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Overus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청소년의 SNS 이용실태 및 학습도구로써의 활용방안 (SNS Utilization of Youth and Use as a Learning Tool)

  • 강현주;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3-101
    • /
    • 2020
  • Korea, as a leader of Internet and game sector in IT industry,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its industrial development. This country has won the first place in wireless broadband usage and contributed to Internet game industry development. This means that Korean use smartphones most. It is juveniles that use Internet and smartphones most among Korean who use teenage., the number of the teenagers who overuse smartphones or Internet has surpassed 200,000. The number of the adolescents who spend more time using smartphone and Internet is about 180,000 and the number of the teens who are over-dependent to smartphone having trouble living their lives is over 22,000. The SNS usage rate of the contents that teens are most likely to use has accounted for over 80 percent. Among teens, SNS is being considered as a major means that builds relationship due to smartphone technology and the prevalence of smartphones. However, the use of SNS among youths has two sides; one is positive, the other negative. Not only does SNS have a positive function that it keeps relationship but it also has a negative function that it can lead to smartphone addiction.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Intervene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 황재인;신재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3-3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이 최근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감소에 효과적인가를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독현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심리치료에 효과성이 검증된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기존에 개발된 인터넷중독 개입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중독 개입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은 비합리적인 사고와 습관적 행동으로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은 일상생활장애, 내성과 같은 스마트폰 중독의 부정적 요인들에 대한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인터넷, 게임, 스마트폰 과사용 선별 질문지의 청소년 대상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Internet, Game, and Smartphone Overuse Screening Questionnaires on Adolescent Sample)

  • 박경우;장혜인;전홍진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3호
    • /
    • pp.317-34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과사용 여부를 측정하는 인터넷(IOS-Q), 게임(GOS-Q), 스마트폰(SOS-Q) 과사용 선별 질문지를 대규모 일반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여, 선별검사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 도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9,336명의 중학생(남 4,796명, 여 4,540명)을 두 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타 지역에서 모집된 초등학생 4,536명(남 2,260명, 여 2,276명) 및 중학생 6,551명(남 3,013명, 여 3,538명)을 대상으로 한 번 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세척도 모두 네 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IOS-Q는 17문항, GOS-Q는 19문항, SOS-Q는 18문항을 포함하였다. IOS-Q와 GOS-Q의 하위요인은 심리적 의존, 문제를 인식함에도 조절실패, 위험한 사용, 다른 영역에의 흥미 감소로 명명되었고, SOS-Q의 경우 위험하고 강박적인 사용, 문제를 인식함에도 조절실패, 다른 영역에의 흥미 감소, 금단/내성으로 명명되었다. 이들은 모두 행동중독이나 충동조절장애의 주요 특징들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내적 합치도 역시 .880-.915로 우수한 편이었다. 이어서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절단점을 탐색하고자 잠재프로파일분석과 ROC 분석을 실시하였고, IOS-Q 30.5점, GOS-Q 31.5점, SOS-Q는 36.5점이 최적 절단점으로 제안되었다. 끝으로 연구 의의와 한계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수로 (The Influence of Excessive Use of Smartphone on School Adaptation of Among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control)

  • 김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79-494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학교적응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건전한 스마트폰 이용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지역에 위치한 초·중·고등학생들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학생 9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총 891부가 수거되었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 25부를 제외한 86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는 SPSS 20.0과 Amos 18.0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학교적응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는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자기통제력의 관계에서도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통제력 모두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 및 자기통제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통제력을 확대시키고, 가족관계의 친밀성과 상호지지를 확장하면서 사회적 지지체계를 확고히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생들의 긴장성 두통 유무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전방 머리 자세, 삶의 질, 두통 영향 및 두통 장애 지수 비교 (Comparison of Smartphone Addiction, Anterior Head Posture, Quality of Life, and Headache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nsion Headaches in College Students)

  • 김치환;이동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7-123
    • /
    • 2020
  • Purpose : VDT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can affect individuals who monitor or who work or play using video screens, including those of smartphones. In general, headache symptoms from overuse of these screens can appear due to eye fatigue, muscle pain in the joints of wrists or fingers, and muscle pain in the neck or shoulders. Many studies in the literature have supported standards that seek to prevent these symptoms. The incidenc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caused by the use of smartphones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particularly among children and young adults, and these diseases are expected to develop into a societal probl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tension headaches that develop from smartphone usage can affect forward neck posture, neck pain, and quality of life. Methods : A total of 93 students from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divided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those with tension headaches (n = 25) and those without (n = 68) and took forward neck measurements. Headach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riteria from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and involved bilateral headache position, quality of pressing or tightening pain, mild or moderate pain intensity, and none due to daily physical activity. We surveyed participants using the smartphone addiction diagnosis questionnaire,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the Headache Impact Test (HIT-6), and th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Results : Although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nsion headaches due to smartphone addiction diagnosis (p = 0.25), SF-36 life quality assessment (p = 0.06), and cranio-vertebral angle (p = 0.07),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HIT-6 and the NDI (p <.05). Conclusion : Tension headaches are not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quality of life, and forward neck angle but do have a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cervical dysfunction and the effects of the headaches.

