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Grid Network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2초

22.9kV 고온 초전도 케이블.초전도 한류기 스마트 그리드 적용을 위한 초전도 시범사업 (Introduction of The First Demonstration Project for the Application of HTS Cable and SFCL to Real Smart Grid in South Korea)

  • 양병모;박진우;이승렬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4-38
    • /
    • 2010
  • Until now some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ve made big progress and many efforts in the development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HTS) power equipments. Especially, HTS Cable and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L) are the strongest candidates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applying to real grid. In South Korea, HTS cable and SFCL have been installed in test fields and tested successfully at Gochang PT Center of KEPCO. In order to meet practical requirements and be feasible in real grid, a demonstration project for HTS cable and SFCL systems, called GENI(green superconducting electric power network at Icheon substation) project, has been initiated to install 23kV HTS cable and SFCL systems in a utility network in South Korea since 2008. Namely, it says the first demonstration project for the application HTS system to real smart grid in South Korea.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the application plan of the 22.9kV HTS cable and SFCL in 154kV Icheon substation in South Korea with the viewpoint of applying in Smat Grid.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Binary CDMA 기반의 AMI 무선 네트워크 구조 및 AKA 프로토콜 (A Wireless Network Structure and AKA(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Protocol of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on the Smart Grid based on Binary CDMA)

  • 전재우;임선희;이옥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1-124
    • /
    • 2010
  • 원격 검침 시스템(AMI :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은 최근 활발히 추진 중인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인프라로, 구축비용 절감 및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무선 통신 기술 도입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하지만, AMI에 무선 통신 기술 적용 시 무선 통신의 보안 취약점 때문에 다양한 보안 위협이 발생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Binary CDMA 망을 이용한 AMI 네트워크 무선망 구조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보안 대책으로 BSIM(Binary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중심으로 사용자 인증 및 무선 구간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AMI 무선 구간의 보안 위협을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State of the Art 3GPP M2M Communications toward Smart Grid

  • Kwon, Young-Min;Kim, Jun-Suk;Chung, Min-Young;Choo, Hyun-Seung;Lee, Tae-Jin;Kim, Mi-Hu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2호
    • /
    • pp.468-479
    • /
    • 2012
  • Recent adva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and electronics has enabled the development of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s. This communication paradigm has been expected as an automated control and report solution for smart grid. The smart grid enables customers and operators to utilize the collected usage information from a large number of meters with transceivers for efficiency and safet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rchitecture, requirements and challenges of M2M communications for smart grid. We extract technical issues that should be resolved in M2M communications to support the smart grid via 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cellular networks. We then present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of research results to deal with such issues. Finally, we outline the open research issues.

스마트 그리드 예비 연구를 위한 계량정보분석 (Scientometric Analysis for Pilot Study of Smart Grid)

  • 박종규;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7-105
    • /
    • 2012
  • 특허, 논문, 연구 주제에서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방법을 가지고 특허와 이전의 연구 결과들을 검토한다. 이러한 노력을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에서 중복을 피하고 연구자들을 도와주기 위한 방법으로 수준지수분석, 국제협력 연구 네트워크, 소속과 저자의 핵심 분석을 통한 계량정보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Remote Monitoring with Hierarchical Network Architectures for Large-Scale Wind Power Farms

  • Ahmed, Mohamed A.;Song, Minho;Pan, Jae-Kyung;Kim, Young-Ch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319-1327
    • /
    • 2015
  • As wind power farm (WPF) installations continue to grow, monitoring and controlling large-scale WPFs presents new challenges. In this paper, a hierarchical network architecture is proposed in order to provid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large-scale WPFs. The network architecture consists of three levels, including the WPF comprised of wind turbines and meteorological towers, local control center (LCC) responsible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wind turbines, and a central control center (CCC) that offers data collection and aggregation of many WPFs. Different scenarios are considered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WPF communications network with its hierarchical architecture. The communications network within the WPF is regarded as the local area network (LAN) while the communication among the LCCs and the CCC happens through a wide area network (WAN). We develop a communications network model based on an OPNET modeler, and the network performance is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link bandwidth and the end-to-end delay measured for various applications. As a result, this work contributes to the design of communications networks for large-scale WPFs.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확장 홈 네트워크 기반의 AMI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an AMI System Based on an Extended Home Network for the Smart Grid)

