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lassroom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9초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디지털 콘텐츠 디자인 (Digital Content Design Making Children Like Reading Books)

  • 왕린;이하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20-28
    • /
    • 2016
  • 최근 현대사회의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이 보편화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유아용 콘텐츠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콘텐츠들은 한꺼번에 다양한 요소들을 접할 수 있다는 점과 편리함 때문에 많은 부모들과 선생님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유아용 콘텐츠들의 과도한 이용은 아이들의 상상력 저하, 언어발달 저하 등에 문제로 우려의 목소리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세대의 아이들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텐츠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책을 통한 독서를 좋아하도록 디자인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스마트기기의 유아용 콘텐츠들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들의 특징을 그림책비디오,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동화, 앱북 4종류로 나누어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방안들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디지털 콘텐츠를 디자인 하는데 있어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NFC를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NFC)

  • 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639-1644
    • /
    • 2013
  • 최근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출결체크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NFC 기술을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각 강의실에는 책상마다 NFC 태그를 부착하고, 학생들은 스마트 폰에 내장되어 있는 NFC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출석을 확인한다. 출결관리 시스템은 교수용 PC 웹 프로그램, 학생용 안드로이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학생들의 출결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인함으로서 교수에게 더 많은 강의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 논문은 NFC를 이용한 출결관리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본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는데 기여하였다.

소셜 러닝 기반 동료평가가 학습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Social Learning Effects on Web-Based Peer Review)

  • 김인희;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9-28
    • /
    • 2012
  • 최근 소셜미디어의 대중화와 함께 소셜러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셜러닝의 긍정적 학습효과에 대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실수업 환경에서 소셜러닝의 구체적인 적용 방법과 그에 따른 학습 향상의 명시적 효과에 대하여서는 아직도 알려진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실수업 환경에서 웹 기반의 과제 상호 평가를 통하여 개별 학습자들 간의 특정 주제에 대한 생각 공유가 발생하도록 하고, 그러한 상호 생각 공유가 개별 학생의 지식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수행된 실험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은 다른 학습자들과의 생각의 공유를 통하여 지식이 결합 혹은 재조합되어 자신의 지식 구성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 결과는 소셜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Biotechnology Development Collaboration System and Limitations of Domestic Physician Scientists

  • Yu, Tae G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4호
    • /
    • pp.247-252
    • /
    • 2022
  • The purpose of the domestic physician scientist support program i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various biotechnolog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examining whether the purpose of support is being faithfully implemented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future domestic biotechnology development ecosystem. Therefore,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analysis to 79 MD-PhD experts who participated or participated in doctor scientist programs at major universities in Korea. Among them, a total of 25 researchers, one researcher from each classroom in parasitology, microbiology, pharmacology, biochemistry, physiology, and anatomy, which had the highest paper citations in the last five years (2016-2021),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research. It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review. As a result, 25 selected pseudo-scientists(MD-PhD) identifi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as co-researchers when publishing in overseas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5 years(2016-2021), and identified the affiliation and name of the top 5 among them, as well as the pseudo-scientist(MD-Ph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a total of 123 co-researchers(excluding 2 missing values) of the top 5 co-researchers with a high degree of co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researcher(25 in total), and the collaboration of pseudo-scientists. Relationships, major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es were examined. Nodexl Basic 2018 ver. (Microsof)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could be visualized by applying network analysis techniques.

