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Home

검색결과 1,041건 처리시간 0.032초

Personalized Seamless 라이프스타일 케어 스마트홈 서비스디자인 연구 : 포노 사피엔스 시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sonalized Seamless Smart Home Service Design for Life-style Care in Phono Sapience era)

  • 박의정;김정우;최재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4
    • /
    • 2020
  • Mankind has been attempting to live a happy and safe family life in a residential space. Due to the advent of the mobile phone in the 1990s and the smart phone in the 2000s, whe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ge came, human life has been innovatively changed. The revolution of human civilization led to the Neolithic Revolution and the Iron Age, followed by a smart phone revolutionizing human life, and the revolution faces with the era of info-communication, smart phones became a daily life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era of info-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reating a new paradigm across human life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IoT, big data, mobile, and cloud. The smart home is actively researched in a direction to support the overall human life as a representative future residential culture paradigm. However, the study considering the needs according to the lifestyl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living space and human lifestyle of the Phono Sapiens era where smart phones live like daily life was relatively insufficient. In addition, research on smart home service design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apartment residential space planning stage.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human-centered smart home service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ving space and resident's life-style in the smart phone era.

Real-Time Tracking of Human Location and Motion using Cameras in a Ubiquitous Smart Home

  • Shin, Dong-Kyoo;Shin, Dong-Il;Nguyen, Quoc Cuong;Park, Se-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3권1호
    • /
    • pp.84-95
    • /
    • 2009
  • The ubiquitous smart home is the home of the future, which exploits context information from both the human and the home environment, providing an automatic home service for the human. Human location and motion are the most important contexts in the ubiquitous smart home.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al-time human tracker that predicts human location and motion for the ubiquitous smart home. The system uses four network cameras for real-time human tracking. This paper explains the architecture of the real-time human tracker, and proposes an algorithm for predicting human location and motion. To detect human location, three kinds of images are used: $IMAGE_1$ - empty room image, $IMAGE_2$ - image of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IMAGE_3$ - image of $IMAGE_2$ and the human. The real-time human tracker decides which specific furniture or home appliance the human is associated with, via analysis of three images, and predicts human motion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The performance experiment of the human's location, which uses three images, lasted an average of 0.037 seconds. The SVM feature of human motion recognition is decided from the pixel number by the array line of the moving object. We evaluated each motion 1,000 times. The average accuracy of all types of motion was 86.5%.

서비스 로봇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환경 구축 (Construction of a Sensor Network-based Smart Environment for Service Robots)

  • 백승호;박재한;고재한;백문홍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334-340
    • /
    • 2007
  • This paper introduces a prototype smart home environment that is built in the research building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 robot-assisted future home environment. Localization, navigation, object recognition and handling are core functionalities that an intelligent service robot should provide. A huge amount of research effort has been made to make the service robot perform these functions with its own sensors, actuators and a knowledge base. With all complicated configuration of sensors, actuators and a database, the robot could only perform the given tasks in a predefined environment or show the limited capabilities in a natural environment. We started a smart home environment for service robots for simple service robots to provide reliable services by communicating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In this paper, we introduce various types of smart devices that are developed for assisting the robot in the environment by providing sensor and actuator capabilities. In addition, we present how the devices are integrated to constitute the smart home environment for service robots.

  • PDF

모바일 환경에서 스마트 홈 프로비저닝 시스템 OWL 모델링 (OWL modeling of smart home provisioning system in a mobile environment)

  • 표혜진;정훈;김난주;최의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229-237
    • /
    • 2014
  • 오늘날 스마트폰의 다양성과 성능의 발전은 스마트폰 사용자 수를 급증하게 하였으며, 다시 모바일 네트워크 및 디바이스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보급을 확산시켰다. 현재 모바일 환경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구현하기에 부적합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여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스마트 홈 프로비저닝 시스템 OWL 모델링을 제안한다.

Ubi-Home에서의 지능적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DRM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RM Supporting Smart Multimedia Streaming in Ubi-Home)

  • 박종혁;이상진;홍인화;안태원;이덕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3C
    • /
    • pp.293-30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Ubi-Home에서의 지능적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콘텐츠 보호 및 관리 시스템(UHSMS-DRM: Ubi-Home Smart Multimedia Streaming-Digital Right Management)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Ubi-Home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유연한 유통 플랫폼을 제공하며, PC, STB, PDA, Portable device 등 다양한 디바이스의 인증을 통해 정당한 사용자에게 Multimedia Steaming Service를 제공한다. 그리고, 도메인 인증개념을 적용하여 Ubi-Home의 모든 디바이스에 대한 라이센스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한, Ubi-Home에서 intelligent Service를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인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 및 적용한다.

