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are system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3초

Proposed ICT-based New Normal Smart Care System Model to Close Health Gap for Older the Elderly

  • YOO, Chae-Hyun;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37-44
    • /
    • 2021
  •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uper-aged society, the health problem of the elderly is becoming more prominent due to the rapid digital era caused by COVID-19, but the gap between welfare budgets and welfare benefit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is still not narrowed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ergency medical access.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an ICT-based New Normal Smart Care System (NNSCS) to bridge the gap I n health and medical problems. This is an integrated system model that links the elderly themselves to health care, self-diagnosis, disease prediction and prevention,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purpose is to apply location-based technology and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under smartphones and smartwatches (wearable) environments to detect health care and risks, predict and diagnose diseases using health and medical big data, and minimize treatment latency. Through the New Normal Smart Care System (NNSCS), which links health care, prevention, and rapid emergency treatment with easy and simple access to health care for the elderly, it aims to minimize health gaps and solve health problems for the elderly.

다양한 CCTV 카메라를 지원하는 스마트 케어 관제 시스템 (A Smart Care Surveillance System supporting Various CCTV Cameras)

  • 김경태;김기용;성동수;이건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4-11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CCTV 카메라를 지원하는 스마트 케어 관제 시스템을 소개한다. 위급 상황 발생 시 신고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서버에서는 신고자의 위치 좌표를 기반으로 CCTV 카메라의 팬, 틸트, 줌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또한 신고자를 찾아 촬영하며 영상처리 및 갱신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신고자를 추적한다. 다양한 CCTV 카메라를 지원하기 위하여 Genetec 개발 툴을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을 구현한다. 스마트 케어 관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고자의 위급 상황에 대하여 구조자는 신고자의 CCTV 영상을 빠르게 제어하고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 작업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Needs and Perceptions with Smart Technology Usage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 Lee, Sun-Hyung;Lim, Choon-Hee;Lee, Seungha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4호
    • /
    • pp.25-3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usage and needs for Smart Technology (ST)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based on the point of view of staff members. Using survey via mails, data were analyzed with responses from top- or middle-level staff members working in 171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needed smart technology was home automation, followed by nurse call system and health monitoring. The technology with the highest feasibility was health monitoring, followed by nurse call system and video phone. Staff members in higher positions working i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had the highest expectation in improving the image of their facilities by using ST, while they had low expectation for the fact that ST may increase the locus of control of the elderly. This study implies that ST implementa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responsibility of staff members and ST how people responsible for the elderly care facilities subjectively perceive the ST.

종합병원 전자건강카드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for Adoption of Smart Cards in Hospitals)

  • 안이수;윤석준;안형식;홍석원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3-123
    • /
    • 2006
  • Objective : This research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Health Smart Card already in use in other advanced countries.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medical institutions Health Smart Card system adoption process and its effects, and provide a basis for future policy decisions for the effective adoption and diffusion of a Health Smart Card system, in the medical field, through the completed research and analysis. Method : This research surveys the domestic, and foreign, status of Health Smart Card usage. The research also presents up-to-date methodology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medical and health care technology. The research also conducts a survey of the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that have implemented a Health Smart Card system, and then analyzes the results of the survey. Additionally, the research carried out a survey and analysis of medical institutions with no Health Smart Card system implemented, and considered the factors affecting the diffusion of Health Smart Card systems in considering an effective policy for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such a system. Research Results : Through the study of the methodology of medical and health care information technology in advanced countries, the methodology for assessing Health Smart Card technology has been established, and focuses on 6 aspects. The study on the status of foreign implementation has shown a model for the Health Smart Card system.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institutions with an implemented Health Smart Card system, and the survey results have been analyzed. Also,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Health Smart Card systems have been analyzed through the survey on those medical institutions that have not implemented a Health Smart Card system. Conclusion : The government must provide institutional measures for sharing medical records by constructing an IT infrastructure at the national level to enable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a Health Smart Card system. Such a network will make connections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possible, thus making the diffusion of the Health Smart Card system nationwide. For the successful adoption and diffusion of a Health Smart Card system, a model system development, under a medical record sharing system, should be conducted. Additionally, a regional unit based model should be developed for the model project, as is done in advanced countries,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such results.