Navigating the Transformative Landscape of Virtual Education Trends across India

  • Asha SHARMA;Aditya MISHRA
    • 4차산업연구
    • /
    • 제4권1호
    • /
    • pp.1-9
    • /
    • 2024
  • Purpose: Education is the part of a fundamental human right across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 trend of virtual education has increased tremendously. The paper aims to find the impact of adoption, accessibility, interactions, knowledge, and satisfaction on the success of transformation towards virtual educ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Primary data has been gathered through the use of responses from students taking admission in virtual higher education to standardized questionnaires. Of the 250, only 122 were considered complete and have been used in further studies. Convinced random sampling method has been used. The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Likert Five-Point Scale. For applying these statistical tools software SmartPLS and SPSS 19 have been used. The fitness of the model has been re-checked throug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Result: Results derived that adoption, accessibility, and interac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knowledge, knowledge influences satisfaction level and satisfaction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success of transformation towards virtual education. Conclusion: It can be concluded that virtual education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future of the education system and its potential in India. The highest importance is due to satisfaction (100%), adoption (98.7%), knowledge (91.4%), accessibility (62%), and interaction (29.2%).

중학교 「기술·가정」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단원에 적용한 스마트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 smart textbook for 'healthy diet and meal plans'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 최송은;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114
    • /
    • 2014
  • 본 연구는 21세기 학습 환경과 학습자가 변화되고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중학교 기술 가정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과 스마트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스마트교재를 평가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기본으로 하여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식생활 스마트교재를 제작한다. 셋째, 개발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 수업을 실행한 후에 이 수업을 평가한다. 연구 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과 해설서, 성취기준 성취수준 분석 및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상하고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육과정의 '청소년의 생활' 단원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생활'에 속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 2개의 소단원인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건강 식생활의 실천'으로 각 2차시씩 총 4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및 학습 자료 등의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인 DocZoom을 이용하여 스마트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 및 스마트교재 활용 수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관련 스마트교재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제작한 소단원 2개 분량의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를 이용하여 2014년 6월 2일부터 6월 13일까지 경기도 광명에 있는 남녀공학의 S 중학교 1학년 각각 3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1주일에 2시간씩 기술 가정 수업에 직접 활용하였다. 총 2주간의 수업을 실행한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평가 단계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설문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쌍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의 수업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t=-3.99, p<.001),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t=-2.61, p<.05), 학습에의 주도성 및 독립성(t=-4.77, p<.001), 학생들의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t=-3.83, p<.001)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수업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동영상과 도표 등의 관련 자료를 바로 볼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웠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다수의 학생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편리하였으며, 수업이 더 재미있어졌다고 응답하는 등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이용한 수업을 흥미로워 하였으며, 학습에 도움이 되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정과에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은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학습에서의 주도성 및 독립성,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PID 제어 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교육 모델 (Simulation-based Education Model for PID Control Learning)

  • 서현호;김재웅;박성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86-293
    • /
    • 2022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스마트팩토리를 구성하는 요소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을 학습하기 위한 도구로 시뮬레이션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PID제어는 실제 응용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동제어 기법으로서, 대부분 특정 상황에서 수학적 모델을 분석하거나 제어기가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교육적인 환경에서는 PID 제어 원리뿐만 아니라, 게인 값 조정 및 제어기 사용 방법 등에 대한 PID 시뮬레이터 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PID 제어의 교육과 실습이 가능한 모델을 제안 한다. 제안 모델은 가상의 Ball과 Fan을 구현하여 Fan에서 발생한 공기 압력에 의해 Ball에 양력이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PID 제어를 실시하였다. 이때 Ball의 높이를 PID제어기의 각 게인 값에 따라 그래프로 표현 후 실제 시스템과의 비교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실제 수업에 충분히 적용할 만한 만족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제안 모델을 통해 급격히 증가하는 스마트팩토리의 요소 기술을 원격 수업 환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교육을 위한 오픈 디지털교과서 (Open Digital Textbook for Smart Education)

