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Usage Time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6초

사용자 성향에 따른 스마트폰 품질특성 분석 (Analysis of Smartphone Quality Attributes According to User Tendency)

  • 박종훈;이상천;홍정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53-164
    • /
    • 2019
  • Since the appearance of smartphones, the smartphone market has been in fierce completion by new technologies and marketing trends. The smartphone market is now somewhat saturated, and the manufacturers are trying to improve their position in the market through the repurchase of existing customers and the influx of competitors. At the same time, customers have their own purchasing criteria for smartphones. Therefore, manufacturers need to determine new technology and marketing trends based on customer purchasing trends and usage characteristic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attributes of smartphones. We conducted a survey on 220 respondents, and divided the respondents into several groups by purchasing trends and usage characteristic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groups are analyzed and compared based on the Kano model for the quality attributes of smartphone. The analys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ly, purchasing trends divide responders into groups that prefers high-end premium smartphones and those that take into account practicality in terms of purchasing trends. Secondly, usage characteristic divide responders into three groups: those with clear usage pattern, those who prefer ease of use, and the rest, and we find out that those with clear usage pattern are important customer in viral marketing. Lastly, Kano analysis is revealed the 'Slow/hi-speed camera', 'Private mode', 'Widget', 'Health care' are attractive quality attributes.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 권명순;한숙정;연영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99-41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스마트폰 중독 중재들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선정기준에는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중재, 스마트폰 중독, 우울, 불안, 자기 통제, 스마트폰 사용시간 등이 포함되었다. 총 915개의 논문이 추출되었고, 최종적으로 13개의 논문에서 15개의 중재연구가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d = -1.57, 95 % CI : -2.84, -0.30), 우울(d = -3.73, 95 % CI : -4.97, -2.48) 및 자기통제(d= 7.28, 95 % CI : 2.76, 11.79)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나 불안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추후 대상자의 문화적 특성 등을 고려한 잘 설계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Neck Pain and Functioning in Daily Activities Associated with Smartphone Usage

  • Lee, Hae-ju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8권3호
    • /
    • pp.183-188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neck posture, range of motion, muscle endurance and self-report of pain and disability in smartphone users. Methods: Seventy-eight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ged between 18 and 30 years (mean age 23.2), were assessed for: a head-neck posture by measuring cranial vertical angle, neck range of motions using cervical range of motion device, and a deep neck flexor endurance using a stabilizer. Finally, subjects were asked about their neck pain and completed disability questionnaires, ie, Short 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Neck Disability Index,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 Results: Thirty-eight subjects experienced recurrent neck pain with/without upper limb pain (neck pain group) and 40 reported no current neck pain with/without upper limb pain (no neck pain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on pain and disability questionnaires. Subjects with neck pain had significantly higher disability scores than those of no neck pain group.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groups in a head-neck posture, neck range of motions, and deep neck muscle endurance time. The smartphone usage tim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ck pain intensity and disability score whereas it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flexibility and posture. Conclusion: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as lower capacity not only for neck specific daily activities but for general functioning in daily routine when the neck pain and no neck pain groups were compared. Therefore, functioning in daily activities should be investigated as prevention for further developing neck pain in smartphone users.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Influences of Smartphone Overuse on Health and Academic Impairment in Adolescents :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7)

  • 문종훈;전민재;송이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7-186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과사용이 청소년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도에 시행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는 청소년(중학생과 고등학생) 64,991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62,276명이 조사에 참여해 참여율 95.8%를 나타냈다. 연구자는 SPSS 2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 검정, 카이제곱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62,276명 중 54,603명으로 87.7%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목적은 메신저(1순위, 27.3%), SNS(2순위, 18.7%), 게임(3순위, 13.3%)으로 나타났다. 하루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206.68±194.73분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206분 이상인 학생은 206분 미만인 학생보다 건강과 학업수행에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학업능력은 약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r=.245).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량이 높을수록 건강수준과 학업능력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고 저자는 이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부모양육태도 및 적응유연성과의 관계 -G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ITs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Addi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Resilience on Adolescents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 city-)

  • 김경하;노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82-590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부모양육태도 및 적응유연성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자료는 G 광역시 중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독립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acute{e}}$ 사후검증,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과의 사이에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 부모 양육태도, 적응유연성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21.9% 설명하고 있으며, 이 중 부모양육태도(${\beta}=-.241$, p<.001)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성별, 스마트폰 사용시간, 적응유연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이 부모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적응유연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Effects of Screen Time on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South Korea