  • 황유진;이광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7호
    • /
    • pp.56-64
    • /
    • 2012
  • 스마트 그리드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융합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망을 구성하는 기술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기존 홈 네트워크와 연동되고 효율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AMI 시스템을 제안 한다. 확장된 홈 네트워크 기반의 AMI 시스템은 스마트미터, 통신 모듈, 홈 게이트웨이, 보안 모듈, 미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전력 응용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홈 네트워크는 전력소모를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도록 IEEE 802.15.4를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제안 홈 게이트웨이는 웹 서비스를 통해 외부 관리 시스템과 에너지 소비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고, AMI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홈 게이트웨이와 미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보 전달의 안전성을 얻기 위하여 보안 알고리즘을 적용 하였으며 보안 알고리즘은 대칭적 블록 암호화 방식인 AE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제안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본 연구에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제어를 하지 않을 경우보다 전력 소비가 평균적으로 4~42%정도 줄어드는 것을 실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교통신호등 제어를 통한 교통망 최적화 알고리즘 (A Algorithm on Optimizing Traffic Network by the Control of Traffic Signal Timing)

  • 안영필;김동춘;나승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72-47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설계방법들(minimum spanning tree와 Dijkstra algorithm)을 사용하여 교통 격자 가로망을 최적화 하는 방안을 다루며, 최소신장트리(minimum spanning tree)에서 직진 교통신호등간의 연동들을 통해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지연시간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교통격자 가로망을 최적화한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어지는 Dijkstra algorithm을 통해 구해진 경로에 따라 차량 운전자들이 그 경로를 준수한다고 가정한다면 격자망에서 교통신호등의 연동을 통해 최적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격자 가로망에서의 모의실험결과는 직진 교통신호등의 연동을 통해 망을 가로지는 지연시간을 최소화함을 보여준다.

ACT를 이용한 AMI 보안 분석 (Security Analysis of AMI Using ACT)

  • 위미선;김동성;박종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639-653
    • /
    • 2013
  • 스마트 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으로 미국, 유럽,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공격 사례가 증가되고 있으며 개인정보의 사용 및 유출의 피해가 높아지고 있다. 전력망이 더욱 복잡해지고 상호 연결됨에 따라 보안 분석과 평가에 대한 노력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 기술인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공격과 공격에 대한 대응책을 ACT(Attack Countermeasure Tree)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보안 분석은 확률이 있는 경우와 확률이 없는 경우로 나누어서 수행하였다. 이러한 모델을 가지고 SHARPE(Symbolic Hierarchical Automated Reliability and Performance Evaluator)로 구현하여 다양한 경우의 확률과 ROA, ROI, Structure Importance, Birnbaum Importance에 대해 계산하였다.

전기IT기기의 인증설계와 인증방법 연구 (A Study on Authentication Design and Method of Electrical IT Equipment)

  • 박대우;최종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155-158
    • /
    • 2011
  • U-city구축에서 전기의 안전한 공급과 전기로 인한 화재 등 재난에 대한 통제가 가능해야 한다. U-city에 구축되어야 할 Smart Grid 네트워크와 Smart Grid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 사용되는 전기IT기기에 대한 인증을 위한 인증설계와 인증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이 진행 중인 전기IT기기의 인증을 위하여 국내 국제표준화 기준을 연구한 후 국내에서 인증 받을 수 있는 인증설계를 연구한다. 인증설계는 Home Network Wall-Pad, 비접촉식 아크 검출기, 아크 안전진단, 아울렛, 저전압 배전반(MPNP) 블랙박스, 차단기이다. 그리고 인증기관에서 인증적용과 인증내용 및 평가기준과 전기IT기기의 인증심의 기관에서 기준 값 등에 관한 연구를 한다. 본 연구는 Smart Grid 네트워크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무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Cyber Threat and a Mitigation Method for the Power Systems in the Smart Grid

  • Kim, Myongsoo;Kim, Younghyun;Jeon, Kyungseok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043-1050
    • /
    • 2014
  • Obsolescent control systems for power systems are evolving into intelligent systems and connecting with smart devices to give intelligence to the power systems. As networks of the control system are growing, vulnerability is also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distribution areas in the power system connects closely to vulnerable environments. Many cyber-attacks have been founded in the power system, and they could be more critical as the power system becomes more intelligent. From these environment, new 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and mitigation method against cyber-attacks are needed. Availability and Fault Tree analysis used to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enhances performance of current control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