스마트 홈 시큐리티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 of Smart-home Security System)

  • 장예진;전용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30호
    • /
    • pp.117-138
    • /
    • 2012
  • 현대 범죄의 증가로 주거공간의 범죄를 최소화 및 예방하고자 스마트 홈이 보편화되었으며, 스마트 홈 관련 시큐리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는 미래의 집안환경에 대한 이해와 스마트 홈 시큐리티의 시사점 및 대응에 관련하여 제안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홈 시큐리티의 표준 수립이다. 주거공간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건설사의 정책만으로 반영되거나 주민들이 필요에 의해서 개선된 내용을 적용하는 수준에 그치는 상황이며, 또한 건설사마다의 특성을 부각시켜 스마트 홈 시큐리티를 나타낼 뿐 표준화되어 있지는 못한 실정이라 정리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 홈 시큐리티 인증제도 도입이다. 사람만이 가지던 자격증이 이젠 주거공간에도 자격증 시대이다. 주거공간의 성능을 나타내어 주는 인증제도는 아파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으나,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과 편리한 주택환경을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 홈 시큐리티 인증제도 역시 도입하여 다른 주거공간에 상호 경쟁적으로 보안장비를 더 보강하거나 또는 경비인력을 전문화하여 인증받으려 할 것이기에 부수적인 안전확보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변화하는 스마트 홈 시큐리티를 연구하여 어떤 중심의 요소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변화로 대응해야할지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 PDF

PLC-Based Smart grid Home Network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using OPNET Simulation

  • Huh, Jun-Ho;Seo, Kyungryong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1권2호
    • /
    • pp.111-118
    • /
    • 2014
  • The Smart grid refers to the technology that enables efficient usage of electric power by collecting information concerning the power usage and power lines graf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o onto power grids. There are Zigbee, PLC or IEEE 802.11 WLAN MAC as a core technology of the Smart grid, but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PLC. The PLC is the technology that carries out data communications using power lines and put into practical use in the field of lights or home appliances control recently but PLC-applied communications between electronic devices are rarely seen. For the reason that the PLC uses high-voltage power lines and has a disadvantage of experiencing higher data loss rate caused by the noises produced by going through transformers, the technology is yet to be used in many areas. Nevertheless, the PLC has been studied widely recently in respect that it's the low-cost communication solution for the Smart Metering [1]. Moreover, this technology is emerging as a novel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iscussed as an important technology lately due to the developments of the Smart grid systems and Internet of things (IoT). Thus, in this paper, the results obtained from designing and performing implementation scenario for the PLC-based Smart grid home network system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at of IEEE 802.11 WLAN MAC (the foundation technology at Jeju Smart grid Test bed)-based Smart grid home network. Thus, in this paper, OPNET 14.5 PL8, OSI 7 layer, PLC router nodes and PLC nodes had been used for the designing and implementation simulations of both systems. Additionally, QoS was not considered in order to guarantee that all the traffics would not have the same processing priority.

  • PDF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스마트 홈 환경에서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메시지 통신 프로토콜 설계 (A Message Communication for Secure Data Communication in Smart Home Environment Based Cloud Service)

  • 박중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1-30
    • /
    • 2021
  • 사물인터넷 기술 발전으로 스마트 차,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홈, 스마트 팜 등 다양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새로운 환경의 등장함에 따라 개인정보 또는 기업 기밀 등 중요 정보에 대한 노출 가능성, 해킹으로 인한 금전적인 피해 사례, 악의적인 공격기법으로 인한 인명피해 등 다양한 문제가 지속하여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기반의 안전한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위한 메시지 통신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세부 과정으로 스마트 홈 환경에서 안전한 디바이스 등록, 메시지 인증 프로토콜, 갱신프로토콜을 새롭게 설계하였다. 스마트 홈 서비스 관련 보안 요구사항을 참고하여 대표 공격기법에 대한 안정성을 검증하고, 성능을 비교분석을 수행한 결과 통신 측면 약 50%, 서명검증 측면 약 25%의 효율성을 확인했다.

스마트 정보 모니터링 기술 (Smart Information Monitoring Technology)

  • 강만모;이동형;구자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25-233
    • /
    • 2010
  • 최근,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홈 네트워크,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의 분야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 및 가공하여 실시간 양방향으로 교환하고, 제어 및 감시하는 스마트 정보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연구를 계속 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U-Farm, 차량정보 및 홈 네트워크에 관한 스마트 정보 모니터링 기술의 응용 제품 및 최근 동향들을 알아본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부분인 스마트 미터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구글 파워미터, 유비쿼터스 농업을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차량상태 정보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저전력, 저가격의 ZigBee 기반 스마트 정보 모니터링 기술 응용 및 관련사례에 대하여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단지 구축현황에 대하여 기술한다.

스마트 홈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rt Home 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Wheelchair Users)

  • 우지희;김정현;김종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242-248
    • /
    • 2019
  • 본 연구는 Electronic Control Unit (EC)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홈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국립재활원 재활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에서 지역 사회 복귀와 집으로 퇴원을 계획하는 대상자 중에서 스마트 홈을 경험하기를 원하는 사람을 연구에 포함하였다. 15명의 참여자 중 척수손상장애인은 10명, 나머지 5명은 뇌병변 장애인이었다. 스마트 홈은 ECU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가구 및 기반 제품들의 전동화, 기반 시설들의 자동화 그리고 제품과 시설들을 통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와 음성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휠체어 사용자의 일상생활 수행도와 만족도는 캐나다 작업수행평가에 의해 평가되었다. 스마트 홈에서 거주해본 결과 거실과 현관, 침실, 기타(환경적요소) 부분에서 일상생활의 수행도가 3점 이상의 평균값 차이를 보였다. 공간별 수행도 비교 결과, 현재 주거 공간에 비해 스마트 홈 주거 공간별 수행도가 모두 유의미한 차이(p<0.05)로 향상되었다. 만족도 역시, 거실과 현관, 침실, 주방 영역에서 4점 이상의 차이를 보였고 주거 공간별 만족도 비교 결과 모두 유의미한 차이(p<0.05)로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하이테크 기반의 스마트 홈 적용 가능성의 기초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추후에는 근거 수준의 질 향상을 위해 다수의 연구 참여자를 확보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