Substances in Side-stream Tobacco Smoke by the Doping Components of Commercial TiO2 Photocatalysts)

  • 김태영;조영태;문기학;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8권5호
    • /
    • pp.565-570
    • /
    • 2017
  • 흡연으로 발생되는 담배연기는 주류 연기와 비주류 연기로 구분된다. 담배연기 중 실내로 확산되는 연기의 대부분은 비주류 연기이며, 비주류 연기의 유해물질 농도는 주류 연기의 농도보다 2~3배 높다. 본 연구에서는 $TiO_2$ 광촉매의 doping 성분에 따른 비주류 담배연기 내의 CO, $H_2S$, $NH_3$, HCHO의 제거 효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CO가 최대 78.37% 제거되었으며, $TiO_2$ 광촉매 공정이 CO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O, $H_2S$, HCHO의 제거에 있어서 $TiO_2$ 광촉매에 doping된 O, Si 성분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다. 결론적으로, doping된 O, Si 성분이 많을수록 유해물질 제거효율이 높다.

제연방식과 풍량에 따른 제연성능의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Smoke Control for Smoke Control Systems and Air Flowrate)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6-61
    • /
    • 2003
  • 제연방식과 풍량에 따른 실내에 유입된 연기의 제연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Fire Dynamics Simulator의 대와류모사를 사용하였다. 급기구와 배기구, 개구부가 있는 크기 2m X 2m X 2.4m의 실내에 급기방식과 배기방식, 급배기방식의 제연설비를 각각 가동했을 때 실내에 무작위로 분포한 입자의 감소율을 조사하였고, 급배기방식에서 풍량에 따른 입자의 감소율을 비교하였다. 세가지 제연방식 중 배기방식과 급배기방식은 제연성능에 차이가 없었으나, 개구부가 있는 경우에는 급기방식이 다른 두 제연방식에 비해 제연성능이 떨어졌다. 또 급배기방식에서 풍량이 감소하면 제연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대형 개구부가 많은 지하철역 등에는 급기방식 대신에 급배기방식 또는 배기방식의 제연설비를 사용해야하며, 신속하게 연기를 배출하기 위해 풍량을 높게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분무수 분사의 제연효과 (Smoke Removal Effect by Water Mist Spraying)

  • 박태성;공하성;김명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43-47
    • /
    • 2015
  • 구획된 소규모 공간내부에 각 경우별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가연물로부터 발생된 연기(smoke)를 채운 후 미분무 헤더를 통해 분사압력과 분사시간을 서로 달리하면서 미분무를 분사하였으며, 이후 시간경과에 따른 광소멸상수의 변화 값을 측정하였다. 미분무가 구획된 공간내부에서 분사될 경우 각각의 실험조건에 따른 연기제거효과의 패턴과 차이점은 감광식 연기농도계를 통해 고찰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감광식 연기농도계를 통해 시간변화에 따른 연기밀도의 변화값을 직류전압(DC voltage)의 변화값으로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서 광소멸상수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훈소(glowing)에서 발생한 연기가 불꽃연소(flaming combustion)에서 발생한 연기보다 연기의 제거효과가 컸으며, 분사압력이 높을수록, 분사시간이 길수록 연기제거효과는 크게 나타났다.

흡착제 세공 특성이 담배연기성분 제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sorbent Pore Characteristics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Smoke Components.)

  • 이영택;김영호;신창호;임광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7-93
    • /
    • 1992
  •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some adsorbents for the organic solvents and gas phase of smoke was investigated. 1. Specific surface area of activated carbon increased to 1900 mfg with increased activation time. 2. Adsorption efficiency of benzene and acetone increased with increasing total surface area. Adsorption capacity for gas phase such as hydrogen cyanide, aldehyde was proportional to the micro pore surface area under 20A. 3. The removal efficiency of particulate matter of smoke was higher with the adsorbents of relatively higher pore size compared to that of micro pore.

  • PDF

대구 지하철역 제연의 문제점과 대책 II. 배기방식 제연설비의 풍량 (A Numerical Simulation of Smoke Control in Daegu Subway Stations II. Air Flowrate of Extraction System)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5-110
    • /
    • 2003
  • II부에서는 I부에서 3가지 기계제연방식 중에서 가장제연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배기방식의 풍량 0.6∼2.4 ㎥/s와 두 화재크기 200 ㎾와 2 ㎿에 대한 공간내 온도와 연기입자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I 부와 동일한 수치법을 동일한 계산영역에 적용한 결과, 배기풍량은 제연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화재크기에서 풍량의 증가가 제연성능을 개선하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주어진 조건에서 대피로의 온도를 $60^{\circ}C$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2.4 ㎥/s 이상의 배기풍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통한 열차 승강장 화재시 최적 제연모드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smoke control mode in train platform through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 이보훈;홍서희;백두산;이호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39-552
    • /
    • 2022
  • 열차 정거장의 경우 연기배출이 제한된 지하공간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적절한 제연 설비가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화재 발생시 화재연기로 인한 피해가 확대될 우려가 있다. 이에 지하 정거장의 대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의 필요성이 부각되었으며, 화재시 승강장 이용객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열차 승강장에는 제연 경계벽과 PSD (Platform Screen Door)등에 의해 제연구역을 구획하여 제연설비를 설치하고 있으나, 화재시 제연구역별 제연방법(급기 또는 배기) 즉, 제연모드에 관한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차 정거장 화재시 제연모드에 따른 화재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화재해석 및 대피해석을 수행하여 사망자수를 추정하고 F/N선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적 제연모드를 검토한 결과, 화재 구역 배기 및 인접구역 급기인 경우에 총 위험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화재 현장 영상에서 연기 영역을 제외한 이미지 기반 불의 영역 검출 기법 (Image-based fire area segmentation method by removing the smoke area from the fire scene videos)

  • 김승남;최명진;김선정;김창헌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23-3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불이 비슷한 색의 연기로 둘러싸여 있더라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 불 영역 검출 알고리즘들은 화재 이미지에서 불과 연기를 잘 분리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불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전에 전처리 과정으로써 색상 보정 기법과 안개 제거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성공적으로 불을 연기로부터 분리해냈다. 실제로 연기로 뒤덮인 화재 현장의 이미지들에서 기존 기법들보다 불을 더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안한 화재 검출 알고리즘을 공장, 가정 등에서 효율적인 화재 탐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