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addiction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5초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 이은지;김윤경;임수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525-53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parent-child bonding, parent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83 middle school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pril to May,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Ver. 21.0. Results: The mean score for smartphone addiction was 29.40. Of the adolescents, 21.3% were in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OR=7.09, 95% Cl: 2.57~19.52), school life (OR=0.86, 95% Cl: 0.79~0.93), smartphone usage time (OR=1.32, 95% Cl: 1.04~1.66), and parental control (OR=4.70, 95% Cl: 1.04~21.29) were effect factors for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school satisfaction was an important factor i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Control oriented parent management of adolescents' smartphone use did not reduce the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may have worsen the addiction.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and parents will manage their adolescents' use of smartphones.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 권명순;한숙정;연영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99-41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스마트폰 중독 중재들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선정기준에는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중재, 스마트폰 중독, 우울, 불안, 자기 통제, 스마트폰 사용시간 등이 포함되었다. 총 915개의 논문이 추출되었고, 최종적으로 13개의 논문에서 15개의 중재연구가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d = -1.57, 95 % CI : -2.84, -0.30), 우울(d = -3.73, 95 % CI : -4.97, -2.48) 및 자기통제(d= 7.28, 95 % CI : 2.76, 11.79)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나 불안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추후 대상자의 문화적 특성 등을 고려한 잘 설계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Exploring the Rel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and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Trunk, and Upper Limbs: A Cross-sectional Study

  • Yixin Wang;Ye-Jin Kim;Kyeong-Ah Moon;Joo-Hee Park;Hye-Seon Jeon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20
    • /
    • 2023
  • Background: Smartphone addiction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social problem. Numerous studies have indic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martphone use and discomfort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upper extremities. Objects: This cross-sectional survey ai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trunk, and upper limbs between individuals with smartphone addiction and those without addiction. Methods: We collected a total of 326 healthy individuals' data from China and Korea who had owned and used smartphones for more than 5 years between 20-50s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84 questions in four major sections. The first part contained basic information on the participa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martphones. The second part contained questions about smartphone use and posture. The third part was the smartphone addiction. The fourth part was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pain in various upper body parts. Results: Smartphone addiction ha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r = -0.20, p < 0.01) an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ours of smartphone use (r = 0.376, p < 0.01). Frequent musculoskeletal pain symptoms related to smartphone use were observed in the neck, shoulder, lower back, and wrists. The hours of smartphone use was sligh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shoulder (r = 0.162, p < 0.05) and lower back (r = 0.125, p < 0.05).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χ2 = 3.993, p < 0.05), shoulder (χ2 = 6.465, p < 0.05), and wrist (χ2 = 4.645, p < 0.05)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females than mal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martphone addic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dual concern encompassing both physical health and psychosocial aspects. Furthermore, healthcare professionals, including physicians and physical therapists, should consider clients' smartphone usage patterns when assessing and treating with musculoskeletal pain.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성별 차이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관련 주요 요인 분석 (Analysis of Major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추연기;배원식;김해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5-143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major factor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Methods : 720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agre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Smartphone addiction was measured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hort Version (SAS-SV),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xiety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assessment anxiety scale (SAS), and depression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self-assessment depression scale (SDS). In addition, the age of each individual and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p<.05), while male students mainly played games and female students mainly used multimedia (video/music) viewing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p<.05). In addition, male students showed a high associ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in the group where games were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the group with low sleep quality, and the group with anxiety symptoms (p<.05), but for female students, multimedia (video/music) Or, the group in which social networking service is the main function of smartphone use, the group with low sleep quality, and the group with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p<.05).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roviding customized solu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addicts.

청소년 도박중독 판별요인 분석 :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riminating Factors of Adolescents' Gambling Addiction: Focusing on Irrational Belief of Gambling, Impulsive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 김성봉;장정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30-636
    • /
    • 2016
  • 본 연구는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의 도박중독 여부(비중독군, 중독위험군)를 판별하는데 주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42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박중독 여부에 따라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하였으며,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이 도박중독 여부를 어느 정도 판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도박중독 여부에 따라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세 변인 모두 중독위험군이 비중독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은 중독위험군과 비중독군을 판별하는 유의한 설명변인임이 드러났다. 그리고 이들 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가장 중요도가 높았으며, 다음으로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루어진 판별함수가 62.5%의 적중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박중독 여부와 관련 있는 특성을 밝힘에 따라 향후 청소년 도박중독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Intervene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 황재인;신재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3-3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이 최근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감소에 효과적인가를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독현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심리치료에 효과성이 검증된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기존에 개발된 인터넷중독 개입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중독 개입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은 비합리적인 사고와 습관적 행동으로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은 일상생활장애, 내성과 같은 스마트폰 중독의 부정적 요인들에 대한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아동·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 고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9-54
    • /
    • 2020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문제인식을 토대로 이러한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량 보급으로 현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은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파급된 아동·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청소년의 성격, 사회성, 대인관계, 우울증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중독의 문제를 아동·청소년들 당사자들의 특성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게 만드는 아동·청소년의 환경, 즉 학업스트레스, 가정불화, 또래간의 관계 등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아동·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들이 아동·청소년에게 끼치는 영향과 더 나아가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몇 가지 스마트폰 중독 예방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장애인 스마트폰 중독 실태 연구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Disabled)

  • 서보경;김인혜;남길우;권미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7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중독 특성을 알아보고 장애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20~59세 총49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스마트폰중독위험군 비율은 12.55%였다. 장애인의 스마트폰, 모바일메신저, SNS 및 게임 사용시간은 2015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의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위험군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중독에 관한 인식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2/3 정도가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중독관련 상담기관을 알고는 있었으나, 실제 도움을 받을 의향이 있는 사람은 그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 홍보와 장애인을 위한 제도적, 구조적 기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 Kim, Kyung 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73-1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스마트폰의 건전한 이용을 장려하는 데 유용한 기초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 공격성,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광역시 5개 대학교 재학생 집단으로부터 회수된 설문지 332부를 통계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통제력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격성의 하위요인 중 분노성향은 스마트폰 중독을 높이는 반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사회체험은 스마트폰 중독을 낮추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91-400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240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수준, 스트레스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chi}^2$-test, ANOVA분석을 하였고,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 특성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델 1의 독립변수 설명력은 14.8%이었으며, 모델 2의 설명력은 32.7%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수준의 차이에서는 성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았으며, 대학생활에 만족하지 않는 군,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5시간 이상인 군, SNS 사용시간이 많은 군에서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 특성과의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스트레스 특성의 평균이 높았으며, 대학생활에 만족하지 않는군,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은 군,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여학생, 스마트폰 사용시간, SNS 사용시간, 학업스트레스, 가치관스트레스가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