  • PDF

스마트 케어 감시 시스템에서 한 대의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의 보정 방법 (A Correcting Method of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using one CCTV in Smart Care Surveillance System)

  • 박은성;김기용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1
    • /
    • 2016
  • 스마트 케어 감시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GPS 수신 기능을 사용하여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주변의 CCTV를 제어하여 이용자를 추적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의 GPS 위치 정보는 상당한 오차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추적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GPS 위치 정보의 보정을 필요로 한다. 기존의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서는 두 대 이상의 CCTV를 이용하여 이러한 GPS 위치 정보 오차를 보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반드시 두 대 이상이 동일한 지점을 촬영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 정보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단지 하나의 CCTV만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하나의 CCTV만을 이용하더라도 두 대의 CCTV를 이용한 위치 정보 보정방법 만큼 정확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고령자용 스마트 간병 시스템 (Smart Elderly-care System using Smart-phone)

  • 조면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29-13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과 생체센서를 사용하여 몸이 불편한 고령자의 상태를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보호자 및 간병인으로 하여금 언제, 어디서나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병실에 설치된 다양한 생체센서들을 통해 고령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고령자가 필요로 하는 생리적, 의료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할뿐 아니라, 만일의 경우 보호자에게 알려 위급한 순간을 대처할 수 있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아두이노와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하여 고령자가 사용하는 독서 등을 생체센서가 달린 홈 서버로 동작하게 하고, 간병인 및 보호자의 스마트폰을 원격관리 및 긴급호출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향후 만성질환 고령자와 간병인 모두에게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중요한 방안을 제시한다.

실시간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Care System Using Real-time Object Tracking Technology)

  • 김혜정;강민구;이혜규;고동범;김정준;박정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43-250
    • /
    • 2018
  • 본 논문은 독거노인을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최근 의학, 생활수준, 환경의 급속한 개선으로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증가하는 독거노인 비율은 노인 케어 시스템, 응급 상황 알림과 같은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기존의 응급상황알림을 위한 기술들은 고정된 CCTV 영상을 분석하기 때문에 CCTV 사각지대에서의 모니터링에 대한 어려움과 카메라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로 이동하는 등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활동을 할 경우 실시간으로 케어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이동이 가능한 로봇과 객체 추적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이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응급상황시 빠르게 도움을 요청해 보호자 및 도우미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The Impact of Individuals' Motivational System on Attitude toward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mart Homes

  • Moon-Yong Kim;Heayon C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2호
    • /
    • pp.108-116
    • /
    • 2023
  • Smart hom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re developing rapidly, and various smart home systems associa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improved the quality of living for people. In the present research, we examine the role of individuals' motivational system in their responses to the application of AI in smart home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individuals' prevention motivational system and investigates whether individuals' attitudes toward the application of AI in smart homes differ according to their level of prevention motivation. Specifically, it is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with strong (vs. weak) prevention motivation will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application of AI in smart home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respondents in the strong (vs. weak) prevention motivation reported significantly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six types of AI-based application in smart homes (e.g., AIbased AR/VR games, AI pet care system, AI robots, etc.). Our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prevention motivational system may be an effective market segmentation tool in facilitating their positive responses to the application of AI in smart homes.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실내위치기반 치매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mentia Patient 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door Location Using Bluetooth Beacon)

  • 권대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217-22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배회가능성이 있는 치매환자의 실종예방을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형식의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치매환자의 실내위치기반 모니터링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치매환자의 관리범위내 존재유무를 확인해 주며 치매환자가 비콘의 신호수신 설정거리를 이탈하면 즉, 지정된 관리구역을 벗어나면 비상메시지가 보호자와 관리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주요 특성은 비콘을 착용한 치매환자를 특정장소에 설치된 비콘 신호수신용 스마트 기기(AP)에서 신호를 감지하여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가역적 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실내위치기반 치매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요양병원, 재가요양시설 등에서 생활하는 배회가능성이 있는 치매환자의 실종예방에 기여하는 효과적 시스템으로 생각된다.

치매 환자를 위한 스마트 캐어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Smart Care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 하은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832-3840
    • /
    • 2014
  • 고령화 사회로 급격히 진행 함에 따라 치매 환자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진행이 되면 완치가 어려운 실정이다. 초기에 발견하고 진행 과정을 늦추는 것이 치료의 목표이고 환자의 안전, 지속적인 보살핌, 일상 생활, 건강 관리지원이 중요하다. 본 논문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동작 감지 센서, 가스 누출 감지 센서를 활용한 블루투스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화재, 가스 누출, 가출시 배회등의 각종 응급 상황에 대처 할 수 있게 해주고, 스마트폰을 통해 환자의 일상 생활 수행능력을 지속적으로 관찰, 관리 함으로써 한국의 효 문화의 특성상 환자가 입원 전 가정에 더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치매 환자의 부양자들이 갖는 경제적, 신체적, 심리적 부양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시스템 내에서 축적된 개인별 데이터베이스는 전문의에게 상담, 치료 가능하며 전문 치료 기관 및 복지 시설과의 연계를 통한 전문 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