  • Iyeon Kim;Sangha Lee;Su-Jin Yang;Donghee Kim;Hyojin Kim;Yunmi Sh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3호
    • /
    • pp.175-180
    • /
    • 2023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led to a decrease in face-to-face classes worldwide, affecting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global pandemic has increased children's overall use of electronic media.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hildren's screen time on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A total of 186 parents from Suwon, South Korea,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an online survey. The mean age of the children was 10.14 years old, and 44.1% were female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children's screen time, problematic behaviors, and parental stress.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ere evaluated using the Behavior Problem Index, whereas the Parental Stress Scale was used to estimate parental stress. Results: The mean smartphone usage frequency of the children was 5.35 days per week, and the mean smartphone screen time was 3.52 hours per day. Smartphone screen time (Z=4.49, p<0.001) and usage frequency (Z=2.75, p=0.006)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scores.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stress on this relationship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49, p=0.045,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smartphone screen time has affected problematic behavi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rthermore, parental stress i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creen time and problematic behaviors.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시간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Using Time among Korean Adolescents)

  • 이인숙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martphone using time, troubles with smartphone usage,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adolescent smartphone use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54,603 subjects aged 13 to 18 years in the 2017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Results: The study analyzed the school type, academic achievement, residence type, weekly average allowance, and usual counselor, perceived stress, happiness, and depression of th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ble of troubles experienced by the smartphone user. Multiple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dolesc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weekday, weekend OR = 1.78, 1.65), low economic status (weekday, weekend OR = 1.17, 1.37), friends with distress counselors (weekday, weekend OR = 1.29, 1.24), weekly average allowance (weekday, weekend OR = 1.85, 1.50), stressed (weekend OR = 1.25), depressed (weekday, weekend OR = 1.26, 1.14), family troubles (weekday, weekend OR = 1.14, 1.15), friendship troubles (weekday, weekend OR = 1.70, 1.38), and academic performance troubles (weekday, weekend OR = 1.28, 1.38) spent more than the average using time on their smartphones. Conclusion: To prevent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use among adolescents,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relieves stress and lowers depression should be developed.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류세인;조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80-6189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는 4개 초등학교의 학생 263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4년 7월에 이루어졌으며,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비중독군이 84.0%, 중독위험군은 16.0%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 스마트폰 중독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특성은 학년, 동거가족, 경제적 수준, 성적, 사용동기, 사용시 좋은 점 및 사용시간이었다(p<.05). 스마트폰 중독은 충동성(r=.496, p<.001), 일상 스트레스(r=.471, p<.001)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부모의 양육태도(r=-.375, p<.001), 자아존중감(r=-.444, p<.001)과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충동성이 높을수록, 일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정도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초기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고 초기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따른 안구온도 변화와 눈의 피로도 분석 (Analysis of Eye Fatigue and Change of Eye Temperature according to Smartphone Usage Time)

  • 한선희;김봉환;김형수;정재완;박지애;김치환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94-1599
    • /
    • 2022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eye temperature and eye fatigue according to smartphone usage time. Methods. 15 adults in their 20s were asked to watch a smartphone, and the ocular surface temperature was measured 5 times each using a non-contact infrared thermometer every 10 minutes, and the change was observed. Result. The ocular surface temperature was 36.40℃ at the center of the cornea before watching the smartphone, but increased by 0.19℃ to 36.59℃ after watching the smartphone (SD 36.50±0.10).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clera,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was 0.1℃ from 36.48℃ before viewing to 36.58℃ after viewing (SD 36.53±0.05).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changes in eye temperature.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the ocular surface temperature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objectively evaluate eye fatigue.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증가 예측요인 (Factors Predicting Increased Usage Hours of Smartphone among Adolescents)

  • 박정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3201-3209
    • /
    • 2018
  • 청소년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성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의존이나 중독의 위험과도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목적과 주요상담자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증가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원인을 이해하고 원인에 따라 올바르게 교육하고 대처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참여자 중 스마트폰 사용자 54,601명의 자료를 복합표본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주당 평균 28.06시간이었고, 유용성, 오락성, 사교성의 사용목적 순서로 평균사용시간 비율이 증가하였다. 사교성 목적의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시간이 평균이상인 비율이 가장 많았고, 유용성 목적보다 사용시간증가의 위험이 2.19배 높았다. 주요상담자가 또래집단인 경우, 부모인 경우에 비해 사용시간증가의 위험은 1.43배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순히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원인을 파악하여 교육하고 대처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