  • 구영일;박충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2호
    • /
    • pp.177-189
    • /
    • 2013
  • 스마트교육에서 디지털교과서의 역할은 학습자와 대면하는 교육미디어로써 그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없다. 이러한 디지털교과서는 학습자의 편의와 더불어 교수자, 콘텐츠 제작자, 유통업자를 위하여 표준화되어야 활성화되고 산업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목표를 지향하는 디지털교과서 표준화 방안을 모색한다. (1) 디지털교과서는 온-오프 수업을 모두 지원하는 혼합학습 매체의 역할을 해야 하며, 특별한 전용뷰어 없이 표준을 준수하는 모든 EPUB 뷰어에서 실행가능 해야 하며, 기존의 이러닝 학습 콘텐츠와 학습관리시스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습자의 정보를 추적 관리할 수 있는 트랙킹기능이 있으면서도, 오프라인 동안의 정보를 축적하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도 필요하다. 디지털교과서의 표준으로서 EPUB을 고려하는 이유는 디지털교과서가 책의 형태를 가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따로 표준을 정할 필요가 없으며, EPUB 표준을 채택함으로써 풍부한 콘텐츠, 유통구조, 산업기반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디지털교과서는 오픈소스를 적극 활용하여 저비용으로 현재 사용가능한 서비스를 구성하여 표준과 더불어 실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관련 학습 콘텐츠가 오픈마켓의 형태로 운영될 수 있어야 한다. (3) 디지털교과서는 학습자에게 적절한 학습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학습활동 정보를 축적하고 관리될 수 있는 인프라를 표준에 따라 구축하여 교육 빅데이터 처리의 기반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북 표준인 EPUB 3.0을 기반으로 하는 오픈 디지털교과서는 (1) 학습활동 정보를 기록하고 (2) 이 학습활동 지원을 위한 서버와 통신하여야 한다. 현재 표준으로 정해져 있지 않은 이북의 기록과 통신 기능을 EPUB 3.0의 JavaScript로 구현하여 현재 EPUB 3.0 뷰어에서도 활용하면서 이를 차세대 이북 표준 또는 교육을 위한 이북 표준(EPUB 3.0 for education)으로 제안하여 향후 제정된 표준 이북 뷰어에서는 JavaScript없이도 처리되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는 제안한 오픈 디지털교과서 표준에 의한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오픈 디지털교과서의 학습활동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교육서비스 방안(교육 빅데이터 활용방안 포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의 교육적 유용성과 문제점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ducational usefulness and problems of smartpad-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 임정훈;안순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5-87
    • /
    • 2014
  •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수학습 도구로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수업의 교육적 유용성, 운영상 문제점을 질적 분석을 통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스마트 클래스가 구축된 수도권 D초등학교 4학년, 5학년 2개 학급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촬영한 뒤 수업활동을 분석하였고 수업에 참여한 교사 2명과 학생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관찰한 수업내용과 인터뷰 자료들은 근거이론에 기반한 코딩방법을 사용하여 범주화 과정을 거쳤으며, 자료분석 도구로는 Nvivo 8.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은 협업과 상호작용 촉진, 다양한 자료와 SNS의 효과적 사용, 수업집중도 향상, 기기 대기시간 단축 등과 같은 유용성이 있는 반면, 학습지원도구의 부족 및 실천모형 부재로 인한 수업진행의 어려움, 기능숙달에 과다한 시간의 투입, 활동에 비해 낮은 학습효과, 수업몰입의 방해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향후 스마트패드 활용수업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실천과제들이 제안되었다.

공과대학 전공기초과목에서의 플립러닝 수업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lip Learning Classes on Academic Performance in Primary Course of Technical University)

  • 이은선;임희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59-64
    • /
    • 2020
  •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통한 학습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과대학 전공기초과목을 수강한 23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15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전의 플립러닝 연구들은 설문지를 통한 학습동기나 학습만족도에 대한 실험이 대부분이며, 성적 차이를 비교한 실험은 거의 없다. 따라서 플립러닝 교실에서 학업성적의 증감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적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방식의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의 학업성적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성적이 높게 나왔다. 이는 플립러닝 학습방법이 학업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립러닝과 관련한 다양한 교육자료의 지원으로 플립러닝 학습방법이 모든 교육과정에 확대되길 기대한다.