Neural activity during simple visual imagery compared with mental rotation imagery in young adults with smartphone overuse

  • Hwang, Sujin;Lee, Jeong-Weon;Ahn, Si-Na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4호
    • /
    • pp.164-169
    • /
    • 2017
  • Objectiv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ple visual imagery and mental rotation imagery on neural activity of adults who are at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by measuring their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 people with a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was selected and then were evaluated for their neural activation patterns using EEG after reminding them about simple visual imagery and mental rotation imagery. A simple visual image was applied for 20 seconds using a smartphone. This was followed by a resting period of 20 seconds. Mental rotation imagery was applied for 20 seconds. During mental rotation imagery, the rotational angle was selected at random. We compared activ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analyzed EEG with hemisphere reminding them about imagery. Results: On the EEG, theta rhythm from the left hemisphere parietal area increased when the subjects were reminded of mental rotation imagery, and sensorimotor rhythm from close to the left hemisphere area increased when the subjects were reminded of simple visual imagery. Conclusions: Neural activation from the left hemisphere occurs for motor imagery in adults who are at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identify a neural mechanism of adults who a have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which may provid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tor rehabilitation for smartphone users.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이 스마트폰 과다 사용하는 간호대학생의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ervical Stretching Program on Pain, Fatigue and Range of Mo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verusing Smartphones)

  • 강문정;김남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241-24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이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으로 발생하는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하는 간호대학생 실험군(n=25), 대조군(n=27)을 대상으로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 적용 전 후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는 기술통계와 추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경부통증, 피로, 관절운동범위에 대한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의 효과는 독립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에게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 적용 후 경부통증(t=2.86, p=.006), 피로(t=5.44, p<.001). 굴곡((t=-2.10, p=.041), 신전(t=-2.84, p=.006), 오른쪽 측방굴곡(t=-2.4, p=.047) 왼쪽 측방의 굴곡(t=-2.05, p=0.46)) 및 오른쪽 회전 범위(t=-4.48, p<.001), 왼쪽 회전범위(t=-3.38, p=.001)가 개선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경부스트레칭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근골격계 장애에 건강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학(원)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의 질과의 연관성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quality of sleep among university school students, graduate students)

  • 허진영;김수현;한미아;안영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737-748
    • /
    • 2015
  •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일상생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편리함, 다양한 기능은 날이 갈수록 진화하고 있다. 이에 반해 현대인에게 있어 적절한 수면은 건강한 생활의 필수요소인데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적절한 수면이 위협받고 있다. 현대인의 삶에 밀접한 스마트폰이 인간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쳐 대학원생보다는 대학생이, 흡연자보다는 비흡연자가, 적은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이 더 낮은 수면의 질을 보인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 중독 단계가 심해질수록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경고와 사용법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우울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Depression on Fatigue Among University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 김미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3호
    • /
    • pp.111-120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건강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일개 대학교에 재학중이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우울, 피로, 스마트폰 과의존 및 인구사회학적 특징으로 구성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0 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우울은 피로에 유의한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F=8.180, p<.001), 우울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통해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B=.120, p<.001). 대학생들의 피로를 낮추기 위해서는 심리적인 요인을 포함한 중재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스마트폰의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한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표준화 연구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Standardization of Time of Smartphone Use in Adolescents : Using Data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of 2017)

  • 문종훈;전민재;김진욱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77-28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표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된 인원은 54,603명이었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독립 t 검정, 피어슨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나이, 학년 사이에 상관계수는 매우 낮았다(r=.025~.039).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중학생에서 학년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사용량이 유의하게 많았다(p<.05). 고등학생에서 2학년은 1학년과 3학년보다 스마트폰 사용량이 유의하게 많았다(p<.05). 본 연구는 54,603명의 청소년에서 성별(남, 여), 사용기간(주중, 주말), 학교(중학교, 고등학교), 학년(1학년, 2학년, 3학년)에 대한 각각의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량(분)을 7분위수로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사용량의 기준치 제공은 청소년의 신체 및 정신 건강관리에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과사용을 증명할 수 있는 기준값 제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