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hone Dependenc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초

디지털 컨버전스 세대의 미래경제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Future Economic Activity of Digital Convergence Generation)

  • 김연정;박기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46
    • /
    • 2011
  • This research focus on the economic activity as consumer and producer traits of future customers in the convergence age. We assess level of convergence for digital devices and services respectively by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for 14 professions. And then, for evaluating convergence level and usage of digital services of each respondents, w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343 samples. Findings of our research hold that the group who showed higher level of convergence tends to use the socialized digital services more. Convergence generation were heavy users in appstore on smart-phone and wireless game and more participating. In digital service area, facebook/cyworld, twitter, UCC, portal, internet community in digital service. Convergence generation are global network communication, buying decision making activity, actively opinion expression, prosumer attitude, dependency on digital device, experience based purchase behavior, enthusiastic information sharing.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y in Preschool Children)

  • 이민정;박성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83-39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y in preschool children based on an analysis of mother, child, and their mutual dyadic relationship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1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enrolled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from January to March 2018.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with $Scheff{\acute{e}}$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4. Results: The self regulation of preschool children (${\beta}=-.358$, p<.001) was the factor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y. The second most closely associated factor was children's use of a smartphone 0.5-1 hour daily (${\beta}=-.249$, p=.005). Additional associated factors were mothers' use of a smartphone for 3-4 hours daily (${\beta}=.217$, p=.002), children's use of a smartphone for less than 0.5 hour daily (${\beta}=-.212$, p=.006), and children's use of a smartphone for 1-2 days per week (${\beta}=-.205$, p=.026).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try to develop guidelines and programs to prevent smart phone overdependency in preschool children.

일부 치기공학과 학생들의 생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s' Stress on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 문학룡;이혜은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9-25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technology students' life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to detect smartphone over-users early, prevent them from getting addicted, and obtain basic data for creating a positive environment for academic achievement by using smartphone in a right wa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at D University and G Universit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Gangwon-d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participated in it from March 1 to June 10, 2018, and 243 were finally analyzed except 24 questionnaires without sufficient answers. Result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variables, which were significant in univariate analysi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re were gender and smartphone dependency as gene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family relations and future problems among stress sub-factor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Conclusion :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they choose the smartphone as the easiest way to relieve stress because they lack the time and space to actually release stress. Therefore, club activities or on-campu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recommended, and it needs to seek a way to get rid of stress by solving the cause of stress through counseling.

저전력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재사용 컴포넌트의 전력소모 특성 명세 방법 (Energy Characteristic Specification Method of Reusable Component for Energy Efficient Embedded Software Development)

  • 김두환;이재욱;홍장의
    • 소프트웨어공학소사이어티 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5-66
    • /
    • 2011
  •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은 개발 편의성,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등의 이점으로 인해 그 적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 비해 플랫폼 의존성이 높고, 제품 군(product family) 개발이 가능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경우 컴포넌트 기반 개발은 그 유용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형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 전력 소모량이 적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재사용 컴포넌트의 소모 전력에 대한 특성은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품질요소 중의 하나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재사용 기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시, 컴포넌트에 대한 소모전력 특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소모전력 특성을 포함하는 컴포넌트 명세언어를 제안한다. 이는 추후 컴포넌트 저장소에서 소모전력 특성을 고려하는 컴포넌트 검색 및 선택 등과 같은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다.

  • PDF

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 변화유형분석과 방임이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스마트폰의존에 미치는 영향 (The Latent Class Analysis for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 : Mediation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in the Influence of neglect to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

  • 이경은;염동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83-394
    • /
    • 2018
  • 현대 청소년은 스마트폰의 기능과 다양한 앱의 내용을 이해하는 수용력,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비판력, 창조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하지만 많은 청소년이 스마트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종단분석을 사용하여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의 양태에 따라 분류된 하위집단의 잠재프로파일별로 스마트폰의존에 방임과 자기결정성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청소년 스마트폰의존의 변화양태에 따라 분류된 잠재프로파일별로 스마트폰의존에 부모의 방임과 자기결정성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의존 변화양상에 따른 잠재계층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스마트폰의존 정도가 감소되는 유형과 스마트폰의존 정도가 증가되는 유형의 2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스마트폰의존 감소집단은 부학력이 높고, 초기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초기 또래애착이 낮았다. 셋째, 방임의 변화양상은 스마트폰의존 감소집단이 방임이 더 증가하였다. 넷째, 스마트폰의존 감소집단에서는 방임과 스마트폰의존 사이에서 자기결정성이 완전매개효과로 분석되었지만, 스마트폰의존 증가집단에서는 자기결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s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on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Based on Meditation Effect of Agg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박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06-4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구실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초4 코호트" 2,607명 중 불성실한 응답표본 208명을 제외한 2,399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 지지와 강요는 아동의 공격성에 대해 부(-)영향을 미치지만, 거부와 비일관성은 공격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일관성과 거부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강요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격성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위축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자율성지지, 거부, 강요 그리고 비일관성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시사하는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